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잔류농약6

과일의 항생제 살포 문제 나는 축산업에서만 항생제 남용이 문제가 되는 줄 알았는데, 현장에서 과수 농사를 짓는 분 이야기를 들으니 과수에서도 세균병 때문에 항생제를 엄청나게 뿌린다고 하신다.그래서 오늘 아침에는 해당 내용으로 인터넷 검색을 하니 이런 글이 나왔다. 2013년에 작성한 내용인데, 세균병에.. 2018. 3. 16.
스웨덴에서 일어난 일 스웨덴에서 이런 일이 있었다고 한다. 유기농 농산물을 먹으면 그것이 몸에서 농약 성분을 제거해준다고 선전한 동영상이 있었나 보다. 그걸 농약 관련 기업들이 가만히 두지 않고 소송을 제기했고, 법원에서 동영상의 주장이 얼토당토 않다며 원고 측의 손을 들어주었단다. 대략적인 건.. 2017. 7. 7.
믿지 못할 무항생제 인증제 농산물에는 유기농업 이전 단계로 무농약이라는 것이 있다. 말 그대로 농약을 쓰지 않고 농사지은 농산물에 붙여주는 인증이다. 그것과 마찬가지로 축산물에는 무항생제라는 것이 있다. 이건 항생제와 같은 약품을 쓰지 않고 가축을 사육했다는 뜻이다. 항생제는 가축의 질병을 치료하.. 2016. 5. 25.
프랑스 와인의 잔류농약 문제 A study of more than 300 French wines has found that only 10% of those tested were clean of any traces of chemicals used during vine treatments.Pascal Chatonnet and the EXCELL laboratory in Bordeaux tested wines from the 2009 and 2010 vintages of Bordeaux, the Rhone, and the wider Aquitaine region, including appellations such as Madiran and Gaillac. Wines were tested for 50 di.. 2013. 12. 8.
농경지 토양 중 농약의 잔류 1. 토양 중 농약잔류 1980년대 초까지는 환경 중 생물농축성이 큰 유기염소계 농약이 극미량이나마 검출되었으나 1990년 이후에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환경 중 잔류 우려가 없는 유기인계 농약이 낮은 검출빈도로 극미량 검출되었다. 표 1. 논토양 중 농약 잔류량의 변화 (농약연 : 1982, 농과.. 2013. 1. 22.
잔류농약 관리 효율적 방안 뭔가 잔류농약 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포지티브리스트 시스템 도입을 놓고 찬반 양론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일각에서는 먹거리 안전을 위해 현행 네거티브리스트 시스템을 포지티브리스트 시스템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쪽에서는 현 제도도 포지티브리스트 시스.. 2012. 12.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