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종자37 전여농, 세계 식량주권상 수상 2000년대 중반, 한국의 여러 농업관련 단체들에서 토종씨앗의 가치와 중요성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그 대표적인 곳이 전여농, 흙살림, 귀농본부 등이다. 그리고 그들의 필요에 의해 탄생한 것이 바로 토종종자모임 씨드림이다. 그렇게 저마다 토종씨앗을 찾고 보존하는 운동을 펼친 지 5~6.. 2012. 11. 14. 공업형 농업에 관한 신화 "The food revolution is the biggest revolution of our times, and the industry is panicking," says Shiva [AFP] Reports trying to create doubts about organic agriculture are suddenly flooding the media. There are two reasons for this. Firstly, people are fed up of the corporate assault of toxics and GMOs. Secondly, people are turning to organic agriculture and organic food as a .. 2012. 9. 24. 토종종자를 보전하고 전통농법을 되살리려는 일본인들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현재 우리도 이러한 모임이 있는데, 아직 요리로까지 연결되지는 못했다. 전통 식문화의 부활이란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겠다. 토종작물은 수십 년, 수백 년이란 세대를 넘어 맛과 향기, 식감에 재배법과 요리법을 현대에 생생히 전하는 '살아 있는 .. 2012. 9. 3. 강순희 "제주 토종씨앗 살려야 식량주권 지킬 수 있어" 2008년 12월, 2주일에 걸쳐서 제주도의 모든 마을을 돌며 토종종자를 조사 수집했다. 그렇게 하여 200여 종이 넘는 토종종자를 모았다. 그렇게 모은 종자는 일부를 농촌진흥청 유전자원센터에 보관시키고, 일부는 씨드림에서 보관하고, 나머지는 모두 제주도 여성농민회에게 맡겼다. 이제 .. 2012. 8. 18. 씨드림 토종 밭 김매기 밭이 밭이 아닌 밀림처럼 풀이 무성하여 회원의 손이 필요했습니다. 안완식 박사님께서 공지로 회원 분들의 도움을 요청하셨지요. 어느 정도인가 가 보았더니, 으악~~~. 이 정도인 줄은 몰랐습니다. 좀 더 일찍 도움을 요청했어야 하는 건 아닌지... 풀이 너무 억세져서 뽑기도 힘든 지경이.. 2012. 7. 29. 토종종자 씨드림 다섯번째 만나는 날 3월 11일, 수원시 농업기술센터에서 씨드림 정기모임을 열었습니다. 참, 그전에 오전에는 토종학교가 열렸습니다. 그 모습 잠시 보시죠. 전국 각지에서 모이신 분들, 앞으로 1년 동안 몇 번에 걸쳐 얼굴을 볼 분들이니 자기소개를 빼놓을 수 없지요. 정말 토종 종자에 관심과 열정이 넘치는.. 2012. 3. 12. 이전 1 2 3 4 5 ···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