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대규모 단작26

중국 농민들이 밀을 재배하기 시작한 이유는 오늘날 중국은 세계 최대의 밀 소비자로서, 국수와 만두, 빵 및 여러 반죽을 만드는 데 밀을 이용한다. 하지만 늘 그랬던 건 아니다. 밀은 신석기 시대가 끝날 무렵인 약 4600년 전 중국 북부 지역으로 들어왔다. 그리고 나의 연구에 의하면그 당시에는 맛이 별로 없었다. 초기에 밀은 기아를.. 2019. 11. 25.
지속가능한 농업을 구축하는 데에 고고학이 가르쳐주는 것 우리가 먹는 것은 우리의 건강만이 아니라, 지구 자체에도 해를 끼칠 수 있다. 해마다 인간이 생성하는 온실가스 배출의 약 1/4은 우리가 세계를 먹여살리는 데에서 비롯된다. 그 대부분은 소가 방출하는 메탄, 화학비료의 질소산화물, 작물의 재배나 가축의 사육을 위한 산림 파괴 등에 의.. 2019. 8. 12.
대담 유라시아의 풍토와 농업 유라시아 농경사 권1 대담 유라시아의 풍토와 농경 사사키 타카아키佐々木高明 사토 요우이치로佐藤洋一郞 풍토와 농경 사토; 오늘은 많은 사람이 와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사키 선생에게도 참석해 주셔서 매우 고맙습니다. 시간이 없기 때문에 빨리 시작하겠습니다. 우리의 연구 프로젝.. 2018. 5. 2.
미국 옥수수 농업의 위대함(?) 미국의 옥수수는 그 산업적 중요성만큼 정말 엄청난 규모를 자랑한다. 한국의 그것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라 혀를 내두르게 만든다. 아래는 옥수수밭을 준비하려고 트랙터로 땅을 정비하는 작업이다. 저 트랙터 안에는 이러한 첨단 전자장비가 갖추어져 있다고 한다. 모니터를 통해 .. 2017. 5. 15.
친환경농업을 실천하려는 파라과이 소농들 이야기 파라과이 이야기. 콩 농사가 흥하면서 대규모 단작 방식이 확산되고, 물론 그런 농사에서 사용하는 씨앗도 신품종이거나 유전자변형일 테고 농약과 비료를 과다하게 사용해 환경도 파괴됨. 더구나 소농들은 그로 인해 삶의 터전을 잃고 밀려나게 됨.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전통을 지.. 2017. 4. 28.
우리가 필요한 건 농민과 소비자와 환경을 지원하는 농장이다 지난 몇 년은 많은 미국의 농민과 축산인들에게 힘든 시기였다. 올해 순수 농가소득은 4년 연속 소득의 감소로 2013년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질 수 있어 일부 생산자들은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와 함께, 농촌과 도시의 미국인들은 농업과 관련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수질오염이 점점 더 .. 2017. 3.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