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문화52

짐승막이담 -3장 농민의 고투를 이야기하는 보루 제3장 농민의 고투를 이야기하는 보루-미에현三重県 키이나가시마紀伊長島의 멧돼지담 1. 평지가 적은 키이나가시마 지방미에현은 킨키 지방 동부에 위치하고, 산과 바다로 둘러싸인 지형이다. 이 장의 무대인 키이나가시마 지방은 미에현 남부에 위치한다. 2004년 쿠마노熊野 옛길이 '키이 산지의 영지와 참배길'로 세계 유산에 등록된 이래 세계 유산의 한 날개를 담당하는 지역으로, 쿠마노~오와세尾鷲~키이나가시마를 포함하는 지역은 '히가시키슈우東紀州'(그림1)란 명칭으로도 불렸다. 오늘날, 히가시키슈우의 고갯길을 많은 관광객이 걷게 되었다. 그림1 키이나가시마 지방을 포함하는 '히가시키슈우'의 범위(음영 부분) 키이나가시마 지방은 면적 110.57㎢, 산림이 87%를 차지하고 있으며 농지는 2.4%에 지나지 않.. 2025. 4. 27.
짐승막이담 -2장 짐승막이담 유구를 남기고 전하기 위하여 제2장 짐승막이담 유구를 남기고 전하기 위하여- 카가와현 쇼우도시마小豆島를 둘러싼 짐승막이담 집단의 답사와 실측 기록 미나토 세이고港誠吾 선조가 있기에 우리가 있다. 짐승막이담은 우리를 낳았다고도 할 수 있다. 섬의 선인들은 살기 위해 어쩔 수 없다는 생각으로, 게다가 자력으로, 짐승막이담을 구축했다. 짐승막이담의 돌은, 돌은 돌이라도 축성용 돌덩어리와는 정취를 달리한다. 선인의 목숨을 구했던 것이다. 오늘날 얼핏 보아, 짐승막이담 유구는 외양도 모습도 매우 희미하다. 그러나 짐승막이담의 실.. 2025. 4. 24.
농민들의 수자원 전쟁 -1장 논을 홍수로부터 지키는 지혜 1장 논을 홍수로부터 지키는 지혜  ●일본 무논의 특징일본 무논의 대부분은 벼농사의 시기에는 인공 관개 시설(용수로)를 이용해 물을 넣고, 벼농사가 끝나면 배수로에서 물을 빼서 뒷갈이로 보리 등을 농사지을 수 있습니다. 무논 벼농사와 밭농사가 긴밀히 연결되어 있는 바에 일본 농업의 특징이 있습니다. 이모작 지대에서는 무논 자체가 겨울철에는 밭으로 이용되었던 것입니다. 논은 밭이기도 했습니다. 일본 열도는 결코 광대하지 않지만, 기후와 지형이 변화무쌍하기 때문에, 다양한 농작물이 재배되어 왔습니다. 벼 이외의 밭작물의 다양성도 잊지 말아야 합니다. 또한 벼는 이어짓기가 가능합니다. 그러나 이는 당연한 것이 아니라, 관개와 배수의 조절과 비료의 투입이 있어서 비로소 가능해진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끊이지 않고.. 2025. 4. 7.
강원도의 산간 주거 https://efw.nfm.go.kr/gangwon/index.html 1994, 박물관 주생활 조사의 첫발을 내딛다Since its opening in 1946 as the National Museum of Anthropology,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has consistently conducted research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folk cultures, accumulating valuable academic achievements. These findings have been highlefw.nfm.go.kr  들어가는 글 1994년의 '강원도 산간지역의 가옥과 생활 조사'는 국립민속박물관의 첫 번째 민가 조사 보고서입.. 2025. 3. 25.
일본의 술과 쌀 마스무라 타케히로増村威宏 : 農学博士(京都府立大学)京都府立大学 生命環境科学研究科 教授 (副学長) / 京都府農林水産技術センター生物資源研究センター 基礎研究部 理事学位   술과 쌀먹을거리가 돋보이게 하는 역할로서, 식사할 때 윤활제로서 술은 빠질 수 없는 것이라 생각하는 사람은 많을 것이다. 식사, 특히 회식할 때 건배에 쓰이는 술은 일반적으로는 아직 맥주가 많은 것이 아닐까? 프랑스 요리에서는 샴페인이 쓰이는 일도 많고, 최근에는 청년층을 중심으로 맥주 이외의 술도 좋아한다. 한편 일본술로 건배라고 하면 주조업계 관계자의 모임 등에서 볼 수 있지만, 일정식 요리점에서도 일반 손님이 일본술로 건배를 하는 사람은 적은 듯하다. 후시미라는 술집을 가진 교토시는 '일본술로 건배'라는 조례를 정했지만, 정착하는 바까.. 2025. 1. 13.
조선 후기 식기 및 음식의 특색과 변화 -이은경 석사 논문 본 논문은 조선시대 후기의 사회, 문화적인 환경을 바탕으로 식기와 음식이 어떤 특색을 가지고 변화, 발전하는지 고찰하면서 식기와 음식의 상호연관성을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이를 위해 우선 조선시대의 사회전반적인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았으며 사용된 식기의 종류와 쓰임을 보기위해서 이 시기 조선의 식기를 가장 정확하게 조사 정리한 아사카와 다쿠미의 ‘조선 도자명고’의 내용을 근거로 하였다. 식기의 형태와 문양의 변화는 오늘날 유물로 전해지는 여러 작품을 중심으로 시기별로 비교하면서 전개시켜 나갔다.또한 문헌에 나타난 음식과 식기의 종류를 보기위해 조선후기에 기록된 의궤와 조리서를 참고로 고찰하였다. 의궤는 시기별로 1719년, 1829년, 1902년의 의궤로 하였으며 기록 중에서 기용부분과 도식부분의 해석.. 2025. 1.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