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몬산토65

몬산토가 밝히는 농민을 고소하는 이유 Monsanto patents many of the seed varieties we develop. Patents are necessary to ensure that we are paid for our products and for all the investments we put into developing these products. This is one of the basic reasons for patents. A more important reason is to help foster innovation. Without the protection of patents there would be little incentive for privately-owned compa.. 2014. 5. 26.
GM 작물에 대한 날카로운 관찰 Palmer amaranth has taken root as a herbicide-resistant ‘superweed’ in many US cotton fields. In the pitched debate over genetically modified (GM) foods and crops, it can be hard to see where scientific evidence ends and dogma and speculation begin. In the nearly 20 years since they were first commercialized, GM crop technologies have seen dramatic uptake. Advocates say th.. 2014. 3. 16.
몬산토, 유럽연합에 전통 육종시설을 강화하다 몬산토를 호락호락하게 볼 수 없는 이유. 유럽연합에서 유전자변형 종자에 대한 반발이 거세어지자 그 사업을 철수하고, 전통육종법을 활용한 생산시설을 늘리겠다는 발표. 유전자변형 종자를 심지 않는다고 해서 몬산토라는 기업이 쉽게 무너지지 않을 것이라는 걸 이를 통해 엿볼 수 .. 2013. 11. 22.
소농이 세계 식량안보의 핵심이다 In the land of humongous farms, the critical importance of small farms for food security is a counterintuitive message. But if we look at what most of the largest farms are growing in the U.S. Midwest, or Argentina and Brazil, it is corn and soybeans to feed livestock and biofuel production. Neither contribute much to supplying food—and especially good nutrition—to.. 2013. 10. 30.
몬산토가 기후변화로 돈을 버는 5가지 방법 며칠 전, 몬산토에서 한화로 1조 원을 들여 기후 관련 빅데이터 업체를 인수했다는 뉴스가 떴다. 역시나 몬산토. 앞으로 무엇이 돈이 될지 잘 알고 과감히 투자하고 있다. 내가 만약 주식놀이를 했다면 돌아보지 않고 몬산토의 주식을 사들였을 것이다. 그만큼 탄탄하고, 앞으로 20년은 흔.. 2013. 10. 11.
농촌진흥청에서 유전자변형 벼를 개발했다 몬산토는 멀리 있는 것이 아니다. 바로 우리의 곁에도 존재한다. 농촌진흥청에서 물바구미를 스스로 쫓는 벼를 개발했다고 떠들썩하다. 'BT 옥수수'와 같은 'BT 벼'라고 한다. 이를 가지고 단지 농약을 치지 않는다는 이유로 "친환경적으로" 물바구미를 방제한다고 선전한다. 그런데 과연 .. 2013. 10.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