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농담/농업 전반482

바질 수확기 외국의 바질 수확기. 시금치도 이런 식으로 수확할 수 있지 않을까? 시금치는 왜 뿌리까지 뽑아서 수확하는 것인가? 잎만 먹으면서. 2020. 3. 5.
시대별 농업 생산성 향상 이로 인해 세상은 상전벽해가 되었다. 2020. 3. 4.
북한 농업의 질소 부족 문제 부모들은 자식이 둘 이상 있을 때 이런 이야기를 잘한다. "둘이 딱 반만 섞어 놓으면 좋겠다"고. 남쪽은 질소질이 너무 넘쳐서 문제인데, 북쪽은 반대로 너무 부족해서 문제가 되고 있다. 딱 반씩만 섞으면 좋겠구만. 2020. 1. 9.
강원도 토양의 위기 겨울철 텅빈 비탈밭에 강한 비바람이 쏟아졌고, 그 결과 하천은 토양침식으로 쓸려온 흙탕물로 더러워졌다. 그렇게 쓸려간 겉흙을 다시 회복하려면 엄청나게 오랜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아니, 애초부터 건강한 겉흙은 없었을지도 모르지. https://news.v.daum.net/v/20200108151351885 2020. 1. 8.
유럽 농업보조금의 추악한 비밀 지난 7월, 프랑스 브르타뉴의 본 마브리Bon Abri 해안에 널린 조류. 2017년 봄, 유럽연합의 환경운동가, 학자, 로비스트 단체가 친환경 농업 관행에 대해 기술적인 토론을 하고 있을 때, 화면에 지도가 나타났다. 순간, 방 안은 쥐죽은 듯이 조용해졌다. 농업 로비스트가 반대했다. 관료들은 그.. 2019. 12. 27.
질소질에 잠식 당하고 있는 한국의 농업 "2013년 기준, 경종 부문 실제 질소 투입량은 약 43.1만 톤으로 화학 질소와 축분 질소가 각각 25만 톤(60.1%), 17.2만 톤(39.9%)을 차지하고 있다. 작물별 표준 시비량에 근거한 경종 부문 양분 필요량이 21.5만 톤이므로 화학 질소만으로도 이미 양분이 과잉 투입되고 있는 상태인 것이다." "축산 부.. 2019. 12.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