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규모 단작26 현대 농업의 일상적 모습 아래의 사진은 인도네시아의 팜야자를 재배하는 플랜테이션 농장의 사진이다. 얼마전 큰 산불이 나서 주변국들에게 연기 피해를 심각하게 끼쳤다는 소식은 들으셨을 것이다. 그 주요 원인이 바로 아래와 같은 팜야자 농장을 개발하기 위해 숲을 불태우는 행위와 연결되어 있다고 한다. . .. 2013. 7. 4. 인도의 토종종자 보전 운동 인도 오디샤(Odisha) 주에 종자은행을 건설하고 있는 과학자이자 생태학자이며 농부인 Debal Deb 씨는 전통농법으로 920품종의 토종 벼를 보존하고 있다. 지역사회와 최선을 다해 협력하여, 대기업과 유전자변형 작물에 대항해 농민들을 돕고, 그들이 지역의 토종 품종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 2013. 7. 2. 대형 농업의 나팔수로 전락한 Mark Lynas 씨 "전설이 사실이 되면, 전설은 출간된다." (사진) 옥스포드 농업회담에서 연설중인 Mark Lynas 씨. 왜 어떤 사람들은 주목받지 못하고, 어떤 사람은 갑자기 세상의 이목을 끄는가? 최근 환경주의 작가 Mark Lynas 씨가 유전자조작 작물에 관한 논쟁에서 얻은 명성은 신화의 권력이 주는 교훈이다. .. 2013. 5. 26. 섞어짓기를 활용한 유기농업의 영양 가치 반다나 시바 씨가 대표로 있나, 아무튼 인도의 나브단야라는 단체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대규모 단작 방식의 농업과 섞어짓기를 활용한 유기농업에서 생산된 산물의 영양가에서 차이를 보인다. 아주 흥미로운 결과가 아닐 수 없다. 머리로는 이해하지만 실제로는 어떤지 확인할 길이 .. 2013. 4. 18. 미국의 옥수수 농업을 다시 생각할 시간 옥수수가 미국의 경관을 지배하고 있다. 중서부와 대평원을 가로질러 펼쳐져 있는 미국의 옥수수 지대는 거대하다. 펜실베니아 중부부터 네브라스카 서부까지 약 2400km를 운전해서 가면 그 영광스런 모습을 볼 수 있다. 다른 작물은 옥수수의 발 끝에도 미치지 못한다. 왜 그렇게 많은 옥.. 2013. 3. 6. 1930년대 이후 옥수수와 콩이 미국의 초원을 쓸어버렸다 America’s prairies are shrinking. Spurred on by high commodity prices and a biofuels rush, farmers are digging up grasslands in the northern Plains to plant crops at the quickest pace since the 1930s. While that’s been a boon for farmers, the upheaval could create unexpected problems. Map showing the percentage of grasslands that were converted into corn or soybean fields .. 2013. 2. 24.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