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규모 단작26 한골띄기 농법 작물 재배의 효율을 극대화하려는 이런 연구도 재밌긴 하다. 그러니까 일부러 '한골띄기(Skip-Row)'로 완충지역을 조성해서 가물었을 때 그곳에 있는 수분을 작물이 활용할 수 있어 물의 압박을 이기도록 돕는 방식이다. 이런 효과를 얼마나, 어느 정도로 배치했을 때 가장 효율이 좋은가를 .. 2017. 3. 9. 땅에 대한 굶주림: 소농은 전체 농지의 1/4 미만으로 세계를 먹여살릴 수 있다 It is commonly heard today that small farmers produce most of the world's food. But how many of us realise that they are doing this with less than a quarter of the world's farmland, and that even this meagre share is shrinking fast? If small farmers continue to lose the very basis of their existence, the world will lose its capacity to feed itself. GRAIN took an in depth look .. 2014. 5. 31. 대규모 단작에 대한 대안이 되는 생태농업 “Agroecology does not mean going back to the Stone Age; on the contrary, it is based on high-level scientific concepts,” says one of the interviewees in Crops of the Future – How agroecology can feed the world, the last film by the French researcher Marie-Monique Robin, who visited the country in late November and presented the film together with her last book (which .. 2014. 1. 24. 공업형 농업의 생산량 급감은 식량 생산정점을 예고한다 Staple crops like rice are facing unprecedented decline. Photograph: George OsodiIndustrial agriculture could be hitting fundamental limits in its capacity to produce sufficient crops to feed an expanding global population according to new research published in Nature Communications. The study by scientists at the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argues that there have been abru.. 2013. 12. 20. 소농이 답이다 흥미로운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먼저 이에 딸린 설명을 살펴보자. 2011~2013년 중반까지 세계의 식량가격은 2003~2008년보다 약 80% 상승했다. 세계의 화학비료 사용량은 지난 40년 동안 8배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곡물 생산량은 겨우 2배 증가했을 뿐이다. 농업생산성의 증가율은 연간 2%에서 .. 2013. 9. 19. 미국에서 다각화된 농장이 사라지고 있다 농업이 점점 전문화되면서 규모화로 이어지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다. 현재 한국에서는 그러한 일이 축산농가에서 일어나고 있다. 사육두수가 너무 많다면서 영세 축산농가 들에게 폐업을 권장하고 있는 모습이 바로 그것이다. 이를 통해 대규모 축산농가를 지원, 육성하며 규모의 경제.. 2013. 9. 4.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