728x90

몇 년 전부터 개발도상국의 농지가 선진국에 적을 둔 다국적 기업들에 의해 무분별하게 수집되었다. 그 이유는 생물연료와 같은 고소득 작물과 자국의 식량을 재배하기 위함이었다. 그런데 문제는 이들이 차지하는 토지는 기존에 원주민들이 소유권이 발달하지 않아서 소유권은 없어도 대를 물려가며 농사를 지어오던 농지였다는 점이다. 결국 그들은 자신의 땅에서 쫓겨나 도시빈민이 되거나 다시 그 대형 다국적 기업의 농장에서 농업노동자로 전락하는 신세가 되며 심각한 인권유린이 벌어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것이 얼마나 심각했는지 세계은행에서도 토지수탈의 현황을 조사하고 문제를 지적할 정도였다. 

이제 유엔 식량농업기구에서는 그에 대한 제한선을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문제는 늘 그렇듯이 이렇게 권고한 제한선을 과연 현실에서 잘 지킬 것인가 하는 점이다. 양심 있는 기업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일까? 기업을 움직이는 것은 결국은 소비자이다. 유럽의 소비자들은 그렇게 잘하는데, 중국이나 한국 같은 신흥국들의 경우엔 영... 자신이 없네... 아무튼 반가운 일이다! 



(제네바=연합뉴스) 맹찬형 특파원 =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11일 부유한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의 농지를 마구잡이로 사들이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농지 매입, 어장과 숲의 이용 등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FAO의 세계식량안보위원회(CFS)는 이날 상업적 개발업체에 의한 개도국 농지 사재기를 방지하는 조치 등을 포함한 토지 소유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통과시켰다.

가이드라인에는 토지 소유 문서 등재시 여성의 동등한 권리를 보장토록 권장하고, 원주민과 농촌 주민들이 필요시 열람할 수 있도록 토지 관련 기록을 투명하게 관리 유지토록 각국 정부에 권고하는 내용 등을 담고 있다.

조제 그라지아노 다 실바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사무총장은 성명에서 "가난한 취약계층에 평등한 토지 및 천연자원 이용권을 보장하는 것은 굶주림과 빈곤에 맞서는 싸움에서 필수 요건"이라며 "지구적 차원에서 토지 소유에 관한 최초의 가이드라인을 만든 것은 역사적 성과"라고 말했다.

가이드라인 채택과 관련, 시민사회단체인 국제토지연대(ILC)는 성명을 통해 "사람 중심의 토지 관리로 나아가는 데 있어서 주목할만한 진전이며, 인권의 기본틀에 부합하는 것"이라고 환영했다.

ILC는 또 "가이드라인은 토지 소유에 관한 공정하고 투명한 정보 체계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토지에 관한 여성의 권리 및 성 평등을 증진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원주민들이 조상대대로 점유해온 토지에 대한 권리가 보호될 것이며, 다국적기업에는 인권존중의 책임이 분명하게 부과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이번 가이드라인에 법적 구속력이 없어서 실행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는 시각도 있다.

토지 소유 가이드라인을 둘러싼 협상은 2009년에 시작됐으며, 그동안 100여 개 정부와 비정부기구(NGO), 유엔 기구, 민간 부문 등의 대표들이 치열한 논쟁을 벌여왔다.

선진국 정부와 다국적기업, 개인 등에 의한 개도국 토지의 무분별한 매입 행위는 원주민의 토지권 침해 논란과 함께 국제 식량 투기 및 가격 상승을 부추기는 원인이라는 비난을 받아왔다.

mangels@yna.co.kr


728x90
728x90


아프리카토지수탈.pdf



Brussels, 28/02/2012 -- 유럽연합의 생물연료 정책은 아프리카의 식량안보를 계속하여 위협하고 토지수탈을 증가시키고 있다는 걸 새로운 보고서 '(Bio)fuelling injustice'(첨부된 파일)가 보여준다: 아프리카에서 성가신 토지수탈과 식량불안을 복잡하게 만드는 일 없이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유럽의 책임이 오늘 브뤼셀에서 EuropAfrica platform과 FIAN International에 의해 공개되었다. 



그 보고서는 유럽연합이 환경적, 생태적 영향에 맞춰 2012년 자신의 생물연료 정책을 재검토하도록 설정되어 발표되었다. 

"유럽인의 재생가능한 에너지를 위해 수입된 공업형 생물연료는 아프리카에서 토지수탈을 악화시키고 식량권의 침해를 부추긴다"고 유로아프리카의 책임자 Nora McKeon 씨는 말한다. "유럽연합은 자신의 에너지와 농업정책이 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종종 최빈곤국을 해친다는 걸 깨달아야 한다. 의사결정자들은 증거를 무시할 수 없다; 생물연료 정책을 전체적으로 재점검해야 할 때이다."

보고서는 아프리카에서 일어난 토지수탈의 66%인 약 1880만 헥타르가 생물연료 생산으로 인한 것임을 밝혔다. 세네갈과 말리에서 수행한 연구 사례에서 나타나듯 가장 큰 투자자에는 유럽의 기업들이 있고, 유럽의 투자는 앞으로 더욱 증가할 듯하다.

반대 주장에도 불구하고, 유럽연합은 수입에 크게 의존한다. 2008년에 이미 유럽연합은 자신의 생물연료나 생물연료 재료의 약 40%를 수입했다. 

"유럽연합의 생물연료 정책은 확실히 식량불안의 국가에 수출지향형 공업식 농업을 강요하고 전세계에 생산의 증가를 북돋는다"고 FIAN의 Roman Herre 씨는 설명했다. "정책은 유럽연합으로 보내려고 생산하는 생물연료를 그만두게 하는 등과 같은 기아로 영향을 받는 국가에서 일어나는 토지수탈에 대한 어떠한 보호도 제공하지 않는다."

더 나아가 그 연구는 유럽연합과 그 소속국들이 인권에 대한 생물연료 정책의 영향을 적절히 평가하지 않고 유럽의 기업들과 금융가를 규제하지 않음으로써 인권 의무를 위반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 분석은 유럽연합이 자신의 원칙인 개발을 위한 정책 일관성(Policy Coherence for Development)을 위반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린 유럽의 자동차의 연료가 아니라 아프리카의 사람들을 위해 식량을 기르고 싶다"고 세네갈 농촌의 대화와 협력을 위한 전국협의회, CNCR(Conseil National de Concertation et de Coopération des ruraux du Sénégal)의 Marius Dia 씨는 말한다. "세네갈에서 생물연료 작물로의 전환은 실패했다. 우리가 자트로파 생물연료 작물을 시도하기 시작한 이후 생산성이 급격히 떨어졌고, 많은 농민이 속았다고 생각한다. 우린 식량권이 위반되지 않고 적절할 때까지 유럽연합이 자신의 생물연료에 대한 재생가능한 에너지 목표를 포기하길 요구한다."


아프리카토지수탈.pdf
1.8MB
728x90
728x90


December 31 marked the overdue demise of one of the government subsidies that has long propped up the corn ethanol industry. But if you think corn ethanol is now standing on its own in the energy marketplace, take another look. Yes, the Volumetric Ethanol Excise Tax Credit (VEETC) is gone and will no longer pay oil companies for every gallon of ethanol they mix with gasoline. But ethanol still has massive federal backing for corn production as well as lavish state level support. The industry, meanwhile, keeps trotting out spurious “data” as it tries to deny the reality that the ethanol boom is chewing up millions of acres of grassland and forest in order to plant more corn fields, with serious consequences for the climate-altering buildup of carbon in the atmosphere.

A little history: In an effort to encourage the oil industry to accept mandatory ethanol production requirements in the federal Renewable Fuel Standard (RFS) introduced in 2007, Congress created the now-dead VEETC tax credit to reward oil companies for buying the ethanol that they were already required by law to use. The ethanol industry was handed a guaranteed market that ensured they could charge 45 cents more for every gallon – while benefiting from a tacit agreement to ignore ethanol’s poor engine performance and destructive side effects.

Continued subsidies mean continued scrutiny, and corn ethanol lobbyists are worried that the industry could lose the RFS crutch as well. The standard sets a 36 billion gallon target for mixing renewables into vehicle fuel, and it currently limits corn ethanol to no more than 15 billion gallons of that. The remaining 21 billion gallons are supposed to come from “advanced biofuels” that would substantially reduce lifecycle greenhouse gas emissions, but unfortunately, they don’t exist – at least not yet. Corn doesn’t qualify as an advanced biofuel because of a provision called “International Land Use Conversion,” which penalizes corn ethanol for the greenhouse gas impact of converting millions of acres of carbon-sequestering grassland and forest to cornfields. With cellulosic ethanol still largely a pipe dream and corn ethanol long overdue to stand on its own, many are beginning to question the logic of the renewable standard. But not the ethanol industry: Its goal is to increase the amount of corn ethanol required under the RFS. And they will lobby hard for it in 2012.

On Dec. 21, the Renewable Fuels Association (RFA) launched its first salvo by highlighting a new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report (Major Land Uses of the United States, 2007). The ethanol lobby group claimed that the report shows that no significant amounts of land moved into corn production from 2002 to 2007 – that no new land has been converted to grow biofuel feed stocks. Former Secretary of Agriculture John Block parroted the same claim on Jan. 19, adding another off-key voice to a continuing chorus of misinformation.

The RFA is certainly creative. It based its claim on its reading of three elements of the USDA report, all of which are contradicted by the actual data. According to the RFA, the USDA report:

… shows that forest and grassland increased dramatically during a period when ethanol production more than tripled. This is more proof that the wild predictions of ethanol causing cropland expansion and conversion of forest and grassland are just plain wrong.

As proof, the trade group pointed to USDA’s finding of a 34 million acre decline in farmed cropland nationally between 2002 and 2007, while grasslands increased approximately 26 million acres. There’s just one problem with that. The report notes that the government’s method of counting grassland changed between 2002 and 2007, and 26 million acres of pasture land that could be farmed – but hadn’t been – was moved from the cropland to the grassland category. Due to land recovering from drought and other factors, what the report data shows is that harvested cropland actually increased 5 million acres during the period.

And in direct contradiction of RFA’s claims, a 2007 USDA press release makes clear that the increased acreage was planted primarily in corn:

Driven by growing ethanol demand, U.S. farmers intend to plant 15 percent more corn acres in 2007… Producers plan to plant 90.5 million acres of corn, the largest area since 1944 and 12.1 million acres more than in 2006.

The second pillar of the RFA’s specious argument is based upon the claim that:

Urban land acreage quadrupled from 1945 to 2007, increasing at about twice the rate of population growth over this period.

On a national basis, that’s true. But if we look at the places where corn is actually grown, the USDA report paints a much different picture. From 2002 to 2007, fewer than 15,000 acres of land in the Corn Belt were converted to urban uses… out of a total of 8 million urban acres. In Missouri, Ohio and Illinois – home to the largest urban areas in the Corn Belt with more than 6 million acres – no state had more than 30,000 acres converted to urban use in that period. And these increases were offset bydecreases in urban land in other states. From 1997 to 2007, for example, Iowa converted almost 300,000 acres of urban land to cropland – with the result that the amount of urban land in 2007 was lower than it had been in 1959. The same thing happened in South Dakota (41,000 acres converted) and North Dakota (34,000 acres).

So where did all that urban sprawl actually occur? Exactly where you’d would expect: Arizona, Texas, Maryland, Florida, Nevada and other fast-growing areas of the east and west coasts and the south – not exactly places known for their endless cornfields.

The third pillar of the RFA’s argument centers on the claim that:

The estimated acreage of grassland pasture and range increased by 27 million acres (almost 5 percent) between 2002 and 2007, while forest-use land increased 20 million acres (3 percent) from 2002 to 2007, “continuing a trend that became evident in 2002 and reversing an almost 50-year downward trend.”

The quotation was lifted from USDA’s summary  – but the full report explains things differently. The authors note that 6 million acres of grassland with cropland potential was converted to other uses – continuing a 70-year trend. And with respect to forestland, the report is quite clear that the supposed “trend” was actually another accounting change:

The 14 percent decline in forest-use land between 1949 and 2002 was largely due to forest-use land reclassified to special-use areas.

In other words, what reversed was the government practice of not counting “special use” areas as forest, putting those acres back into the forest total. Presto – a forestland increase!

The RFA “analysis” also suffers from relying on five-year old data. It completely disregards what has happened to the Midwest landscape since the corn ethanol boom began in 2007, when the RFS was last updated. As the USDA’s Economic Research Service concludes in its report The Ethanol Decade,  “Until 2006, corn production increases were largely due to increases in corn yields. Since 2006, corn production expansion resulted from increases in corn acreage.”

The RFA concluded by asking policymakers and regulators to:

… take a close look at the new USDA report. There is simply no substitute for real data. Our renewable energy policies and regulations should be based on what is actually happening on the ground…

We couldn’t agree more. Policymakers should look very closely at the original data when reviewing the RFS’s claims, not the lobbyists’ creative interpretations. And after they’ve seen the real data first-hand, they should get back to penalizing corn-based ethanol for its unending assault on the environment and revise the renewable fuel standard to begin phasing out all requirements for using corn ethanol.


728x90
728x90

다른 이들이 그들의 토지를 수탈할 때

가난한 나라에서 농경지 획득에 대한 증거는 쌓이고 있다




중부 시에라리온의 마케니Makeni에 사는 농부는 그들의 엄지손가락과 계약을 체결했다. 2000개의 일자리를 만들어주고, bolis (벼를 재배하는 습지)에서 물을 빼지 않겠다고 안심시켜, 그들은 유럽을 위해 생물연료를 기르기 위한 1억 2000만 평의 토지를 스위스 회사에 50년 임대해 주는 거래를 찬성했다. 3년 뒤 50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존재하고 관개는 bolis를 손상시켰는데, 이러한 개발은 “지역사회의 사회적, 환경적, 경제적 비용에서” 왔다고 코넬대학의 Elisa Da Vià는 말한다.

2009년 국제적 관심을 일으킨 이와 같은 첫번째 거래는 당시 출간된 연구를 인용하면 "토지수탈인지 개발 기회인지" 불분명하다고 했다. 지지자들은 그들이 세계의 일부 가난한 땅에 종자와 기술, 자본을 가져올 것이라 주장했다. 유엔의 식량농업기구의 책임자 같은 비판자들은 그들을 "신식민주의자"라고 불렀다. 그러나 아무도 그들의 주장을 뒷받침할 만한 명백한 증거가 없었다. 현재 그들은 했다. 2년 동안 서섹스Sussex대학의 개발연구소(Institute of Development Studies<IDS>)에서 지금까지 그런 종류 가운데 가장 큰 학회가 100건의 토지 거래를 조사했다. 대부분의 평가는 혹평이다.*




토지수탈은 두드러지게 인기 있었다. 비정부조직인 국제토지연합(International Land Coalition)의 예비 연구는 아프리카에서 절반 이상인 거의 2400만 평이 외국인 투자자와 협상하고 있는 듯하다고 추정했다(차트를 보라). 이러한 추산은 예전 지난해 외국 투자자들이 1710만 평에 투자했다고 발표한 세계은행의 것보다 훨씬 높다. 그것은 여전히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가 2009년 연구에서 450만~600만 평이란 수치를 제시한 것보다 높다. 토지 거래가 4배로 증가했다는 결론을 내리기 위하여 이러한 숫자들을 구분한 것이라 틀렸을 수 있다. 대부분은 비밀리 진행되었기에 계산하기 위해 정확한 내용을 알기 어렵고, 수치는 다른 기간과 관련이 있다.

아직 누군가 그 현상에 검토할 때마다, 결과는 이전 추산의 대략 2배의 수치가 된다. 또한 전체적 범위가 어마어마한 것은 명백하다: 2400만 평은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를 합한 농지의 지역보다 많다. 그리고 토지 거래는 계속되고 있으며, 가능하면 속도를 더 낼 것이다. 남수단 농지의 1/10 이상이 올해 임대되었다 —심지어 그 나라가 정식으로 독립하기도 전에. 지지 집단인 GRAIN은 사우디 사업단이 세네갈의 벼 생산지 가운데 70% 장악하는 제안을 허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한다.

불확실한 것은 토지 거래의 규모만이 아니다. 그들의 계약상의 근거가 너무 희미하다. 일부 공개적으로 맺은 계약은 세부사항이 매우 개략적이다. 그러나 환경과 개발을 위한 국제연구소의 Lorenzo Cotula가 행한 12개의 조사에서는 "목적에 맞지 않는 것"이 많다고 공표했다. Cotula는 양측의 권리와 의무는 보통 너무 모호한 반면, 전통적인 토지 사용권은 흔하게 무시된다고 말한다. 한 농부가 영국계 회사가 탄자니아에서 임엄권을 얻었을 때 물었다: “왜 다른 사람이 우리 땅을 파는가?”

심지어 계약이 체결된 뒤에도 토지 거래가 그것과 일치하게 진행된다는 보증이 없다. 세계은행이 행한 조사는 에티오피아의 Amhara 지역에서 46개 가운데 오직 16개의 프로젝트만 목표대로 진행되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나머지 묵히거나 소농에게 다시 임대되었다). 모잠비크에서는 오직 절반의 프로젝트만 계획대로 진행되었다.

그럼에도 몇 가지 결론은 타당한 듯하다. 토지 거래가 처음 제안되었을 때, 그들은 주인 나라에게 네 가지 혜택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더 많은 일자리, 새로운 과학기술, 더 나은 사회기반시설, 추가 세수. 이러한 약속들은 실현되지 않았다.

지역 주민들은 대개 이러한 것들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을 일자리라고 여긴다. 그러나 지금까지 많은 프로젝트가 아직 작동하고 있지 않기에 부족하고 부분적일 수밖에 없다. 모잠비크에서 세계은행은 한 프로젝트가 2650개의 일자리를 약속하고 겨우 35~40개의 정규직만 창출했다고 밝혔다. 부르키나파소, 니제르, 베넹에서 99개의 작은 프로젝트를 조사한 Thea Hilhorstller는 농촌의 일자리 창출은 “거의 없다”고 보고했다. Cotula가 연구한 공개적으로 구할 수 있는 계약의 단 하나만 창출된 새로운 일자리의 숫자를 명시했다. 그리고 세계은행에 따르면, 일자리가 있어도 외국인 투자자들은 종종 외부에서 직원을 데려와 “갈등이나 속였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고 한다. 한 프로젝트의 운영자는 일자리에 관해 논쟁하다가 살해되었다.

과학기술과 기술의 이전에 대한 증거는 뒤섞여 있다. Hilhorst는 식품가공업자와 유통업자의 긴밀함이 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겠지만, 농업에서 더 큰 전문성으로의 추동력은 거의 없다고 밝혔다. 세계은행의 연구는 멕시코와 우크라이나에서 과학기술적 개선이 농촌의 이주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주장했다(그래도 이것은 놀랍기도 하다: 새로운 노동절감 과학기술이 일거리 없는 농부가 땅을 떠나는 걸 북돋을 수 있다고  예상할 수 있다). 토지 거래 계약에 대한 Cotula의 연구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지역의 농민과 물질이나 생각을 의무적으로 교환하게 하는 몇 가지 예를 발견했다. 바로 지금 토지를 수탈하는 외국인들은 빈곤에 시달리는 농촌 지역을 차단하고 자신만을 위한 섬을 만드는 것처럼 보인다.


증여 없는 수탈

일부 프로젝트의 수행자들은 새로운 학교, 진료소, 기타 "사회적 기반시설"을 건설하는 더 좋은 일을 했다. 마다가스카르는 아마 모든 토지수탈 가운데 가장 악명 높은 일을 목격한 놀라운 사례일 수 있다: 남한의 회사가 국가의 경작할 수 있는 땅의 절반을 제안받았다 —제안은 시위자들에게 기름을 부었고 결국 거래를 승인한 정부가 무너졌다. 2년 뒤 프랑스 연구기관 CIRAD의 Perrine Burnod는 그 섬에서 토지 거래의 숫자가 2/3로 떨어졌다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남아 있는 거래는 투자자들이 스스로 학교와 진료소를 건립하여 원조 프로젝트처럼 보이기 시작했다. 지역 시장들은 재정난에 처한 정부가 더 이상 지원하지 않는 금융프로젝트를 돕는 그들을 환영했다.

그러나 이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대부분의 토지 거래는 공적인 목적에 조금 또는 전혀 기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토지 시장은 미개발의 아프리카와 매우 약한 정부가 하찮은 값으로 거래하기 때문이다: 에티오피아에서는 1년 3000평에 2달러; 라이베리아에서는 5달러. 세금과 임차료 면제가 보통이다. 사실 외국인 투자자가 지역의 소농보다 세금을 덜 내는 것이 드문 일이 아니다. 그리고 그들의 토지 사용에 대한 지역 농민에게 선불 보상은 보잘것 없다: 100년 임차하는 것에 동의하는 것에 대하여 종종 수입의 몇 달 치만.

“그러한 투자와 관련된 위험은 엄청나다"고 세계은행은 결론을 내렸다. “많은 사례에서 공공기관이 수요의 급증에 대처할 수 없었다 … 토지 획득은 종종 특히 권리가 취약한 지역민을 내쫓았다 … 협의는 피상적이었고 … 환경적이고 사회적 보호장치는 매우 무시되었다.”

그럼 토지 거래가 왜 인가 있는가? 그것은 놀랍게도 답하기 쉽다: 강한 수요와 적극적인 공급자. 큰 투자자들은 자기 국민을 먹이는 데에 큰 근심을 지닌 자본수출 국가인 경향이 있다. 세계 시장에서 그들의 자신감은 4년 동안 2번 일어난 식량가격 폭등으로 흔들렸다. 그래서 그들은 해외에 농지를 사들여 식량 공급의 보증서를 구했다. 증국은 다른 누구보다 2배 이상 사거나 빌리는 단연코 가장 큰 투자자이다.

지역의 유지들은 또한 토지 거래가 확산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취리히대학의 Martina Locher는 탄자니아의 프로젝트를 “관습법을 가진 지역 주민은 매우 낮은 수준의 지식을 가져 그들의 토지권을 방어할 수 없다”고 묘사했다. 이에 대조하여 그녀는 "주의 법은 주로 지역 주민에 의해 매우 떠받들여지는 지역 공무원에 의해 대표되었다.”

그러니까 부패가 만연한다. Hilhorst 가 묘사한 서아프리카 토지수탈자의 대부분은 오토바이 선물을 지역의 족장에게 뇌물로 주는 지역 정치인, 공무원, 도시의 엘리트들이다. 위스콘신대학의 Madeleine Fairbairn은 모잠비크에서 전리품의 일상적인 분배가 드러났다고 주장한다. 지역의 중요인물은 '수수료'를 얻고자 자신의 영향력을 쓰는 반면, 국가의 지도자는 법을 조작하고 자신과 자기 지지자들의 이익을 위해 프로젝트를 촉진시키거나 방해한다.

많은 개발 프로젝트는 이러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토지 수탈이 만드는 특이한 것은 높은 수준의 부패와 낮은 수준의 이익의 조합이다. IFPRI의 저자 가운데 하나인 Ruth Meinzen-Dick은 2009년 비용과 이익의 균형은 정말로 불분명했다고 말한다. 이제 그녀는 증거의 부담이 그들이 일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토지 거래의 지지자들에게로 옮겨갔다고 주장한다. 지금 이 순간 그들은 지적하기 위한 귀중한 몇 가지 예가 있다.



* Papers and presentations available at http://www.future-agricultures.org/index.php†“Rising Global Interest in Farmland”, World Bank, 2010.


http://www.economist.com/node/18648855?story_id=18648855

728x90
728x90

중동부터 마다가스카르까지, 높은 가격은 토지수탈을 낳고 독재자를 몰아내고 있다. 21세기 식량 전쟁에 어서오라.


지난해처럼 세계의 밀 가격이 75%까지 오를 때, 미국에서는 2달러짜리 빵 한 덩어리와 원가 계산한 2.10달러 사이의 차이를 뜻한다. 그러나 만약 당신이 뉴델리에서 산다면, 그것은  비용이 치솟는 진짜 문제이다: 실제로 세계의 밀 가격이 두배가 된다는 것은 차파티 값이 두배가 되어 손으로 가루를 내기 위하여 시장에서 집으로 밀을 날라와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리고 쌀도 마찬가지다. 만약 세계의 쌀값이 두배가 된다면, 그렇게 자카르타에서 네 인근 시장의 쌀값이 된다. 그리고 그렇게 인도네시아인 가족의 저녁 밥상에서 밥 한 그릇의 값이 된다.

2011년 새로운 식량 경제에 온 걸 환영한다: 가격은 오르고 있지만, 충격은 똑같이 느끼지 않는다. 자기 수입의 1/10 이하를 슈퍼마켓에서 쓰는 미국인에게 올해 우리가 본 것 같은 치솟는 식량 가격은 재앙이 아니라 짜증일 뿐이다. 그러나 자기 수입의 50~70%를 먹을거리에 소비하는 이 행성의 가장 가난한 20억의 사람들에게 이러한 치솟는 가격은 하루 두 끼니가 한 끼니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세계 경제란 사다리의 낮은 단계에 간신히 매달린 그들은 완전히 자신의 손을 놓아버릴 위험에 처해 있다. 이것은 혁명과 격변을 지속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렇다.

2011년에 이미 유엔 식량가격 지수(Index)는 예전 사상 최고의 수치를 무색하게 만들었다; 3월부터 8개월 연속으로 올랐다. 올해 수확이 충분하지 않을 거란 예측, 가격 폭등의 결과로 불안정한 중동과 아프리카의 정부, 그리고 연이은 충격을 입어 불안해 하는 시장과 함께 식량은 빠르게 세계 정치의 보이지 않는 동인이 되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위기들은 점점 일상적인 일이 되어 간다. 식량의 새로운 지정학은 예전보다 훨씬 더 변덕스러워 보인다 -그리고 훨씬 더 논쟁적이다. 부족함이 새로운 표준이다.

최근까지 세계의 대부분에 걸쳐 20세기 후반의 정치적 안정을 돕도록 상대적으로 낮은 식량 가격으로 빠르게 되돌아가도록 함으로써 급작스러운 가격은 그만큼 문제로 밀어닥치지 않았다. 그러나 현재의 원인과 결과는 불길하게도 다르다.

여러 방면에서 2007~2008년 식량 위기의 재개이다. 당시 식량 부족 사태는 세계가 어떻게든 이를 해결하려고 최종적으로 힘을 합쳤기 때문에 해결된 것이 아니라, 호의적인 날씨가 농민이 최고의 풍작을 기록하는 바로 그 순간  큰 불황이 수요의 성장을 완화시켰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가격 폭등은 거의 이상기후로 추동되는 경향이 있었다 -인도의 이상한 계절풍, 옛 소련의 가뭄, 미국 중서부의 무더위. 그러한 사건은 늘 지장을 주었지만 다행스럽게도 드물었다. 불행하게도 오늘날의 가격 폭등은 높아지는 수요와 생산을 더욱 어렵게 만드는 경향에 의해 추동된다: 그 가운데 빠르게 늘어나는 인구, 작물을 말려 죽이는 기온 상승, 관정의 말라버림. 매일 밤 세계의 저녁 식탁에는 먹여 살려야 하는 21만 9000명의 사람이 추가되고 있다.

여전히 더욱 걱정스러운 건 세계가 부족함의 영향을 약화시키기 위한 그 능력을 잃고 있다는 것이다. 예전 가격 급등에 대한 대답에서, 세계의 가장 큰 곡물 생산자 미국은 잠재적인 재앙에서 떨어져서 효과적으로 조종할 수 있었다. 20세기 중반부터 1995년까지 미국은 곤경에 빠진 나라들을 구출하기 위해 주입할 수 있던 잉여 곡물이나 유휴 농경지를 가졌다. 예를 들어 1965년 인도의 계절풍이 찾아오지 않았을 때, Lyndon Johnson 대통령의 행정부는 미국 밀 작물의 1/5을 인도로 수송하여 성공적으로 기근을 피했다. 우리는 더 이상 그렇게 할 수 없다; 안전 방석은 사라졌다.

그것이 2011년의 식량 위기가 진짜인 까닭이고, 여전히 더 많은 식량 폭동 겸 정치적 혁명을 불러올 수 있는 이유이다. 만약 튀니지에서 Zine el-Abidine Ben Ali, 이집트에서 Hosni Mubarak, 리비아에서 Muammar al-Qaddafi(곡물의 90%를 수입하는 국가)라는 독재자를 내모는 격변이 그 이야기의 끝이 아니라면, 그것의 시작이라면 어떻겠는가? 농부와 외무장관은 식량 부족이 점점 세계의 정치를 형성하는 새로운 시대에는 비슷하다.


2007년 초반 이후 세계의 곡물 가격이 두배가 된 것은 주로 두 가지 요인에 의해서였다: 수요의 성장이 가속화된 것과 빠르게 확대된 생산의 어려움이 증가한 것. 그 결과는 지난 세기의 풍부한 세계 곡물 경제와는 뚜렷하게 달라 보이는 세계이다. 무엇이 부족함이 지배하는 새로운 시대에 나타날 듯한 식량의 지정학일까? 이 초기 단계에서조차 우리는 적어도 신흥 식량 경제의 폭넓은 윤곽을 볼 수 있다.

수요의 측면에서, 농민은 증가하는 압력의 명백한 근원에 직면했다. 첫번째는 인구성장이다. 해마다 세계의 농민은 8000만의 추가된 인구를 먹여 살려야 한다. 그들의 대부분은 개발도상국에 산다. 세계의 인구는 1970년 이후 거의 두배가 되었고 이번 세기의 중반까지 90억에 육박할 것이다. 한편 일부 30억 명은 또한 더 많은 고기, 우유, 달걀을 소비하며 먹이사슬을 높이려고 시도하고 있다. 중국의 중산층에 들어온 더 많은 가족들이 더 잘 먹길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곡물이 집중된 가축 생산의 세계적 소비가 늘어나, 그 수요 덕에 추가적인 옥수수와 콩이 가축의 먹이로 필요해지고 있다(예를 들어 미국에서 1인당 곡물 소비는 적은 곡물이 고기 단백질로 전환되는 인도보다 4배이다. 당분간은.)

이와 함께 한때 어느 곳에 흉년이 들면 세계의 완충제 역할을 할 수 있었던 미국은 현재 많은 곡물을 자동차 연료로 전화시키고 있고, 세계의 곡물 소비도 이미 1년에 대략 22억 미터톤으로 오르며 가속도를 높이고 있다. 10년 전 소비의 성장은 1년에 2000만 톤이었다. 더 최근에는 해마다 4000만 톤까지 올랐다. 그러나 미국에서 그 속도는 곡물을 에탄올로 전환시키면서 전보다 빨라졌다. 2010년에 미국은 거의 4억 톤의 곡물을 수확하여, 그 가운데  1억 2600만 톤을 에탄올 연료 증류장으로 보냈다(2000년 1600만 톤에서 오름). 이러한 연료로 전화시키는 거대한 곡물의 용량은 곡물 가격이 현재 석유 가격에 묶여 있다는 것을 뜻한다. 그래서 만약 석유가 1배렬에 150달러나 그 이상이 되면, 곡물 가격은 석유 대체물로 곡물을 전화시켜 더 이윤이 남음으로써 그것을 따라 치솟을 것이다. 그건 미국만의 현상이 아니다: 사탕수수로 에탄올을 증류하는 브라질은 미국 다음으로 생산하는 두번째 국가이다. 또한 2020년까지 재생가능한 주로 바이오연료로 수송 에너지의 10%까지 해결하는 유럽연합의 목표는 식량작물로부터 땅을 다른 용도로 쓰게 만들고 있다.

이것은 단지 음식에 대한 수요가 확 늘었다는 것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다. 줄어들고 있는 지하수부터 침식되고 있는 흙과 지구온난화의 결과와 같은 모든 것은 세계의 식량공급이 우리의 총괄적으로 높아지는 욕구를 버틸 수 없을 듯하다는 것을 뜻한다. 기후변화를 보자: 작물 생태학자들의 경험법칙은 농사철에 최고온도가 1도씨 오를 때마다 농민은 곡물 수확량의 10%가 감소될 것을 예상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계는 2010년 무더위로 곡물 수확의 40%까지 감소된 러시아에서 아주 극적으로 증명되었다.

온도가 상승하면서 지하수는 농민이 관개를 위해 지나치게 퍼올리면서 줄어들고 있다. 이는 인위적으로 짧은 기간에 식량 생산을 부풀려 대수층이 말랐을 때 터져버릴 식량 거품을 만들고 있으며, 펌프 사용은 필연적으로 재충전 속도를 감소시킨다. 건조한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관개는 놀랍게도 20년 넘게 밀을 자급하는 나라가 될 수 있도록 만들었다; 현재 밀 생산은 그 나라에서 관개를 위해 쓰는 대수층이 보충되지 않고 매우 줄어들면서 추락하고 있다. 사우디는 곧 그들의 곡물 모두를 수입하게 될 것이다.

사우디아라비아는 물을 기반으로 하는 식량 거품의 18개국 가운데 단 하나일 뿐이다.  절반 이상의 세계 인구가 지하수가 부족해지고 있는 나라에서 살고 있다. 정치적으로 문제가 많은 아랍의 중동은 물 부족과 계속 늘어나는 인구 때문에 곡물 생산이 정점을 찍고 감소하기 시작한 첫번째 지정학적 지역이다. 곡물 생산은 이미 시리아와 이라크에서 떨어지고 있고, 예멘도 곧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가장 큰 식량 거품은 인도와 중국에 있다. 약 2000만 개의 관정을 뚫은 농민이 있는 인도에서, 지하수는 부족해지고 있으며 관정은 마르기 시작했다. 세계은행은 1억 7500만 명의 인도인이 지나친 지하수 사용으로 생산한 곡물을 먹고 있다고 보고했다. 중국에서 지나친 펌프 사용은 북부 평원에 집중되어 있고, 여기서 밀의 절반과 옥수수의 1/3을 생산한다. 1억 3000만의 중국인이 현재 지나친 펌프 사용으로 먹고 산다고 추정된다. 어떻게 이러한 나라들이 대수층이 고갈되었을 때 필연적인 부족량을 벌충할 것인가?

우리의 우물이 마르는 것만이 아니라 우린 또한 우리의 흙을 잘못 관리하여 새로운 사막을 만들고 있다. 과도한 쟁기질과 땅을 잘못 관리한 결과인 토양침식은 세계 농경지 1/3의 생산성을 약화시키고 있다. 얼마나 심각하냐고? 거대한 두 곳의 새로운 건조지대를 보여주는 위성사진을 보라: 하나는 중국의 북부와 서부 및 몽골의 서부에 펼쳐져 있다; 다른 하나는 아프리카 중부에 걸쳐 있다. 중국 사막학회를 이끄는 왕타오Wang Tao는 해마다 중국 북부의 약 2240평방킬로미터의 땅이 사막으로 변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몽골과 레소토에서 곡물 수확은 지난 몇 십 년에 걸쳐 절반 또는 그 이상 줄어들었다. 북한과 아이티 또한 심각한 토양 유실로 고통받고 있다; 두 나라는 국제적인 식량 원조를 잃으면 기근에 직면한다. 문명은 석유 매장량을 잃어도 생존할 수 있지만, 흙을 잃으면 생존할 수 없다.

인간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일이 더 어려워지게 만드는 환경적 변화 너머로, 고려해야 할 중요한 무형의 요인이 있다: 지난 반 세기에 걸쳐 또는 그쯤, 우린 농업의 진척을 당연하다고 받아들였다. 10년이 지나고 20년이 지나도 발전하는 과학기술이 높아지는 토지생산성으로 꾸준히 곡물을 뒷받침했다. 정말로 세계의 1200평당 곡물 수확량은 1950년 이후 3배가 되었다. 하지만 현재 그 시대는 농민이 이미 수확량을 올리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과학기술을 쓰고 있는 농업적으로 더욱 진보된 일부 국가에서 종말이 찾아오고 있다. 사실상 농민은 과학자의 발목을 잡았다. 세기를 지나며 일본에서 1200평당 벼 수확량은 16년 동안 전혀 오르지 않았다. 중국에서 수확량은 곧 잠잠해질 수 있다. 단 두 나라가 세계 벼 수확의 1/3을 차지한다. 한편 밀 수확량은 영국, 프랑스, 독일에서 정체기에 빠졌다 -서유럽의 가장 많은 밀을 생산하는 세 나라.


세계의 식량 공급이 긴축되고 있는 이 시대에 식량을 기르는 능력은 빠르게 새로운 지정학적 수단의 형태가 되고 있으며, 국가들은 공유재산의 비용으로 자신의 지역주의적 이해관계를 안전하게 만들고자 재빨리 움직이고 있다.

첫번째 문제의 징후는 농민이 세계의 곡물 수요의 성장을 맞추기 어려워지기 시작한 2007년에 나타났다. 곡물과 콩의 가격이 오르기 시작하여, 2008년 중반 3배가 되었다. 이에 호응하여 많은 수출국들이 수출을 제한함으로써 국내 식량 가격의 상승을 조절하고자 시도했다. 그들 가운데 러시아와 아르헨티나는 밀 수출을 이끄는 두 나라이다. 세계 2위의 벼 수출국 베트남은 2008년 초기에 몇 개월 동안 완전히 수출을 금지했다. 그리고 몇몇 다른 작은 곡물 수출국들이 그렇게 했다.

2007년과 2008년 수출국의 수출 제한과 함께 수입국에서는 극심한 공포가 일어났다. 더 이상 그들이 필요로 하는 곡물의 공급을 위하여 시장에 의존할 수 없었던 몇몇 국가들은 수출국과 신기한 장기간의 곡물공급협정을 맺으려고 시도하는 행보를 보였다. 예를 들어 필리핀은 베트남과 1년에 벼 150만 톤을 받는 3년 협정을 맺었다. 예멘의 대표단은 비슷한 목표를 염두에 두고 오스트레일리아로 이동했지만, 운이 없었다. 판매자가 유리한 시장에서 수출국은 장기적인 약속을 맺는 걸 꺼림칙해 했다.

시장에서 필요한 곡물을 살 수 없을지 모른다는 위협을 느낀 그들 가운데 사우디아라비아, 남한, 중국을 위시한 더욱 부유한 국가들의 일부는 2008년 자신을 위해 곡물을 기를 수 있는 다른 나라의 토지를 사거나 임차하려는 특이한 행보를 보였다. 이러한 토지 획득의 대부분은 일부 정부가 1년에 1200평당 1달러 이하로 농경지를 임대하는 아프리카에서 일어났다. 주된 목적지 가운데는 수백만의 사람들이 유엔 세계식량계획에서 주는 식량으로 살아가는 에티오피아와 수단였다. 이러한 두 나라의 정부는 국민들이 굶주린다는 슬픈 실황으로 외국의 관심에 자신의 토지를 팔고자 했다.

2009년 말까지 수백 개의 토지 획득거래가 체결되었고, 그 가운데 일부는 약 12억 평을 넘었다. 이러한 "토지 수탈"을 분석한 2010년 세계은행의 보고서는 모두 약 17억 평이 연관되었다고 발표했다 -미국에서 옥수수와 밀을 기르는 농경지를 초과하는 지역. 그러한 획득은 또한 일반적으로 물 이용권을 수반하여, 토지수탈은 모든 하류의 국가들에게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현재 이집트에 이르지 않았으나 에티오피아나 수단에서 나일강 상류의 유역으로부터 얻는 모든 물은 이집트와 협상해야 하는 새로운 나라들이 추가됨으로 인하여 섬세한 나일강의 물 정치를 거꾸로 뒤집고 있다.

충돌 -단지 물만이 아니라- 가능성은 높다. 토지 거래의 대부분은 비밀스럽게 이루어졌고, 대개의 사례에 포함된 팔거나 임대차한 토지는 이미 마을사람들이 쓰고 있다. 그들이 이미 농사짓고 있는 땅은 논의의 대상도 아니고 심지어 새로운 협의 사실조차 알리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개발도상국 대부분의 마을에서는 공식적인 토지소유권이 없기 때문에, 그들의 땅을 잃은 농민은 법정 소송을 통해 되찾을 방법도 없다. 영국의 Observer에 글을 쓴 리포터 John Vidal은 에티오피아 Gambella 지역에 사는 Nyikaw Ochalla의 말을 전한다: "외국 회사들이 엄청나게 들어와서 우리가 몇 세기 동안 사용하던 토지를 빼앗고 있다. 토착 주민과 전혀 상의하지도 않는다. 그 거래는 몰래 이루어진다. 지역민들이 보는 유일한 것은 자신의 땅을 침략하기 위한 수많은 트랙터와 사람들이 오는 모습뿐이다."

그러한 토지 수탈에 대한 지역의 적개심이 예외없이 일반적이다. 2007년 식량 가격이 오르기 시작할 때, 중국은 필리핀과 자국으로 운송할 식량작물을 위해 계획된 약 36억 평의 땅을 임대차하기로 협약을 맺었다. 한번 소문이 새어나갔고, 대중의 항의 -필리핀 농민의 대부분- 가 협정을 중단시키고자 마닐라를 압박했다. 비슷한 대혼란이 남한의 회사 대우 로지스틱이 36억 평 이상의 땅에 대한 권리를 얻은 마다가스카르에서 있었다. 거래의 소문이 정부를 쓰러뜨리고 협정을 취소시킨 정치적 분노를 부추겼다. 실제로 몇 가지가 사람들에게서 토지를 탈취한 것보다 더 내란을 부채질했을 것이다. 농기계는 쉽게 파괴된다. 만약 곡물이 익은 농경지에 불을 내면 순식간에 타버린다.

이러한 거래는 외국 투자자에게 위험할 뿐만 아니라, 나라에서 식량을 생산하는 굶주린 사람들이 어떻게 곡물을 생산하느냐는 또 다른 정치적 문제에 직면한다. 마을사람들이 굶주리고 있는데 곡물을 가득 실은 트럭이 항구도시로 가도록 놔두겠는가? 자기의 땅과 생계를 잃은 마을사람들이 있는 나라는 정치적으로 불안정할 가능성이 높다. 충돌은 투자자와 초대한 나라 사이에서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획득은 500억 달러로 추산되는 개발도상국의 농업에 대한 잠재적 투자를 나타낸다. 그러나 상당한 생산 이득을 실현시키는 데에는 오랜 세월이 걸릴 수 있다. 현대의 시장지향형 농업을 위한 공공 사회기반시설이 아프리카 대부분에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일부 국가에서 단지 비료와 같은 농업투입재와 수출 농산물을 옮길 도로와 항구만 건설될 것이다. 그 너머로 현대적 농업은 그 자신의 사회기반시설을 필요로 한다: 농기계 보관소, 곡물 건조시설, 곡물 저장고, 비료 저장시설, 연료 저장시설, 농기계 수리소와 유지 서비스, 관정 뚫는 기구, 관개용 펌프, 펌프를 돌릴 에너지. 전반적으로 지금까지 획득된 토지의 개발은 매우 천천히 진행되는 듯하다.

그러면 이런 모든 것이 세계 식량 산출을 얼마나 확대할 것인가? 우린 알 수 없지만, 세계은행의 분석에 따르면 식량작물에 노력을 기울이는 프로젝트는 단 37%뿐이다. 토지의 대부분은 지금까지 바이오연료와 다른 산업형 작물을 생산하는 데 쓰려고 매수되었다.

이러한 프로젝트의 일부가 결국 토지생산성을 확 높이더라도 누가 혜택을 보겠는가? 만약 거의 모든 투입재 -농기계, 화학비료, 농약, 종자- 가 외국에서 들어오고 모든 산출이 해외로 반출되면, 초대한 나라의 경제에는 매우 적은 기여를 할 것이다. 기껏해야 지역민들은 농장노동자로서 일을 찾을 것이지만, 고도로 기계화된 작업에서 일자리는 몇 가지뿐일 것이다. 최악의 경우 모잠비크와 수단처럼 빈곤한 국가들은 이미 굶주리고 있는 자국 인구를 먹여 살릴 더 적은 토지와 물만 남을 것이다. 따라서 토지 수탈의 심화는 식량 생산의 확대보다는 더욱 심하게 불안을 자극하는 기여를 할 것이다.

이런 부유한 나라-가난한 나라의 나눔은 더욱 확연해질 수조차 있다 - 그리고 곧. 식량을 안정화하려는 수입국들 사이의 재빠른 움직임에서 새로운 단계가 펼쳐지기 시작한 올해 1월, 곡물의 70%를 수입하는 남한은 곡물의 일부를 얻기 위한 책임을 지는 새로운 공공-민간기관을 창설하겠다고 발표했다. 시카고에 최초의 사무소와 함께, 그 계획은 미국 농부에게서 직접 곡물을 사들여 커다란 국제 무역회사를 우회하고자 한다. 한국인은 그들 자신의 대형 곡물창고를 얻음으로써, 고정된 가격으로 밀, 옥수수, 콩의 명시된 양을 사들이는 데 동의하는 농부와 다년간의 납품계약을 제대로 맺을 수도 있다.

다른 수입국들이 시장에 도착하기 전에 미국 곡물 수확의 일부를 묶어 놓으려는 남한의 시도를 가만히 보고 있지 않을 것이다. 진취적인 한국인에게 곧 중국, 일본, 사우디아라비아와 다른 선도적인 수입국들이 합류할 것이다. 비록 남한의 최초 초점이 단연코 세계의 가장 큰 곡물 수출국인 미국에 맞춰져 있지만, 나중에는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아르헨티나와 다른 주요 수출국과의 중개거래까지 고려할 수 있다. 이는 중국이 잠재적으로 거대한 곡물 수입국으로서 미국 시장에 들어오려고 할 수 있기에 일어날 것이다. 많은 미국인의 생득권으로 보이는 곡물 수확과 값싼 식량을 놓고 미국 소비자와 경쟁하기 시작한 점점 부유해지는 중국의 14억 소비자와 함께 끝날 수도 있다.

이렇게 식량 공급을 위해 심해지는 경쟁이 어디로 갈지는 아무도 모른다. 하지만 세계는 2차 세계대전 이후 몇 십 년에 걸쳐 진화된 국제적인 협력에서 모든 나라가 혼자 힘으로 한다는 철학 쪽으로 옮겨갈 듯하다. 식량 민족주의는 개별적인 풍요로운 국가들에게는 식량 공급을 안정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세계의 식량안보를 향상시키는 데는 거의 보탬이 되지 않는다. 정말로, 토지 수탈을 불러오거나 곡물을 수입하는 저소득 국가들은 그들의 식량 상황이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두 세계대전의 대학살과 대공황을 야기한 경제적 실수 이후 국가들은 현대 세계에서 고립되어 살 수 없다는 인식이 부추겨 마침내 1945년 유엔을 만들어 함께 합류했다. 국제통화기금은 통화 체계의 관리를 돕고 경제적 안정과 발전을 촉진하고자 창설되었다. 유엔 체제 안에서 세계보건기구부터 식량농업기구(FAO)까지는 오늘날 세계에서 주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 모두는 국제협력을 조성해 왔다.

그러나 FAO가 세계의 농업 자료를 수집 분석하고 기술 지원을 제공했지만, 세계 식량 공급의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직적 노력은 전혀 없었다. 실제로 최근까지 농업 무역에 관한 대부분의 국제적 협상은 시장에 대한 접근에 초점을 맞추어, 미국과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아르헨티나는 끈덕지게 고도로 보호된 농업 시장을 열도록 유럽과 일본을 압박했다. 그러나 이번 세기의 첫 10년 동안, 공급에 대한 접근은 잉여 식량의 시대에서 식량 부족이란 새로운 정치로의 세계적 이행이 최우선시되는 쟁점으로 드러났다. 그와 함께 어디서나 기근이 위협하는 것을 막고자 일하던 미국 식량원조프로그램은 주로 미국이 기부를 이끄는 유엔 세계식량프로그램(WFP)으로 대체되었다. WFP는 현재 70개국에서 연간 40억 달러의 예산으로 식량 원조 활동을 한다. 그렇지 않으면 국제적인 협력은 적다. 프랑스 대통령 Nicolas Sarkozy -G20의 군림하는 대통령- 는 상품 시장의 투기를 억제함으로써 식량 가격의 상승을 처리하자고 제안했다. 이것은 유용할 수도 있지만, 그것은 식량 불안정의 증상만 다룰 뿐 인구 증가와 기후변화와 같은 근본 원인을 치료하진 않는다. 세계는 현재 농업정책만이 아니라, 식량 안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각각의 에너지, 인구, 물 정책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고 있다. 대신 토지와 물이 부족해짐에 따라, 지구의 기온이 오름에 따라, 세계의 식량 안보가 악화됨에 따라, 식량 부족의 위험한 지정학이 드러나고 있다. 토지 수탈, 물 수탈, 수출국에서 농민에게 직접적으로 곡물을 사는 것은 현재 식량 안보를 위한 세계적 권력투쟁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곡물 재고량의 하락과 기후 변동의 증가와 함께 위험 또한 높아지고 있다. 우린 현재 식량 체계가 언제라도 고장날 수 있는 위기에 매우 가까워졌다. 예를 들어 2010년 모스크바 한가운데에서 일어났던 무더위가 시카고에서 있었다고 생각해보라. 어림수로 러시아에서 예상되는 수확량이던 약 1억 톤에서 40% 감소하여 세계 곡물의 4000만 톤을 잃었지만, 훨씬 더 많은 4억 톤이란 미국 곡물 수확에서 40%가 감소하면 1.6억 톤을 잃게 된다. 세계 곡물의 이월 재고량(새로운 수확이 시작될 때 통 속의 양)은 딱 52일 소비량으로 떨어질 것이다. 이 수준은 사상 최저일 뿐만 아니라, 2007~2008년 세계 곡물 가격이 3배가 되었던 단계인 62일치 이월량의 훨씬 아래이다.

그럼 무엇인가? 세계 곡물 시장에 혼돈이 올 것이다. 곡물 가격은 통상적인 기준을 넘어 오를 것이다. 국내의 식량 가격을 억제하려고 시도할 일부 곡물 수출국들은 2007년과 2008년에 했듯이 수출을 제한하거나 금지하기조차 할 것이다. 텔레비전 뉴스는 러시아 교외에서 일어난 수백의 화재가 아니라, 저소득 곡물 수입국에서 일어난 식량 폭동의 화면과 통제 불능으로 기아가 확산됨으로써 쓰러지고 있는 정부에 대한 보도가 지배해 왔다. 곡물과 석유를 교환하려고 시도해 온 곡물이 중요한 석유 수출국, 그리고 저소득 곡물 수입국들은 손해를 볼 것이다. 실각하는 정부와 세계 곡물 시장에 대한 신뢰가 산산히 부수어져, 세계 경제는 흐트러지기 시작할 수 있다.

우리가 늘 운이 좋을 수 없다. 현재 문제가 되는 것은 세계가 악화되는 식량 상황이란 증상에만 집중하는 것 너머로 나아가, 그 대신 근본적인 원인을 공격하는 것이다. 만약 우리가 더 적은 물과 비옥한 흙을 보존하면서 더욱 높은 작물 수확량을 생산하지 못하면, 많은 농업 지역은 실행가능성이 중단될 것이다. 그리고 이는 농민을 완전히 넘어선 것이다. 만약 우리가 기후를 안정시키기 위한 전시 속도를 바꿀 수 없다면, 우린 식량 가격이 제멋대로 날뛰는 것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만약 우리가 더 적은 가족으로 전환시키고 차라리 일찌감치 세계의 인구를 안정시킬 수 없다면, 기아자의 수는 거의 틀림없이 계속 늘어날 것이다. 행동할 시간은 지금이다 -2011년의 식량 위기가 새로운 정상 상태가 되기 전에.


728x90
728x90

출처 http://www.foodsovereigntytours.org/2011/04/south-korea-part-ii-modernization-and-global-ambitions/



By Anders Riel Muller

남한의 개발 모델은 어떻게 이 나라가 50년도 안 되어서 세계에서 가장 빈곤한 나라에서 경제적 강대국의 하나가 되었는지 종종 외부인을 놀라게 한다. 그 모델은 상대적으로 적은 사회적, 환경적 비용을 지불한 빠른 산업화의 가장 좋은 사례로 일컬어졌다.  분명 이러한   관찰자는 서울 외곽으로 가보지 않았을 것이다. 사회적, 인간적, 환경적 비용은 당신이 도심에서 더 멀리 나서면 누가 봐도 알 수 있다.

한국은 1980년대 말 마침내 연이은 정부에서 민주주의를 이루었지만, 더 많든 적든 똑같은 경제 궤도를 밟아갔다. 역동적이고, 세계적이고 첨단기술 사회인 듯한 한국의 공식적인 인상은 대개의 방문자와 주류 한국인들이 보는 것이다.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정책은 한국을 현대사회로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그리고 한국의 농촌은 이 계획의 일부가 아니다.

증가하는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한 농지에 대한 압력은 주요한 쟁점이다: 농지는 사상 최저로 줄었다(farm land). 도시와 산업개발을 위해 토지에 우선순위를 매긴 최근 사례는 40년 뒤 마침내 실현된 새만금 간척사업이다. 401㎢ 사업은 쌀 생산량을 위한 농지를 늘리고자 1971년 제안되었다. 2011년 3월 정부는 이미 한국의 쌀 생산은 충분하다는 논거를 기반으로 그 땅의 오직 30%만 농지로 보존하고 나머지 70%는 주거용, 산업용, 상업용으로 개발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그러한 논거는 쌀 생산을 위한 해외기지를 얻으려고 정부 스스로 개입하는 데에서 극명하게 대조된다(landoverseas). 한국의 경관을 바꾸고 있는 다른 주요한 사업은 4대강 사업이란 이름의 어마어마한 물 사업이다. 정부는 농민과 도시지역이 똑같이 혜택을 보고 심지어 UNEP에서 좋은 기후 적응의 사례로서 갈채를 받았다고 이러한 거대한 물길 복원 사업을 홍보했다. UNEP는 나중에 한국의 환경단체들의 강력한 비판을 받고서 그들의 지지를 철회했다. 비판자들은 농지를 더욱 감소시키고, 수많은 문화역사유산(heritage)을 파괴한다고 역설한다. 두 사례는 정부가 도시지역에 집중하고 농민과 농촌주민의 필요와 요구는 무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농업의 위기에 기여하고 있는 또 다른 요인은 주로 도심지의 식습관 변화이다. 서구식 먹을거리는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편하게 즐기게 되었다. 한식에 대한 자부심은 남아 있지만, 서구식 요리법은 부와 세계적 생활방식의 상징이다. 유제품, 빵, 고기는 수요가 높다. 예를 들어 서울에서 빵집은 골목마다 있다. 한국 농업생산과 한정된 토지의 양이란 구조에서는 이러한 많은 생산물을 국내에서 생산할 수 없다. 그뿐만 아니라 치즈와 고기의 생산은 훨씬 많은 자원이 집중되고, 이렇게 하여 토지, 물, 사료에 대한 수요를 높이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의 농촌에 있는 가족을 찾아갈 때, 고기는 여전히 가끔 먹는 호사로 여겨진다. 그러나 서울에서는 주로 구워 먹는 고기를 먹지 않고 하루를 보내기가 어려울 정도다. 


식량위기에 대한 ‘해결책’: 시장 개방과 해외기지 확대

시간이 지나면서 산업개발과 인구압이 토지의 수용력 너머로 한국의 식량 수요를 밀어붙였다. 2008년 식량 가격의 위기 이후, 남한은 해외의 농지를 얻으려는 중국, 일본, 아랍에미리트, 사우디아라비아와 같은 나라들 사이에서 가장 적극적인 나라의 하나가 되었다(farm land acquisitions). 최근 중앙일보는 사설에서, 해외의 농지를 확보하여 세계 농산물 시장의 투기(speculation)에 대응해 나라를 보호하고 식량 공급을 안정적으로 하려는 남한의 시도를 독려했다. 이러한 점은 한국이 20세기 초반 일제에 강점되며 한국의 소농들을 엄청난 이주와 빈곤에 빠지게 만든 토지수탈에 저항했던 역사를 고려하면 흥미롭다. 

이렇게 토지를 얻는 곳은 대부분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에 있다. 토지 구매의 자세한 사항은 접근하기 어렵고, 그러한 거래의 대부분은 수단처럼 인권 침해가 의심스러운 나라들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남한의 가장 큰 식품기업의 대부분은 종종 협상을 돕는 등 남한 정부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어떤 경우에는 한국 농촌공사와 같은 공기업이 직접 이러한 농지를 소유하고 경영한다. 가장 유명한 토지 거래는 2008년 발표된 남한의 대우가 마다가스카르의 농지 130만 헥타르(경작할 수 있는 땅의 거의 절반)를 99년 동안 임대한 일이다. 그 제안은 마다가스카르에서 광범위한 사회불안을 불러일으키고 대통령인 Marc Ravalomanana이 떨어지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 새로 선출된 반대편 지도자는 서둘러 토지 거래를 뒤집어버렸다(land deal).

그런데 남한이 자급하지 못하는 것을 경제개발 전략의 탓이라고만 할 수 없고 -곧 도시 인구와 농업을 두고 산업 개발을 우선시하는- 가장 큰 무역 상대인 미국과 장기적으로 유대 및 의존한 결과이다. 미국 식량 수입에 대한 남한의 의존성은 한국전쟁의 종료로 거슬러올라간다. 한국전쟁이 끝나고, 한반도는 연합군과 공산군 사이의 엄청난 전투로 폐허가 되었다. 특히 미공군은 군인과 민간인을 목표로 무차별적으로 폭격을 퍼부었다. 사실 미국은 베트남전쟁에서 내내 그러했듯이 한국전쟁에서도 네이팜탄을 더 많이 사용했다. 그 전쟁은 한국을 폐허로 만들었고, 이 나라는 전쟁이 끝난 뒤 오랫동안 미국의 막대한 구호식량을 받았다. 미국의 식량원조는 처음에는 가난하고 굶주린 수백만 전쟁 피해자를 먹여 살리는 데 도움이 되었다. 하지만 세월이 흘러 미국의 식량원조는 곡물 가격을 낮게 유지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고, 이에 따라 남한의 농업 부문은 침체되었다.

이 글에 썼듯이, 그 마무리는 미국과 남한 사이의 자유무역협정이다. 협상은 오래전인 2007년 시작되었고, 남한에서 광범위한 시위의 주제가 되었다. 특히 2007년 미국산 소고기 수업에 반대하는 수천 명의 사람들이 거리로 뛰쳐나왔다(US beef). 남한이 2005년 세계무역기구에 가입한 이후 한국의 농민은 값싼 수입품으로 농촌 생계가 점점 어려워지는 압력을 느껴왔다(rural livelihood). 미국 농무부는 자유무역협정의 승인이 한국으로 수출되는 식량을 상당히 늘릴 것이라 추정하고 있다. 미국은 이미 미국 농산물을 위한 다섯번째 큰 시장인 한국으로 이미 50억 달러를 넘게 식량을 수출하고 있다. FTA가 체결됨에 따라 전통적으로 남한의 농업이 가장 보호하던 쌀을 포함하여(protected area) 거의 모든 농업 무역 관세는 사라질 것이다.


파도와 싸우기

해외의 토지 취득과 자유무역협정은 기업의 이윤, "식량안보"와 "현대의" 강대국으로 한국을 확립하려는 끈질긴 추구라는 명목으로 전국 방방곡곡 농촌사회의 관 속으로 손톱을 더욱 깊숙이 밀어넣을 것이다.

그러나 농민은 강력히 맞서서 자신의 목소리를 나라 안에서만이 아니라 점점 더 국제 무대에서 들려주고 있다. 남한 농민의 역경이 처음 국제적으로 조명을 받은 것은 2003년 칸쿤에서 열린 장관회의에서였다. 협상장 밖에서 농민활동가 이경해는 울타리에 올라가 WTO의 소농에 대한 폭행에 항의하는 수천의 시위대와 경찰이 지켜보는 앞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그 이후 전국농민회총연맹과 전국여성농민회총연맹은 세계의 식량 체계에 대한 신자유주의 무역정책과 농산업 지배에 대항하는 세계적인 투쟁에서 강력한 목소리가 되었다. 

또한 소비자는 점점 한국의 개발노선이 농민과 농촌사회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자각하게 되었다. 23만 이상의 소비자 회원과 1700의 생산자가 함께하는  생태적인 지향의  협동조합 한살림은 농민과 도시 소비자들의 직접적인 관계를 회복시키고자 일하고 있다. 한국 정부의 개발노선에 환멸을 느낀 도시와 농촌의 활동가들이 급속한 산업화와 끊임없는 부의 추구로 잃어버렸다고 생각하는 문화, 역사, 토지, 음식에 대한 연결을 회복하고자 그들 스스로 농촌 지역에 설립하고 1980년대 말~1990년대 초반에 시작했다(recover the connection).

남한은 근대화와 세계화를 추구하며 얻은 것과 잃은 것이 무엇인지 보여줄 뿐만 아니라, 사람과 자연, 역사, 문화를 존중하는 대안적인 방법이 있는 모범적인 사례이다.



728x90
728x90


남한이 자급할 수 없는 건 경제개발 전략만이 아니라 가장 큰 무역 상대인 미국에게 오랫동안 의존한 결과이기도 하다.



이는 남한이 아시아의 경제적 문화적 강대국으로 빠르게 변화하며 나타난 농업의 역할, 식량안보, 사회운동을 조사한 첫번째  글이다. 이 글은  어떻게 이 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빈곤한 나라에서 단 50년 만에 부유한 나라가 되면서 가장 혜택을 입지 못한 것이 농민과 농촌사회라는 관점에서 주의 깊게 살펴볼 것이다.




인구 1000만 이상(수도권에 2450만)이 사는 남한의 수도 서울을 걸어다니면 많은 식당을 볼 수 있다. 서울에서 외식은 식품이 싸고 풍부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과도한 경쟁사회에서 늦게까지 일하기 때문에 집에서 먹는 것만큼 일상적이다. 서울은 한국의 심장이다. 그곳은 삼성, 현대, 대우, 엘지와 같은 대기업과 정부기관이 자리하고 있다. 그곳은 유행에 밝고, 현대적이고, 빠르게 세계의 코스모폴리탄의 하나가 되었다. 한국 음식은 또한 특히 미국에서 대중적인 민족요리가 되었다. 사실 남한 정부는 동아시아에서 차지하는 경제적, 문화적 위치를 바탕으로 활발히 한국음식을 해외시장을 겨냥하여 홍보하기 시작했다.

한국 요리는 이웃한 중국과 일본과 다르기에 국가 자존심의 근원이다. 당신은 남한에서 수백 개의 케이블 방송을 휙휙 돌려봐야 한다. 거의 모든 다양한 방송이 남한의 많은 지역적 요리법에 관한 것이다. 가을에 내가 캐나다 몬트리올을 방문하여 나의 오래된 거리를 걸었을 때, 나는 한국식당이 내가 살던 곳에서 몇 블럭 떨어져 문을 연 것을 보았다. 식당의 이름은 한국의 옛 음식 전통만이 아니라 이웃한 두 거인의 나라의 지배에 대한 저항을 뜻하는  “5000 Years”이었다. 한국 요리는 그 나라의 오랜 역사와 문화유산, 주변 제국으로부터 독립국으로 살아남기 위한 빈번한 투쟁을 상징한다. 그러나 남한은 거의 어떠한 식량도 기르지 않는다. 안보 차원으로 자급하는 쌀을 빼고 한국은 90%의 식량을 해외에서 수입한다.

남한은 인류 역사에서 가장 빠른 산업화를 겪은 한 나라이다. 1950년에 인구의 70~80%가 농업 부문에서 일하고 있었다. 오늘날 8% 이하의 인구가 농업 부문에서 일하고, 남한은 세계에서 가장 도시화되고 현대의 산업화된 나라의 하나가 되었다. 지난 몇 년 전에 남한은 중국, 일본, 사우디아라비아, 두바이 등과 같은 나라와 함께 식량안보라는 명목으로 토지를 수탈하던 일로 관심을 받았다. 어떻게 식민지에서 벗어나 가장 가난했던 이 나라가 세계에서 최근 가장 큰 토지수탈자의 하나가 되었는가? 그리고 그것은 국내 농업 부문에 대한 무엇을 의미하는가? 한국은 식민지, 빠른 경제개발, 농촌경제에서 산업경제로 빠르게 전환을 이루어 현저히 대조되는 흥미로운 연구대상이다.

소농의 생계와 토지변형은 한국 현대사의 중심에 있다. 본질이 밝혀지는 결정적인 순간은 소농이 부패한 정부관료와 무거운 세금에 반대하여 일으킨 1894년 동학혁명이다. 그혁명은 조선 정부와 지배적인 토지소유 계급의 요청으로 건너온 일본군에 의해 폭력적으로 진압되었다. 일본에 의해 조선의 모든 직업이었던 소농의 처지는 더욱 악화되었다. 일본의 유일한 관심은 조선을 식량과 그들 제국의 야심을 채울 다른 생산물의 공급지로 만드는 일이었다. 그렇게 하면서 일본인 관리자들은 지배적인 토지소유자 계급과 연합했다. 1920년대까지 조선에서 소농의 대부분은 수확의 50%까지 떼이는 소작인으로 전락했다.

조선에서 소작농은 편안히 앉아 있지 못했고, 일본인 식민지 개척자는 농경지를 사들여 조선에 여전히 존재하던 매우 계층화된 봉건사회 구조를 강화시켰다. 한국의 소농은 일제와 그 협력자들에게 대항해 수없이 들고 일어났다. 사실 소작농은 2차대전이 끝난 뒤 한국에서 가장 강력한 정치운동을 이끌었다. 소련이 점령한 북쪽에서 과감한 토지개혁이 1940년대 말에 이루어졌다. 9000평 이상의 모든 농장은 몰수되었고, 마을의 소농위원회가 소농에게 토지를 재분배했다. 이러한 토지개혁은 이승만이 이끈 남한 국수주의자의 보수적인 정권을 위협했다. 그러나 미국 군정은 거대한 소농 봉기에 대한 두려움(그리고 적화통일을 이유로)으로 그들이 소유한 토지에 대한 개혁을 시행하라고 남한 정부를 압박했다. 남한에서 토지개혁은 북한처럼 포괄적이 아니라 소농의 불만을 달래는 수준에서 이루어졌다.

이런 중요한 개혁에도 남한은 한국전쟁 이후 농업 부문에 별 관심이 없었다. 농촌 인구는 국가의 아찔한 산업화를 위한 값싼 식량과 노동력의 원천으로 취급되었다. 토지개혁은 소농의 운동을 진정시키는 데 이용된 반면, 농업에 대한 투자는 적절한 생계수단을 제공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았다. 몇몇 기근이 있었지만 대부분의 농민은 빈약한 삶을 자수성가하고자 노력했고, 1960년대 이후 젊은 세대의 대부분은 도시로 이주하는 것이 유일한 선택권이었다. 젊은 여성들은 시골을 떠나 노동력 착취의 현장에서 끔찍한 조건을 견디며 그들의 일가친척에게 돈을 부치기 위해 일했다.

남한 농촌이 제공하는 값싼 식량과 노동력은 박정희와 같은 독재자가 산업혁명을 이룬 결정적인 요인이다. 반면 시골은 방치되었다. 오늘날 대부분의 한국인은 농사를 퇴보되고 바람직하지 않은 일로 본다.  차이는 아주 놀랍다: 한편으로 남한의 도시 중심가는 공식적으로 "반짝이는 한국"의 상징이고, 다른 한편으로 모험적으로 귀농하는 일은 농촌 지역사회의 어려운 삶이라 본다. 남한에서 평균 농민은 구식 기계로 약간의 땅을 일구는 50세 이상이다. 빈곤은 모든 곳에서 발견되고, 농사짓는 삶은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고, 많은 농촌의 한국인은 시골을 떠나 동남아시아에서 온 여성들과 결혼한다. 농촌 지역에서는 세 가구 가운데 하나는 현재 한국인과 외국 여성의 가정이다.

농민과 소비자 모두는 한국에서 주류인 개발논리에 맞서 대안을 세우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들은 다른 종류의 삶을 꿈꾸고 있다: 사회적으로 옳고,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하며, 농촌 생활의 역사와 전통에 존경을 표하는 것이다. 1997년 금융위기 이후, 귀농운동에 합류하는 사람들이 늘어나유기농업과 식량주권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협동조합을 세우고  있다. 우리는 다음 기사에서 이러한 현상의 일부를 분석할 것이다. 이번 시리즈에서 다음 기사는 식량위기에 대한 한국의 대응을 살필 것이다.

Anders Riel Muller is a Research Fellow at Food First and the South Korea Tour Coordinator for Food Sovereignty Tours. He is developing a South Korea tour for 2012.

http://www.foodsovereigntytours.org/2011/03/south-korea-part-i-food-is-key-to-national-identity%E2%80%A6but-farmers-are-left-out/

728x90
728x90

The-21st-century-African-land-rush.pdf


The-21st-century-African-land-rush.pdf
2.45MB
728x90

'곳간 > 문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경밀이란?  (0) 2011.02.13
유전자다양성이란?  (0) 2011.02.10
홀태란?  (0) 2011.01.18
구실잣밤나무  (0) 2011.01.13
이토 아비토伊藤 亜人(1943~ )  (0) 2011.01.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