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름30 일본, 써레차 화학비료가 널리 쓰이기 전, 풋거름을 논에 넣던 시절에 이를 논흙에 잘 넣기 위해 끌고 다니던 농기구. 長野県 富士見町 池之袋昭和 31年(1956) 6月촬영 武藤盈 2025. 4. 3. <흙은 흙이다> -1장 이 흙은 좋은 흙인가? 1 '좋은 흙이란 어떤 흙일까?' -좋은 흙이 되기 위한 4가지 조건 농민들이나 텃밭에 열심히 몰두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자주 질문을 받는 게 있다. "좋은 흙이란 어떤 흙인가요?"이다. 사실 이는 매우 어려운 질문이다. 하지만, 현재 농작물을 재배하는 토지의 흙을 전제로 한다면, '좋은 흙이란 작물의 생육을 저해하지 않는 흙이다'라고 답한다. 그럼 그 작물의 생육을 저해하지 않는 흙이란 구체적으로 어떤 흙일까? 그건 다음 4가지 조건을 겸비한 흙이라고 생각한다(표1-1). 표1-1 작물을 재배하는 데 좋은 흙이 되기 위한 4가지 조건 조건 내용 흙의 물리적 성질에 관한 조건 (1) 경도와 두께 : 작물의 뿌리를 확실히 지탱할 수 있도록 두텁고 단단한 흙이 충분할 것. (2) 수분 상태 : 적당히 수분을 .. 2020. 10. 12. 북한 농업의 질소 부족 문제 부모들은 자식이 둘 이상 있을 때 이런 이야기를 잘한다. "둘이 딱 반만 섞어 놓으면 좋겠다"고. 남쪽은 질소질이 너무 넘쳐서 문제인데, 북쪽은 반대로 너무 부족해서 문제가 되고 있다. 딱 반씩만 섞으면 좋겠구만. 2020. 1. 9. 질소질에 잠식 당하고 있는 한국의 농업 "2013년 기준, 경종 부문 실제 질소 투입량은 약 43.1만 톤으로 화학 질소와 축분 질소가 각각 25만 톤(60.1%), 17.2만 톤(39.9%)을 차지하고 있다. 작물별 표준 시비량에 근거한 경종 부문 양분 필요량이 21.5만 톤이므로 화학 질소만으로도 이미 양분이 과잉 투입되고 있는 상태인 것이다." "축산 부.. 2019. 12. 23. 좋은 거름이란 무엇인가? 석종욱 선생님은 <땅심 살리는 퇴비 만들기>만이 아니라 강연에서도 늘 섬유질을 강조하신다. 그래서 리그닌이라는 목질이 풍부한 재료로 퇴비를 만들면 좋다고 하신다. 그래야 거름발이 오래 가고 좋다면서 말이다. 그러한 섬유질이 흙에 들어가면 무엇이 좋은가? 다름 아니라 여러 .. 2018. 1. 4. 8000년 전 유럽의 농민들도 분뇨를 활용했다 독일의 남서부 호른슈타드-호른Hornstaad-Hoernle에서 발굴된 보리의 일부분. Credit: Ian Cartwright/Oxford University 유럽의 최초 농민들이 예전 생각보다 훨씬 더 정교한 농법을 활용했다는 연구가 새로 발표되었다. 옥스포드 대학이 이끄는 연구진은 신석기시대의 농민들이 기원전 6000년 무렵에 작.. 2017. 6. 7.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