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지난해의 가뭄은 가장 막대한 미국의 두 작물인 옥수수와 콩에 큰 타격을 입혔다. 그러나 그것이 몬산토가 그에 저항하도록 조작한 작물에 사용하는 제초제인 라운드업(글리포세이트)에 내성을 지니게 된 풀의 확산을 확실하게 늦추지 못했다. 현재 미국에서 재배하는 모든 옥수수, 콩, 목화의 70% 이상이 글리포세이트에 견디도록 유전적으로 변형된 것이다. 

2011년부터 이러한 풀이 이미 빠르게 퍼지고 있었다. 나는 "몬산토의 '슈퍼잡초' 중서부를 질주하다"라고 예전 글에서 선언했다. 말이 이미 급속도로 속도를 올렸을 때 어떤 단어를 쓰겠는가?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알고 있으니, 이렇게 해보자: "몬산토의 '슈퍼잡초'가 중서부에 몰려오고 있다."

농기업의 연구 컨설턴트 Stratus의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그 말이 지난해의 상황을 훨씬 잘 표현한 것이다. 2010년 영농철부터 그 집단은 제초제 내성에 관하여 31개 주에 걸쳐 "미국의 농부 수천 명에게" 투표를 받았다. 그들이 2012년 영농철에 발견한 것은 다음과 같다:

• 조사를 받은 전체 미국 농민의 약 절반(49%)이 2012년 자신의 농장에 글리포세이트 내성 풀이 있다고 답했고, 이는 2011년 34%에서 상승한 수치이다.
• 내성은 남쪽에서 역시 최악이다. 예를 들어, 조지아 주의 재배자 가운데 92%가 글리포세이트 내성 풀이 있다고 답했다. 
• 그러나 남부의 중앙과 중서부의 주들이 따라잡고 있다. 2011~2012년 네브라스카, 아이오와, 인디애나 주에서 내성을 가진 면적이 거의 2배가 되었다. 
• 해마다 더 빠른 속도로 퍼지고 있다: 총 내성 면적은 2011년 25%에서 2012년 51%로 증가했다. 
• 그리고 문제는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더욱더 많은 농장에 적어도 두 가지 종류의 내성 풀이 생겼다. 2010년에는 단 12%의 농장만 그랬는데, 불과 2년 뒤 27%가 되었다. 


슈퍼잡초: 처음에는 질주하고, 이후 폭증했다. Graph: Stratus


그래서 어디의 농부부터 시작하면 될까? 음, 몬산토와 그 동료들은 "다음 세대"의 제초제 저항성 종자를 시험하려고 한다 —그것은 라운드업만이 아니라, 또 다른 2,4-D와 Dicamba 같은 더 독한 제초제에 저항성을 갖도록 조작된 작물이다. 풀과의 화학전을 강화하여 제초제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과 함께 더 다양하고, 강력한 슈퍼잡초들이 나타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것은 David A. Mortensen이 이끄는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의 연구팀의 2011년 평가보고서가 전하는 메시지이다. (그들의 보고서는 지난해의 에서 언급했다.)

그리고 그러한 새로운 종자는 어쨌든 2013년 영농철에는 이용할 수 없다. 미국 농무부의 등록과정을 통과하지 못했다. 미국 농무부가 크리스마스 휴일 동안 Dow의 2,4-D/Roundup 저항성 옥수수를 최종 승인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그렇게 하지 않았다. 그 기관에서는 그 제품을 아직 승인하지 않은 사유를 밝히지 않았는데, Dow에서 지난달 인정했듯이 그 무의사결정이 2014년 초반까지 제품의 도입을 사실상 늦출 것이다. 로이터의 Carey Gillam 기자는 미 농무부의 지연은 새로운 제품에 대한 "농민과 소비자, 공중보건 관계자들의 반대"로 인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리고 이러한 반대자들이 그에 관하여 "Dow와 미국 규제당국에 우려를 표하며 공격하고 있다."

따라서 공업형 규모의 옥수수와 콩 농민들은 워싱턴 주립대학의 Charles Benbrook이 최근의 논문에서 밝혔듯이, 악성 잡초를 제어하고자 그들이 몇 년 동안 해오던 대로 제초제 사용량을 늘리며 어물어물 넘어갈 것이다. 그것은 농민에게는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뜻한다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의 Mortensen 씨에 따르면, 제초제 내성을 잡기 위하여 농민들이 2011년 1년에 약 10억 달러의 비용을 사용했다. 그것은 또한 독성 제초제가 하천으로 흘러들어 개구리를 혼란에 빠뜨리고, 인간의 음용수를 오염시킬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뜻한다. 

Corn & Soy Digest 라는 무역 잡지에 실린 "제초제 내성 잡초의 관리"라는 기사를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여기에 문제의 핵심이 있다 —"전소(burndown)"는 유럽연합을 포함한 32개국에서 금지된 악명 높은 독성 제초제인 paraquat 같은 광역제초제로 농지의 모든 식생을 단조롭게 만들어 버리는 것을 뜻한다는 것을 지적한다:

내성 문제로 알려진 것들의 경우 가을에 잔류 농약을 추가로 사용하여 전소시키고, 봄에 작물을 심기 전 전소시키는 게 드문 일은 아니다. 다른 농사철에는 또 다른 종류의 잔류 농약을 포함하여 두 가지 이상의 제초제를 시용한다. “당신이 내성 잡초를 초기에 충분히 잡으려 한다면, paraquat는 그걸 방제하는 데 좋은 도구이다. 그러나 한 번 Palmer amaranth(보통 글리포세이트 내성 풀)이 180cm로 크면, 당신은 paraquat로 그것을 확실히 죽일 수 없다"(잡초방제 전문가)고 한다.

그러나 다른 방법이 있다. 내가 누누이 인용한 아이오와 주립대학의 연구자가 행한 2012년의 연구에서는, 만약 농민이 한 해에는 옥수수를 심고 다음해에는 콩을 심는 것만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간단히 귀리 같은 "작은 곡식" 작물만이 아니라 휴한기에 덮개작물, 풀(라운드업 내성도 포함하여) 등의 다양한 작물을 돌려짓기하면, 화학비료의 사용을 엄청나게 줄이고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초제 사용을 줄여 하천에 흘러가는 독을 줄일 수 있다 —"잠재적 수생 독성이 일반적인 옥수수-콩 체계에서보다 더 긴 돌려짓기 체계에서 200배 감소한다고 그 연구에서 지적한다. 그래서 종자 거인과 관행농의 잡초 전문가들의 주장과 달리, 더 많은 -심지어 더 독성의-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슈퍼잡초"의 가속화에 대응하는 다른 방법이 있다. 


http://goo.gl/x3GLu

728x90
728x90

생명공학 산업에 따르면, 유전자조작 작물 덕에 농민들이 "더 적은 투입재로 더 많은 수확량을 올리기에"  인류에게 혜택을 준다며 생명공학 산업단체(Biotechnology Industry Organization)의 홈페이지에 소개한다.

그러한 수사법에 고무된 유전자조작 종자의 거인 몬산토와 그 동료들은 두 가지 주요한 특성을 지닌 옥수수, 콩, 목화의 종자시장이 흥성하도록 관리했다: 제초제 저항성과 살충제 발현 —각각의 식물이 특정 제초제에 견디게 하고, 바실루스 투루지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 또는 Bt라는 독성을 내서 곤충을 죽이게 한다.

그러나 BIO의 성명에 나오는 두 주장은 매우 의심스러운 것으로 판명되었다. 워싱턴 주립대학의 연구자 Charles Benbrook 씨는 미국에서 GMO의 순 효과가 독성 화학투입재의 사용을 증가시켰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Benbrook 씨는 Bt 특성이 농민들의 살충제 사용량을 극적으로 낮춘 반면, 몬산토의 라운드업 레디 기술에 의한 효과는 몬산토의 라운드업 제초제를 맞은 잡초에 빠르게 내성이 생겨 버렸다고 밝혔다.

그리고 미국 농무부에서 자금을 지원받은 위스콘신 대학의 연구자들이 작성한 새로운 보고서는 기본적으로 "더 많은 식량"이란 주장을 무효로 만든다. 연구자들은 1990~2000년 사이 개발된 다양한 개량종과 일부 유전자조작 옥수수를 가지고 위스콘신 대학의 실험밭에서 수확량을 비교하는 자료를 가지고 판명했다. 일부 GM 품종이 약간의 수확량 증가를 가져왔지만 다른 것은 그렇지 않았다. 심지어 몇몇 품종은 비GM 품종보다 수확량이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주로 사용되는 특성 가운데 하나의 예외 —유럽 조명충나방을 죽이도록 설계된 Bt 유형— 와 함꼐, 저자들은 "우린 유전자조작 작물의 수확량 효과를 강하게 확신할 수 없다는 사실에 놀랐다"고 결론을 내렸다. 글리포세이트 저항성(라운드업 레디)과 옥수수 선충에 대한 Bt 특성이 수확량을 떨어뜨리는 원인이다.

그러면 이른바 "다중형질(stacked-trait)" 작물 —그것은 다양하게 추가된 유전자를 함유하도록 변형된 옥수수를 말한다— 예를 들면, 제조제 저항성과 살충제 발현 유전자를 모두 가진 몬산토의 "Smart Stax"라는 제품에 대한 의문이 있다. 저자들은 이러한 작물에서 그들이 "유전자 상호작용"이라 부르는 것을 간파했다 —종종 부정적으로 수확량에 영향을 주는 방식으로 서로 상호작용하도록 삽입된 유전자. 만약 다양한 유전자가 상호작용하지 않는 품종에 추가되면, "다중유전자의 [수확량] 영향은 상응하는 단일유전자 효과의 총계와 같을 것이다"라고 저자들은 썼다. 대신에, 다중형질 작물은 지도에 있었다. "우린 이식 유전자가 하나로 묶일 때 그 특성 사이에 상호작용하는 유전자의 강력한 증거를 발견했다"고 한다. 그러한 효과의 대부분은 부정적이었다 —즉, 수확량이 감소한다.

전반적으로, 그 보고서는 "수확량 감소"로 알려진 것의 증거를 밝힌다 —식물 품종의 게놈을 조작한다는 발상은 덜 생산적이게 되는 원인이 되는 그 성장 방식에 의도치 않은 변화를 일으킨다. 

더 격려하자면, 저자들은 GMO 품종의 작물 수확량이 해마다 더 안정적임을 발견했다 —그것은 수확량이 기존 품종들보다 변동이 적다는 것이다. 이러한 안정화 효과 덕에, 저자들은 "우리의 결과가 어떻게 유전자 이식 기술이 위험한 환경을 처리하는 농민의 능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지 보여주고," 특히 "현재 농업 생산을 불확실하게 만드는 기후변화의 영향에 관한 우려를" 제공한다고 결론을 내린다. 간단히  그들은 라운드업 레디나 Bt 작물을 심음으로써 농민이 수확량 변동이란 위험에 직면하는 일이 줄어든다고 주장한다.

그건 사실일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더 적은 투입재로 더 많은 작물 수확량을 올린다"는 데에서 멀어진다. 그리고 기존 종자보다 GMO가 더 이득이라는 것이 명확해지는 것도 아니고, 위험 경감이 유기농업에 의해 제공되는 혜택보다 나은지도 확실하지 않다. 여기 지난해 Nature 에 논문을 발표한 저자의 글을 소개한다:

유기적 방법으로 관리된 흙은 보수력과 물 침투율이 더 좋아, 가뭄이나 호우의 조건에서 관행농업보다 더 많은 수확량을 올린다.



출처 http://goo.gl/W0cIu

728x90
728x90


Corn seed prices went up by 259 percent between 1995 and 2011, according to a new report out Tuesday.



The Supreme Court will hear arguments Feb. 19 in "Bowman v. Monsanto Co.," a landmark court battle that has pitted farmer Vernon Hugh Bowman against the international agriculture corporation over the issue of seed patents. In anticipation, the Center for Food Safety and the Save Our Seeds campaigning groups released a report Tuesday detailing similar cases, titled "Seed Giants vs. U.S. Farmers."

According to the report, Monsanto has alleged seed patent infringement in 144 lawsuits against 410 farmers and 56 small farm businesses in at least 27 U.S. states as of January of 2013. Monsanto, DuPont and Syngenta together hold 53 percent of the global commercial seed market, which the report says has led to price increases for seeds -- between 1995 and 2011, the average cost of planting one acre of soybeans rose 325 percent and corn seed prices went up 259 percent.

Seed patents are a type of biological patent, which are legally protected inventions or discoveries in biology. In the case of Monsanto and other major corporations, that often means patents on genetically modified seeds. In recent years, these and other companies have taken farmers to court for alleged seed patent infringement -- meaning they planted seeds without paying for them.

The issue gets murky when you consider that if a farmer plants legally purchased seeds, then replanted seeds culled from the resulting crop, he is committing what some companies consider a crime.

In the case of "Bowman v. Monsanto Co.," Bowman allegedly replanted second-generation seeds that had been purchased legally from a licensed Monsanto distributor instead of buying new seeds. Monsanto claims that in doing so, Bowman was essentially stealing its product. Monsanto has won battles in several lower courts.

Monsanto argues that its patents protect its business interests and "provide a motivation for spending millions of dollars o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hardier, disease-resistant seeds that can boost food yields," The Guardian writes.

But Bill Freese, an author of the report and senior scientist at the Center for Food Safety, says in a press release that claims that the patents create better crops are hogwash.

"Most major new crop varieties developed throughout the 20th century owe their origin to publicly funded agricultural research and breeding,” Freese writes.

Crop diversity has gone down dramatically in recent years, which some attribute to the emergence of agricultural mega companies. The report notes that 86 percent of corn, 88 percent of cotton and 93 percent of soybeans farmed in the U.S. are currently genetically-engineered strains.



Seed-Giants_final.pdf



Seed-Giants_final.pdf
1.39MB
728x90
728x90

1996년 미국에서 유전자조작 작물이 도입되면서 농업 관련 생명공학기업들은 이제 제초제 사용이 줄어들 것이기에 이야말로 진정 친환경적인 기술이라고 자랑했다. 하지만 유전자조작 작물이 도입되고 16년이 지난 지금, 여기저기서 오히려 예전보다 제초제 사용이 늘어났다는 연구보고서가 하나둘 나오고 있다. 아래는 그 가운데 한 사례이다. 이에 따르면, 라운드업이라는 몬산토의 베스트셀러 농약에 내성이 생긴 풀들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그것을 잡기 위하여 예전보다 더 자주 농약을 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이 바로 유전자조작 작물이 도입된 이후 제초제 사용량이 늘어난 원인이라 꼽는다. 

하지만 제초제를 치지 않고 풀을 잡는 방법도 있다. 마지막 부분에 나오듯 여러 작물을 번갈아 가며 농사짓는 돌려짓기가 그것이다. 하지만 농민들은 그러한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농업 관련 연구자들도 그것을 추천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수.지.타.산.이 맞지 않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효율적이지 않은 방법"인 것이다. 효율만 생각하면 제초제를 치는 편이 훨씬 낫다. 돌려짓기를 하는 것보다 비용도 싸게 먹히고 효과도 좋다. 단지 그뿐이다. 언제부터 농사가 그냥 돈으로만 취급이 된 것일까? 농사가 돈벌이로만 취급되어야 하는 것인지 그에 대한 고민부터 다시 해보자. 

---------




미시시피주의 목화 농민이 이탈리안 호밀풀을 포함한 새로운 세대의 슈퍼잡초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사진: Bill Barksdale/Alamy


몬산토가 유전적으로 조작한 종자로 농업에 혁명을 일으키며 그 기술이 제초제 사용을 줄일 것이라고 약속했다 –농민이 제초제를 덜 뿌릴 것이기에. 사실은 워싱턴 주립대학의 연구자 Chuch Benbrook 씨가 밝혔듯이, 정반대의 일이 일어났다. 

16년 동안 라운드업Roundup(글리포세이트 제초제에 대한 몬산토의 상품명)은 확실히 많은 잡초를 죽였다. 그러나 이 농기업의 거인이 만든 라운드업 제초제를 반복해서 뿌려도 살아남도록 설계된 라운드업 레디Roundup Ready 작물처럼 제초제에 내성이 생긴 잡초들이 생겼다.

한 가지 예를 들면, 미시시피주의 목화, 옥수수, 대두 농민들은 몇 년 동안 라운드업 레디 종자를 사용해 왔다 –그리고 현재 이탈리안 호밀풀을 포함하여 새로운 세대의 슈퍼잡초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봄가을 내성을 지닌 풀과 싸우다"라고 미시시피강 삼각주에 제공하는 농업무역잡지인 Delta Farm Press에서 머리기사로 다루었다. 그 기사의 저자인 미시시피 주립대학의 직원은 과제를 제시했다:

2005년, 흔히 사용하는 글리포세이트 제초제에 내성을 지닌 이탈리안 호밀풀이 처음으로 미시시피주에서 확인되었다. 그 이후 그 잡초는 미시시피의 31개 카운티에서 발견되었고 삼각주 지역까지 퍼졌다. 이 글리포세이트 내성 잡초는 가을에 나타나 겨울과 초봄을 지나며 자란다.

해결책: "작물을 심기 전 봄철 농지에 뿌린 비선택성 제초제가 사그라진 뒤 가을에 잔류성 농약을 처리함" 

해석: 골치 아픈 이탈리안 호밀풀과 싸우기 위하여, 미시시피의 목화 농민들은 가을에 "잔류성" 제초제를 쳐야 한다 –한동안 토양에서 충분히 호밀풀을 죽이고 난 뒤, 작업을 완료하기 위하여 봄에 또 다른 제초제를 쳐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잡초를 통제하기 위한 이러한 다중-독성 처리법은 요즘 "통합해충관리" –알려진 바로는 저농약 작물 보호 체계인– 로 통하고 있다. 

"통합해충관리 프로그램으로 우린 전체 개체군과 숫자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게 가을철 잔류 농약을 사용하도록 권장한다"고 [미시시피 주립대학 사회교육원 교수 Tom] Eubank 씨는 말한다. "가을 경작은 잡초의 수를 줄일 수 있지만, 보통 잔류 제초제만큼 효율적이지는 않다. 생산자는 다른 방법으로 그 식물을 공격하는 대안 제초제 프로그램에 따라 봄이나 늦겨울에 다시 제초제를 쳐야 한다."

돌려짓기와 생물다양성 대신에(잡초를 통제하는 비독성 방법), 미시시피 주립대학의 사회교육 서비스는 기사에서 언급하는 "다각화된 제초제 프로그램"을 장려한다. 따라서 우리는 이를 통해 왜 1990년대 라운드업 레디 종자도 도입된 이후 제초제 사용이 급증했는지 확실하게 알 수 있다.



http://goo.gl/EKi1T

728x90
728x90

There's an age-old tradition in Washington of making unpopular announcements when no one's listening—like, you know, the days leading up to Thanksgiving. That's when the Obama administration sneaked a tasty dish to the genetically modified seed/pesticide industry.

This treat involves the unceremonious end of the Department of Justice's antitrust investigation into possible anticompetitive practices in the US seed market, which it had begun in January 2010. It's not hard to see why DOJ would take a look. For the the crops that cover the bulk of US farmland like corn, soy, and cotton, the seed trade is essentially dominated by five companies: Monsanto, DuPont, Syngenta, Bayer, and Dow. And a single company, Monsanto, supplies nearly all genetically modified traits now so commonly used in those crops, which it licenses to its rivals for sale in their own seeds.

What's harder to figure out is why the DOJ ended the investigation without taking any action—and did so with a near-complete lack of public information. The DOJ didn't even see fit to mark the investigation's end with a press release. News of it emerged from a brief itemMonsanto itself issued the Friday before Thanksgiving, declaring it had "received written notification" from the DOJ antitrust division that it had ended its investigation "without taking any enforcement action."

A DOJ spokesperson confirmed to me that the agency had "closed its investigation into possible anticompetitive practices in the seed industry," but would divulge no details. "In making its decision, the Antitrust Division took into account marketplace developments that occurred during the pendency of the investigation," she stated via email. I asked what precisely those "marketplace developments" were. "I don’t have anything else for you," she replied.  Monsanto, too, is being tight-lipped—a company spokesperson said the company had no statement to make beyond the above-linked press release.

Diana Moss, vice president and senior research fellow of the American Antitrust Institute, told me that the DOJ's information blackout on the case is unusual—and frustrating. "To have a two-year investigation and close it without a peep in our view does a disservice." Moss is the author of a 2009 paper concluding that the GM seed market "requires antitrust enforcement and/or legislative relief."

To get an idea of how far this market has come under the control of just a handful of companies, think of genetically modified seeds as computers—hardware and software. In this rather common but apt analogy, the actual seed is the hardware and the genetically modified traits they carry—like the ability to withstand herbicides, as in Monsanto's Roundup Ready traits—are the software.

According to Monsanto's rival, DuPont, Monsanto owns 98 percent of the US market in GM soybean traits and 79 percent of the corn traits.

Getting market share data for an industry like seeds is a maddening task. No government agency, including th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tracks it. But it's not hard to establish that a few companies dominate it, with Monsanto at the top. Indeed, Monsanto alone essentially controls the software-like part of the market, traits: According to Monsanto's rival, DuPont, Monsanto traits end up in 98 percent of the GM soybeans grown in the US and 79 percent of the corn—a claim Monsanto doesn't dispute. In a 2009paper, Iowa State University economist GianCarlo Moschini reported that Monsanto traits are in 78.9 percent of the GM cotton grown here.

What about the hardware side, the seeds themselves? Below is a chart from the agribiz-trade web site AgWeb, showing market-share trends in corn and soy seeds from 2004 to 2011. In corn, we can see that DuPont, Monsanto, Syngenta, and Dow together own more than 80 percent of the market, and the share owned by "local and regional companies" fell by approximately half over the period, and now stands at less than 15 percent. In soy, the same four large companies now together control more than 70 percent of the market, with both "local and regional companies" and "publics/saved seeds" showing sharp declines over the period.


Big fish, little fish. Source: Agweb.com

The USDA does keep market share numbers for the cottonseed market (pdf here), and in the 2012 growing season, Monsanto (through its cottonseed line Delta & Pine), Bayer, and Dow (through its Phytogen subsidiary) owned 80 percent of the market among the three of them.

Of course, the fact that a market is dominated by a handful of giant companies doesn't automatically mean that they have what economists call "market power"—that is, the might to manipulate markets to their own advantage, to the detriment of their customers, in this instance, farmers. It's only in cases of market power that the DOJ would take action.

So did DOJ make a reasonable decision in dropping its investigation of Monsanto and the broader seed market? It's impossible to say, given that it refuses to release any details.

In one county, 46.6 percent of farmers reporting having no access to high-quality non-Bt seed.

But there is evidence of potential market power in the industry. For example, one sign of an uncompetitive industry is the ability to raise prices at will, unimpeded by price pressure from rivals. It's impossible to say, without more information, if the GMO giants have done that—but prices have risen briskly over the past decade. In her above-mentioned 2009 paper, the American Antitrust Institute's Moss points out that in truly competitive markets, "technologies that enjoy widespread and rapid adoption"—like GM seeds—"typically experience precipitous declines" in price. But between 2000 and 2008, Moss writes, "real seed costs [for farmers] increased by an average annual rate of five percent for corn, almost 11 percent for cotton, and seven percent for soybeans." And for most of those years, she adds, growth in the price farmers were receiving for their crops didn't match growth in the price they were paying for their seeds—suggesting a possible squeeze on farmers by the seed industry. Figures supplied me by the Center for Food Safety's Bill Freese (from USDA data) show that price increases have continued in the years since Moss' study.

There's also evidence that farmers lack access to lower-priced seeds. In 2010, University of Illinois researcher Michael Gray surveyed farmers in seven agriculture-intensive counties of Illinois. He asked them if they had access to high-quality corn seeds that weren't genetically modified to contain Monsanto's Bt insecticide trait. In all seven counties, at least 32 percent of farmers said "no." In one county, 46.6 percent of farmers reporting having no access to high-quality non-Bt seed. For them, apparently, they had little choice but to pay Monsanto's high prices for Bt seeds, whether they needed them or not.

Finally, a competitive market might be expected to be characterized by a high level of innovation—especially a market as high tech as GM seeds. But as the Center for Food Safety's Freese pointed out to me, the main GM traits we see in the field today are the same as those we saw in the 1990s, when GMOs were rolled out: herbicide resistance and Bt. The industry's much-heralded next big products—corn and soy engineered to withstand more toxic herbicides than Monsanto's Roundup—is really just more of the same, intensified: herbicide resistance on steroids. Monsanto did roll out a "drought-resistant" corn variety last December—but the USDA itself, citing Monsanto's own data, found it to be rather underwhelming.

A high degree of concentration, high and rising prices, limited choice, stagnant innovation—these are the hallmarks of an uncompetitive industry. Monsanto itself vigorously disputes claims of market power (see here and here). Perhaps the Department of Justice's antitrust regulators considered all of this and had good reasons for ending its investigation with a thud and no action. We can't know until they show us their work.


728x90
728x90



If their requests are approved by outgoing president Felipe Calderón, Monsanto Co. and DuPont will be planting 2,500,000 hectares (more than 6 million acres) of transgenic or GM maize in the heartland of Mexico. (Updated.)
According to ETC Group, the consequences will be devastating for the heart of the center of origin and diversity for maize, and also globally.
Mexico is considered to be the global repository of maize genetic diversity, as scientists have identified thousands of peasant varieties of maize. Should Monsanto's applications be approved, this would mark the world's first commercial-scale planting of GM varieties of a major food group, in it's center of origin.
Basically this would wipe out all biodiversity, and all the various local varieties of maize, developed over around 7,000 years.
Outrage was heard throughout Mexico, when the world's two largest commercial seed companies, Monsanto Co. and DuPont (whose seed business is known as DuPont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applied to the Mexico government for the planting of 2,500,000 hectares (more than 6 million acres) of transgenic maize in Mexico.
Mexican maize farmer
Wake Up World
Mexican maize farmer
The amount of land involved is massive, and is approximately the size of El Salvador.
December planting deadlines are looming,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and social movements have called for an end to all GM maize in Mexico.
The Union of Concerned Scientists (UCCS) in Mexico has called on the Mexico Government to stop processing any application for open-field release of GM Maize. The ETC Group joins these calls, and is appealing to the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and also to the UN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Both these intergovernmental bodies are mandated to support food security and biodiversity and ETC Group asks them to take immediate action in the matter.
Verónica Villa from ETC’s Mexico office says, “If Mexico’s government allows this crime of historic significance to happen, GMOs will soon be in the food of the entire Mexican population, and genetic contamination of Mexican peasant varieties will be inevitable. We are talking about damaging more than 7,000 years of indigenous and peasant work that created maize – one of the world’s three most widely eaten crops.”
“As if this weren’t bad enough, the companies want to plant Monsanto’s herbicide-tolerant maize [Mon603] on more than 1,400,000 hectares. This is the same type of GM maize that has been linked to cancer in rats according to a recently published peer-reviewed study," she added.
Writer Jack Adam Weber, wrote on Wake Up World on what he calls a "a devastating corn distribution plan by the “The Diabolic Trinity”: Monsanto, Dupont, and Dow."
He says that Biotech has planned this perfectly, by applying to President Calderón, just as he is due to leave office on December 1st. Weber says that the president has "little to lose and lots to gain in the likely hidden royalties (read: bribe money) coming to him for pushing this through."
He quotes the words of Silvia Ribeiro, ETC Group’s Latin America Director: “It would be a monumental injustice for the creators of maize – who have so benefited humankind – to be obliged to pay royalties to a transnational corporation that exploited their knowledge in the first place.”
Weber mentions that, "I grew up part-time in Mexico. If you don’t know the country, I’ll tell you it is one of the most beautiful places on Earth, and the Mexican people are magnanimous and kind. The culture is rich and the creations made with corn - from fresh tortillas used for tacos and tostadas to tamales to posole soup to gorditas and corn chips (tostaditos) - is the best food anywhere," and says that this will be dangerously jeopardized by the planting of transgenic, or genetically modified, maize.
Weber also states, "What’s scarier is the possibility for Mexican farmers to experience what has been the plight of similar-statured Indian farmers, if the Mexican GMO crops fail: mass suicide. This is beyond criminal, beyond sad, beyond an outrage. It is unforgivable to effectively pollute and destroy thousands of years of hard work by the indigenous and mestizo peoples of Mexico."
Weber also mentions a Facebook page for the GMO Eradication Movement (GEM), which is fighting the planting of GMO's worldwide and mentions a petition that is being run by Avaaz addressed to the President of Mexico, to "Stop GMO Corn from Contaminating Mexico's Heartland."
The ETC Group's full report on the issue can be read here.


Read more: http://www.digitaljournal.com/article/337459#ixzz2DHJZ6jEU
728x90
728x90




많은 사람들처럼 나도 전에는 RoundUp이 안전하다고 믿었다. 내가 생태학과를 졸업했던 1980년대로 돌아가면, 그걸 실험포장에서 풀을 제거하기 위한 "안전한" 제초제로 선택하곤 했다. 


몬산토는 계속하여 그들의 주력 제품이 안전하다고 믿도록 만들려고 했지만, 자료는 점점 그 반대의 면을 말해주었다. 최근엔? RoundUp —현재 선천적 결손증(birth defects)에 연결된— 이 우리의 물과 대기에 어김없이 나타나기에, 광범위하게 노출되었음이 거의 확실하다.


, RoundUp의 주요 성분인 글리포세이트Glyphosate는 미시시피와 아이오와 주에서 정부기관 연구자들이 실시한 최근 연구에서 채취한 모든 하천과 대기의 샘플에서 발견되었다. 그리고 그런 상황은 다른 주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미국 전역에 걸쳐, 그 농약은 2007년 옥수수, 콩, 면화, 벼의 농사에서 약 8만1천~8만4천 톤 이라는 양이 일상적으로 사용되었다 —다른 어떤 농약보다 더 많은 양.


그것이 농장에서만 쓰이지 않는다. RoundUp은 전국의 가정과 정원에서 가장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농약 가운데 두 번째이다.


과학자들이 몬산토의 안전신화를 부수다


글리포세이트는 최근 선천적 결손증*에 연결되어 있고, 매우 낮은 수준에서 태반세포를 죽이고 인간의 호르몬체계를 교란시킬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규제당국은 여전히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잠재성에만 신경쓰고 있다


SafeLawns은 최근 환경보호청(EPA)이 글리포세이트를 고독성으로 분류해 놓지 않았는데, 그걸 흡입하면 인간의 소화체계에서는 발암물질로 알려진 N-nitrosoglyphosate로 변화하여 고독성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최근 미시시피와 아이오와에서 수집된 그러한 종류의 자료를 보지 못했다는 이유로, 대기와 물에 있는 농약을 시험하는 일이 비용이 많이 든다고 할 수 있다. 건강에 대한 영향을 독립적으로 시험하는 것도 사치스러울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어떠한 제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명확히 해야 하는 부분이다. 우리는 노출되었는가? 해는 없는가? 아이들의 건강과 성장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상싱적인 해결책 하나: 제조업체는 시장에서 그들의 농약을 꾸준히 팔고자 한다면 그러한 시험 기금을 조성해야 한다.


결국 EPA는 조치를 취하는 데 동의하다


EPA는 글리포세이트를 계속 판매할지 사용에 어떠한 제한을 둘지 결정하기 위해 2015년을 설정했다 .


우린 과학이 그 농약이 인간의 건강에 해롭다는 걸 명확히 밝혀도 규제과정이 한심스럽게도 느릴 수 있음을 알고 있다. 그러나 이는 대중운동의 노력을 위해 하나의 중요한 선례를 남길 것이다. 한편 몬산토의 가장 잘 팔리는 제품이 심각한 위협을 일으킨다는 것을당신 자신과 친구들에게 알리고, 딱 잘라서 없앨 수 있도록 인민의 목소리를 조직하는 걸 돕자.


글리포세이트에 더 많은 혐의가 있다 —인간의 건강에 대한 추가적인 충격부터 식물과 토양의 건강(내 전공)에 심각한 충격을 준다는 것까지. 계속 지켜보자.


* 편집자 주: In a previous version of this blog, we mis-characterized the link between RoundUp and birth defects by stating that exposure is "known to cause" birth defects. While the referenced report does provide evidence linking RoundUp exposure to birth defects in laboratory animals, the translation of this evidence to effects on humans at real world exposure levels is still unclear. We regret any confusion. 


출처 http://www.panna.org/blog/roundup-roundup-everywhere


728x90
728x90



이른바 "Big Six"라 하는 농화학기업 —몬산토Monsanto, 신젠타Syngenta, 다우Dow Agrosciences, 바스프BASF, 바이엘Bayer, 파이어니아(듀퐁)Pioneer (DuPont)— 은 멋지게 앉아 있다. 그들은 함께 세계 농약 시장의 약 70%를 장악하고, 근본적으로 전체 유전자조작 종자 시장을 좌지우지한다. 그들이 주목하는 작물의 가격 —옥수수, 콩, 목화 등— 은 주요 재배지의 심각한 가뭄으로 인해 치솟고 있다. 비싸진 작물 가격은 일반적으로 농민이 더 많은  돈을 농화학제품에 지불하여 최대의 수확을 올리도록 조장함으로써 농약 판매의 증가로 전환된다.

그 기업들은 세계를 무대로 운영되지만 —브라질 같은 공업형 농업의 신흥 중심지에서 본거지를 얻는다— 생명공학에 친화적인 미국이 이윤의 중심지이다. 그들은 미국 농업이란 큰 덩어리를 꽤 잘 독점했다 —그들의 GMO 종자는 미국 농경지의 53% 이상을 차지하는 옥수수, 콩, 목화라는 작물을 지배하고, 19%를 차지하는 GMO 알팔파(건초)는 승인을 얻었다. 막대한 연간 미국의 옥수수 —여느 해의 세계 옥수수 가운데 40%를 차지하는— 는 GMO 종자만이 아니라 엄청난 양의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를 파는 특별한 보고이다.

그러나 두 가지가 여기 미국에서 Big 6를 당황하게 만들 수 있다: 1) 복합 제초제에 저항하도록 조작된 새로운 세대의 종자에 대한 규제 과정에서의 어떠한 지연; 그리고 2) 여러 다른 나라 —유럽연합, 중국, 일본, 한국을 포함하여— 에서 이미 행하는 필요사항이자 미국의 대중이 압도적으로 지지를 표현하고 있는  GMO를 함유한 식품에 대한 '표시'를 요구하는 어떠한 주요한 운동.  아니나 다를까 Big 6는 그들의 막대한 이윤 가운데 수백만 달러를 그러한 위협들에 선수를 쓰기 위하여 투자하고 있다.

새로운 세대의 제초제 저항성 작물에 대한 빠른 규제완화는 단순한 이유에서 중요하다: 몬산토의 대성공작 Roundup Ready 기술 —몬산토의 Roundup 제초제에 저항성을 갖추는 걸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콩, 목화, 사탕무, 알팔파 등의 종자— 은 실패하고 있다. Roundup 내성 슈퍼 잡초가 대규모 농업 지역 곳곳에 통제할 수 없을 만큼 급속히 퍼지고 있다.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산업의 유일한 해결책은 2,4-D와 dicamba 같은 오래된 독성 성분을 Roundup에 섞은 복합 제초제에 동시에 저항성을 띠는 종자를 출시하는 것이다(현재 미국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며 큰 수익을 올린 제초제인 Roundup 자체는 무해한 화학물질로 명성이 나 있지만, 그 상황은 과학계에서 조용히 부숴지고 있다.)

1월에 발표된 논문에서, Penn State의 과학팀은 생명공학 산업의 전략을 평가했는데, 그 결론은 혹독하다:

첫째, 제초제 저항성 구조의 작물들은 내성을 지닌 풀을 무성하게 만들 것이다. 둘째, 이러한 작물들은 제초제 사용을 수월하게 만들어 사용량을 늘리고, 이는 환경에 잠재적으로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특성에 의해 제공되는 단기간의 수정은 통합적인 풀 관리의 공공 연구와 확장에 지속적인 경시를 부추길 것이다.

곧, 그 전략은 멋지게 더 많은 제초제를 팔아서 Big 6의 수익이 빛나도록 작용하며, 제초제 내성 풀이란 문제의 해결을 미루는 것과 함께 환경에는 해를 끼칠 것이다. 해마다 옥수수와 콩만이 아니라 다양한 작물을 재배하고 겨울철에는 봄의 풀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되는 덮개작물을 재배하는 것과 같은 접근법은 Big 6가 돈을 벌지 못하게 할 것이다.

그래서 다우, 바이엘, 몬산토는 모두 복합 제초제에 저항성을 가진 새로운 작물을 미국 농무부의 승인을 받으려 신청했다. 한편 그들의 승인은 근본적으로 형식적으로서 —난 예전에 어떻게 미국의 규제 체계가 GMO 작물의 환경영향을 진지하게 조사하는 실질적 기제가 없는지에 대하여 썼다— 현행 체계는 농지에 적용 과정을 거쳐 작물을 이동시키는 데에 때로는 몇 년씩 시간이 걸린다. 그리고 기업들은 일단 자신의 작물을 강요하도록 관리하고, 승인은 식품안전을 위한 센터(Center for Food Safety)와 같은 환경단체로부터의 소송에 취약한 상태이다. 

2012년 1/4분기, 식물보호법(Plant Protection Act)에 대해 의회를 위협하려고 몬산토는 149만 달러를 쓰는 한편 다우는 37만 달러를 썼다. 그 법안은 미국 농무부가 새로운 GMO를 규제하는 법이다. 오랫동안 Big 6의 친구였던 미국 농업개량동맹(American Farm Bureau Federation)은 해당 분기에 생명공학 규제를 완화시키는 로비활동에 적어도 64만 달러를 썼다. 2/4분기에 그 금액은 꾸준히 늘어나 몬산토는 160만 달러를 투하하고 다우는 22만 달러를 추가했다. 소송을 빨리 진행시키고 귀찮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농화학기업의 로비는 내가 이 글과 이 글에서 언급했듯이, 최근 친산업적 두 가지 농업 관련 법안을 준비하고 있는 하원의원들에게 살금살금 다가가 그들을 압박했다. 하나는 미국 농무부의 새로운 작물 평가에 대한 과정을 간소화하고 제한할 것이다; 다른 하나는 연방법원이 환경규약을 기다리는 동안 재배를 중지하도록 명령해도 농민들이 종자를 심는 걸 허용할 것이다. Sourcewatch의 연구원 Jill Richardson 씨는 다우와 몬산토가 얼마나 많은 돈을 써서 규제완화란 쟁점에 대해 작업을 펼쳤는지 상세히 파냈다.

이러한 특별한 노력이 헛되이 끝날 수 있다; 논쟁 중인 두 가지 하원법은 로비스트들이 다지고 있는 친산업적인 조항과 완전히 무관하다는 이유로 교착상태이다. 그러나 Big 6가 소문에 의하면 미국 농무부를 감시견으로 길들이는 채찍으로 의회를 부리는 걸 멈출 것이라 기대할 이유도 없다. 

내일, 나는 규제에 대항한 산업의 전쟁에 대한 또 다른 측면을 살펴보겠다 -GMO 표시제에 대한 캘리포니아의 투표 발안.

http://www.motherjones.com/tom-philpott/2012/08/biotech-gmo-deregulation

728x90
728x90

 

그린피스에서 제작한 글리포세이트 성분의 제초제 Roundup과 그에 저항성을 가진 유전자조작 작물 이야기...

 

 

제초제저항성과GM작물.pdf

제초제저항성과GM작물.pdf
2.45MB
728x90

'곳간 > 문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녹조현상  (0) 2012.08.08
전국 생협 매장  (0) 2012.08.07
식물공장과 LED 조명의 과학적 고찰 (5)  (0) 2012.08.03
한국 육류소비량  (0) 2012.07.29
육류 소비구조의 변화와 전망  (0) 2012.07.29
728x90

미국 의회 농업위원회가 2012 농업법을 상정한다. 이 법안의 개정 조항 때문에 환경단체 등에선 '몬산토 부칙(Monsanto Rider)'이라 부르며 비난하고 있다. 그 조항에 따르면 GM 작물의 승인절차가 대폭 완화된다고... 유럽과 다른 길을 확실히 다른 길을 걷고 있는 미국.


또한 GM 작물의 환경평가는 미국 농무성의 권한을 한층 강화하여 여타 단체의 분석을 불허한다고... 승인 및 거부 결정 기간은 1년 이내로 하되 필요한 경우 6개월까지만 연장할 수 있다고 한다. 미국의 농생명공학은 미친 속도로 뛰어나가고 있다. 이걸 누가 붙잡을까?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