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구47 제주도 전래 농기구 연구 2002년 김동섭 씨의 학위논문 2024. 3. 20. 갈다 -괭이와 쟁기 2부 제4장 쟁기 1. 쟁기의 기원 쟁기의 기원에 대해서는 괭이가 기원인지 가래가 기원인지 세계적으로 논의되어 왔습니다. 가래 안에는 (그림1-A)①처럼 가래에 부착한 끈을 도우미가 당겨서 경운을 돕는 것이 있고, 그것을 ②처럼 사람이 앞쪽으로 끌어서 인걸이가 생기며, ③처럼 소에 멍에를 지워 소갈이 쟁기가 발생한다는 설도 제기되어 왔습니다. 그렇지만 보습의 변화에 주목하면, B그림처럼 괭이는 콱 찍어 넣어 흙을 일으키고 찍어 넣어 일으키는 걸 반복하고, 가래도 밟아 넣어 흙을 일으키고 밟아 넣어 일으키는 걸 반복하여, 날끝은 공중-땅속을 왕복하는 "간헐 경운"인데 반해 쟁기의 보습은 C그림처럼 소가 끌어서 땅속을 잠수함처럼 잠항하는 "연속 경운"이라 기술적으로는 완전히 다른 계통입니다. 이러한 점에서 쟁기는.. 2024. 3. 13. 갈다 - 괭이와 쟁기 1부 1장 농기구란? 그 역사 온고지신 - 일본인은 메이지 시기까지는 중국, 메이지 이후는 서양, 그리고 전후에는 미국의 문화를 도입한 것이 일본의 근대화라고 이야기되어 왔습니다. 그때 좁은 일본에서 오래된 도구를 보존하고 있었던 것은 선진국의 기술, 도구를 도입하는 데 곤란을 준다고 생각되었습니다. 1957년 池田 내각 시대는 농가의 소득이 도시 급여소득자의 절반쯤입니다. 그래서 농가의 소득도 급여소득자와 마찬가지로 높이려 하여 농가의 소득 배증을 어떻게 할까. 1960년에 농업기본법이 제정되어 이에 기반하여 1962년에 전국에서 제1차 농업구조개선사업이 개시되었습니다. 농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해 농지의 경지정리, 습지의 암거 구축, 두렁의 정비, 용배수로의 정비, 관개시설의 설치, 농기구의 정비 등이.. 2024. 2. 23. 돌낫과 철낫 청동기 시대의 낫과 초기 철기 시대의 낫을 비교하면 차이가 분명하다. 만듦새는 비슷할지 몰라도 소재가 확연히 달라진다. 위의 사진은 모두 한국고고학콘텐츠연구원의 것. 여기서 짐작할 수 있는 건 청동기는 지배층의 전유물이었다는 점이다. 그래서 의례나 장식을 위해서 쓰인 유물.. 2019. 6. 20. 선사 시대의 농기구 진주 대평리 유적에서 출토된 청동기 시대의 농기구 돌괭이. 길이는 24.4cm라고 한다. 다음은 경남 산청에서 출토된 돌낫. 반달 돌칼과는 다른 형식으로 출토량은 적지만 한반도 전역에서 고르게 나온다. 날은 양쪽에서 갈아서 다듬었는데 안쪽으로 약간 휘어져 들어가 있어 끌어당기며 베.. 2019. 6. 20. 미국에서 불티나게 팔린다는 호미 한국의 호미가 미국에서 불티나게 팔린다는 소식. https://news.v.daum.net/v/20190217134610706 이걸 보면서 우리는 무얼 생각하게 될까?'우와, 호미가 역시 엄청나게 우수한 농기구였다. 과학적으로도 뛰어나다는 게 이로써 증명되는 것이다.'와 같은 반응이 나올 수도 있고, '미국 애들은 왜 이런 걸 .. 2019. 2. 18. 이전 1 2 3 4 5 ···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