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유무역16 지금이 식량주권을 주장할 기회이다 아베 수상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배웠는지 만만한 한국을 상대로 무역 분쟁에 들어갔다. 그나저나 지금이야말로 기회가 아닙니까! 국제적인 자유무역을 통해 번영을 누릴 수 있다고 선전하던 신자유주의 체제의 주장이 이렇게 한순간에 깨질 수도 있다는 것이 입증되고 있지 않습니까. 자.. 2019. 7. 3. 북미자유무역협정의 혜택을 입은 캐나다의 농업 북미자유무역협정, 즉 NAFTA에 대한 비판이야 이제는 자주 들어서 다들 잘 알고 있을 정도이다. 얼마전 나프타 이후 멕시코의 비만 문제가 심화되었다는 뉴욕타임즈의 기사도 그 하나이다.그런데 오늘은 이런 글도 보았다. 캐나다의 농업 부문은 북미자유무역협정 이후 엄청난 이득을 보았.. 2018. 1. 6. NAFTA와 멕시코의 비만 문제 복잡하고 어렵다.오늘은 뉴욕타임즈에 실린 북미 자유무역 협정과 멕시코의 건강 문제에 관한 글을 보았다. 자유무역협정으로 멕시코는 분명 얻은 것과 잃은 것이 있는 것 같다. 그것이 좋은지 나쁜지 어떻게 평가하고 판단해야 할지 모르겠다. 어렵다.지금 이 순간, WTO 협상이 한창인 아.. 2017. 12. 12. 자유무역의 빛과 그림자 아래 기사에 들어가면 NAFTA 라는 국가간 자유무역협정으로 멕시코와 미국의 농업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볼 수 있다. 한마디로 멕시코는 미국의 저렴한 식량생산기지로 전락하고, 미국은 그를 위해 원재료를 공급하는 대규모 단작식 농업의 함정에 빠지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멕시코의 소.. 2017. 8. 10. 소농의 기본권인 종자권 씨앗이 없으면 농업도 없다.[1 파종과 수확을 위한 종자 또는 기타 식물의 생식기관(식물체, 삽수, 접수, 구근, 덩이줄기 같은)] 농경이 시작되고 1만 년에 걸쳐[2 프랑스 농업부: http://agriculture.gouv.fr/histoire/2_histoire/index_histoire_agriculture.htm], 농민은 자신의 수확물에서 구애를 받지 않고 이듬.. 2017. 6. 20. 쌀 관세화 정책 발표 2014년 7월 18일 금요일, 한국 정부는 2015년 1월부터 쌀 관세화 정책을 시행하겠다고 발표함으로써 쌀 시장을 개방하였다. 이 발표에 며칠 전부터 노숙을 하며 시위를 하던 농민단체 회원들은 분노하기에 이르렀고, 항의하고자 정부청사에 진입하는 것을 가로막는 경찰에게 쌀을 집어던져 .. 2014. 7. 18.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