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23 트랙터에 밀려난 소의 가치를 재발견하다 무슨 맥락인지는 모르겠으나, 이해진 씨가 트랙터-농업 노동력의 관계를 예로 들어 기업에게 과도한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는 건 옳지 않다고 주장하는데 그게 적절한 예시가 아닌 것 같다. https://news.v.daum.net/v/20190618212400002 농업 노동력은 트랙터와의 경쟁에서 밀려 일자리를 잃은 게 아니.. 2019. 6. 19. 타이완의 독특한 중소기업 문화와 농업 재밌다. 타이완의 중소기업 문화가 궁금하여 찾았더니 <대만 중소기업의 신화의 오해와 진실>이란 보고서가 나왔다. http://saesayon.org/AttachFiles/1289207604063_1.pdf 요약 부분만 보자면 이렇다. 타이완이 처음부터 중소기업을 육성한 게 아니라, 나라에서 국공영 부문만 신경을 쓰다보니 자연.. 2017. 11. 21. 쌀 대책, 이게 최선인가? 농촌경제연구원에서 나온 <신정부 쌀 산업 정책 방향>이라는 보고서를 읽었다.http://library.krei.re.kr/dl_images/001/041/PRN154.pdf 현재의 쌀 문제가 발생하는 건 소비량 감소가 생산량 감소보다 심하기 때문이라고 진단하는데, 어디에도 수입 쌀 문제는 언급하지 않는다. 몰랐던 걸까? 아니면 .. 2017. 9. 29. 씨앗은 공공재이다 흥미로운 연구결과.현대의 산업화된 농업에서와 달리, 과거 농사를 지었던 농부들은 주로 선발 육종이란 방법을 활용하여 품종을 개량해 왔다. 간단히 말하여, 논밭에서 재배하던 작물 가운데 자연적인 돌연변이 현상으로 인해 이상하게 생기거나 독특한 놈이 나타나면 그 씨앗만 따로 .. 2017. 9. 4. 미국의 옥수수 산업에 관하여 옥수수와 대두가 왜 산업작물인지 잘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그중 옥수수만 따로 볼까요. 1부쉘의 옥수수로 만들 수 있는 것들을 보세요. 얼마나 다종다양합니까. 미국 농업의 옥수수 생산성은 이렇게 비약적으로 향상되었답니다. 80년 사이 약 10배 가까이 높아졌네요. 재배면적은 예나 .. 2017. 5. 11. 불법종자 문제를 다루는 기사 국립종자원, 무보증·허위표시 불량품 유통조사 확대 #사례1. 전남 신안군에서 대파를 재배하는 A영농조합법인은 올봄 B종묘상에서 대파종자를 사서 뿌렸다. 포장지에 발아율 75% 이상으로 표시돼 있었으나 싹이 거의 나지 않아 대파농사를 망쳤다. A법인은 종자회사에 배상을 요구하고, .. 2016. 10. 13.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