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유전자16

밀 유전자 지도 곡물 중 가장 늦게 해독된 밀 게놈(유전체). 밀은 게놈 크기가 16Gbp(160억 염기쌍)로 사람(3.23Gbp)보다 5배 많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아침엔 부드러운 식빵, 점심엔 든든한 샌드위치, 저녁엔 맥주와 함께 피자 한 조각. 삼시세끼를 빵으로 해결하는 이들의 귀가 번쩍 뜨일 소식이 나왔다. 빵.. 2018. 11. 28.
유전자 편집(CRISPR) 기술을 활용한 동식물은 유전자변형 식품이다 유럽연합 법원에서 중요한 판결이 내려졌습니다. 유전자 가위 등이라 불리는 유전자 편집 기술로 개발한 동식물은 기존의 유전자변형 생물체(GMO)와 같은 것이라는 판결입니다. 이로써 유전자 편집 기술은 기존의 유전자변형 기술과 다른 것으로서, 그것과 마찬가지의 규제와 비판에서 .. 2018. 7. 26.
자연과학에서 본 벼의 기원 유라시아 농경사 권1 제3장 자연과학에서 본 벼의 기원 이시카와 류지石川隆二 벼의 기원과 분류 일본에 퍼진 벼 일본인인 우리들이 일반적으로 먹고 있는 쌀은 벼, 학명으로는 오리자 사티바Oryza sativa를 재배하여 수확한 것이다. 세계에서 남극 대륙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즉 고위도 .. 2018. 4. 15.
어디까지 쓰이는가? DNA 유라시아 농경사 권1 기고 3. 어디까지 쓰이는가? DNA 나카무라 이쿠오中村郁郞 이 기고문에 주어진 제목 "어디까지 쓰이는가? DNA"는 농경사를 연구하기 위하여 DNA 해석이 어디까지 쓰이는지 하는 것이다. 농경사에 관한 생물학적인 측면은 인류가 농경을 개시한 이래 어떤 생물(식물, 동물.. 2018. 4. 11.
신석기혁명은 인류에게 축복인가, 저주인가? 유전자 분석이 이런 수준에까지 올라왔다.과거의 유골을 분석하니, 육류와 해산물 소비가 증가하는 것과 함께 곡식과 채소의 소비가 확 줄었다가 농경이 시작되었다는 신석기혁명 즈음하여 그러한 양상이 역전된다는 연구결과이다. 과연 당시에는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잡아먹을 수 .. 2017. 6. 20.
작물의 야생종이 중요한 까닭 작물의 야생종이 중요한 까닭은? 역시나 유전적 다양성 때문이다. 그러나 현대의 농업은 산업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지나치게 획일화, 단일화되고 있다. 그로 인해 혹시라도 발생할 사태가 우려스럽다. 그래서 토종이라도 열심히 보전하고 퍼뜨려야 하지 않을까 한다. --------- Nora Castañ.. 2014. 6.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