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식량75

유전자변형 식품을 막으려는 가나의 활동가들 과거 한국을 위시한 개발도상국들이 농업의 산업화와 경제성장을 위해 녹색혁명이란 길을 선택했다. 이를 통해 하이브리드 종자, 농약, 화학비료, 농기계가 도입되었고, 결국 엄청나게 생산성을 높이면서 산업화, 경제성장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다. 이제는 아프리카 대륙을 비롯한 동.. 2013. 8. 8.
실험실에서 만든 고기가 아프리카의 식량을 보장하지 못한다 앞으로 어떤 미래를 열어줄지 모르지만, 한마디로 엉뚱한 곳에 돈을 쏟아붓고 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여기에 투자할 돈을 아프리카 농민들이 직접적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사업에 투자하면 어떨까? 특히 소농과 생태농업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단체와 개인들에게 말이다. 여기.. 2013. 8. 7.
당신을 위한 첫 유전자변형 동물: 연어 2012년 12월의 기사로 꽤나 시간이 지났지만 그때의 충격을 잊을 수 없다. 연어라면 지금 한국 사람들도 흔하게 먹는 음식인데 이에 대한 유전자변형이 이루어졌다니! 지금 당장이야 미국에 국한된 이야기지만, 이게 언제 확산될지 모르는 일이 아닌가. 이렇게 가다가는 정말 세상에 먹을 .. 2013. 7. 24.
미국에 식량위기가 닥치고 있다 THIS summer the tiny town of Furnace Creek, Calif., may once again grace the nation’s front pages. Situated in Death Valley, it last made news in 1913, when it set the record for the world’s hottest recorded temperature, at 134 degrees. With the heat wave currently blanketing the Western states, and given that the mercury there has already reached 130 degrees, the news med.. 2013. 7. 23.
해외농업개발의 실태와 과제 해외농업개발의 실태와 과제.pdf 2013. 7. 17.
세계의 식량 생산력이 정체기라는 경고 언제나 그랬듯이, 식량 문제로 유명한 레스터 브라운 씨가 세계의 곡물 생산량이 지금과 같아서는 앞으로 늘어날 인구를 먹여살리기 어렵다고 경고한다. 그리고 뒤에 나오는 과학자들은 유전자변형에 대한 이야기를 꺼낸다. 얼마전 영국의 환경부 장관 페터슨 씨가 영국은 유전자변형에.. 2013. 7.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