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유무역16

타이완 농민들의 세계화 반대 시위 대만은 그 역사와 문화가 한국과 아주 비슷하다. 그래서인지 농업 부문도 그러한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재 대만은 시장개방, 특히 농산물 시장의 개방으로 농민들이 큰 위협을 받고 있다. 미국의 통상압력은 물론, 중국에서 수많은 농산물이 밀려들어오려고 준비 중이다. 대신.. 2013. 2. 18.
생물다양성의 상품화 <농민과 사회> 1999년 겨울호(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에 축약된 형태로 실렸습니다. -------------------------------------------------------------------생물다양성의 상품화 The Merchandising of Biodiversity마르티네즈 알리에르(J. Martinez-Alier) 1)출전: T. Hayward, J. O'Neil(eds.), 1997, Justice, Property and the Environment, Ald.. 2012. 6. 13.
자유무역과 농업 세계은행과 IMF는 아프리카 국가에 소규모 농업을 포기하고 수출형 작물(커피•카카오•목화 등)을 생산해 번 외화로 식량을 수입하라 권했다. 이로써 가구 소득이 늘고 인구증가율도 낮아질 거라 보았다. 하지만 이러한 전략은 실패했다(WRI, 2007). 2012. 2. 23.
세계의 물발자국은 자유무역과 연결되어 있다 More than one-fifth of the world’s water supplies go towards crops and commodities produced for export, a new study reports. As developed nations import water-intensive goods from overseas, they place pressure on finite resources in areas where water governance and conservation policies are often lacking. Researchers from the Netherlands have quantified and mapped .. 2012. 2.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