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농담/농업 전반482 소농은 행성을 식힐 수 있다 https://docs.google.com/present/embed?id=dfgdp9f7_132hgbjpvd9&interval=20 2011. 6. 8. 유기농 음식이 해답인가? 저널리스트 Marc Gunther는 최근 미래의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에서 유기농업의 역할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논의하는 사려깊은 기사를 게재했다. 그는 많은 소비자가 먹을거리를 생산하는 데에는 두 가지 방식만 있다고 믿는다는 걸 발견했다: "첫 번째는 크고, 빠르고, 현대적이고, 관행적이며, 산업.. 2011. 5. 31. 행성의 생태적 자산인 소농 http://www.foodfirst.org/en/node/2115 행성의 생태적 자산인 소농: 우리가 남반구 소농의 새로운 활력을 지원해야 하는 다섯 가지 주요한 이유 by Miguel A. Altieri: Sociedad Cientifica LatinoAmericana de Agroecologia(SOCLA) 대표 비아 깜페시나Via Campesina는 농민은 그들 자신의 공동체와 국가를 위해 식량을 생산할 토지가 필요하.. 2011. 5. 31. 농업보조금과 농업의 미래에 대한 단상 산업형 농업은 거대한 시장이 필요하고, 그래서 선진국은 개발도상국의 시장만 호시탐탐 노리고 있다. 거기에 얼씨구나 농업시장을 갖다 바친 우린 도대체 뭔가? 자동차, 전자제품으로 대표되는 몇몇 재벌이 우리가 먹고 사는 걸 책임져 줄 것인가? 미국은 그 농지의 규모도 규모지만, 자국의 농업을 .. 2011. 5. 29. 유럽, 기아의 씨앗을 뿌리다 LEIPZIG, Germany, May 26, 2011 (IPS) - 유럽은 농업정책을 바꾸고 농민을 농업 연구에 주요한 참여자로 만들지 않는 한 기아에 직면할 것이라고 새로운 보고서가 밝혔다. 그리고 그러한 변화 없이 생물다양성의 손실을 줄이자고 최근 유럽에서 발표한 목표는 이루기 어려울 것이다. 프랑스는 심각한 가뭄으로 .. 2011. 5. 27. 에너지 산업과 농업, 그 닮은 관계 4월까지 4%를 넘어서며 국민 생활에 주름살을 만들고 있는 것이 물가다. 소득은 오르지 않는데 물가는 빠르게 올라 부담은 4%라는 숫자의 의미를 넘어선다. 실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석유와 식품가격이 크게 올랐던 것도 한몫했다. 이처럼 국민생활에 부담을 주고 있는 물가상승의 핵심 원인.. 2011. 5. 26. 이전 1 ··· 67 68 69 70 71 72 73 ··· 8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