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미는 논이나 밭의 김을 매는 데에 쓰는 우리 고유의 연장으로, 지방에 따라 호맹이, 호메이, 호마니, 호무 등으로 불린다.
호미는 서유구(1764~1827)의 '임원경제지'에서 동서(東鋤, 동쪽나라의 호미)라고 했을 만큼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농기구 가운데 하나이다.
부등변 삼각형인 날의 한쪽 모서리에 목을 이어대고 거기에 자루를 박은 독특한 형태의 연장인 호미는 이미 통일신라시대의 안압지 출토유물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고려시대의 호미도 오늘날의 호미와 똑같은 형태이다.
호미는 날, 슴베, 자루의 3부분으로 구성되는데, 날은 땅을 파고 뒤집을 수 있도록 만든 납작한 철판이며, 자루는 나무 손잡이이고, 슴베는 날과 자루를 연결해 주는 중간 부분이다.
호미는 기능상의 필요성과 생태 환경에 따라서 이 3부분의 크기와 전체 모양을 달리함으로써 형태의 다양성을 보이고 있다. 즉 날의 크기와 모양, 슴베와 자루의 길이, 날과 슴베가 만나는 각도 등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우리나라의 호미는 그 기능과 모양에 따라 논호미와 밭호미로 분류된다.
논호미는 날 끝이 뾰족하며, 날의 위쪽 너비가 약 10㎝, 날 길이가 20~25㎝로 날이 크고 넓적한 형태이다. 또한 날의 중심이 불룩하여 날로 흙을 찍어 잡아당기면 흙밥이 잘 뒤집어져서 논매기와 골타기에 알맞은 모양을 하고 있다. 때에 따라 젖은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자루에 새끼를 감아 사용하기도 한다.
밭호미는 논호미와 달리 형태가 매우 다양하여, 논호미와 같이 뾰족한 쪽이 날 끝이 되는 외귀호미와 삼각형의 한 변이 날 끝인 양귀호미 등이 있다. 외귀호미는 중부이남 지방에서 주로 사용되며, 도서·해안 지방 일수록 날이 작고 뾰족한 형태를 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비가 많은 지방일수록 두드러져서 낫이라고 불리는 제주도 호미는 마치 갈고리처럼 날이 예리하고 작은데, 많은 비로 잡초의 뿌리가 땅속 깊이 내리기 때문이다.
또한 호미는 그 지방 토양, 기후 등 자연환경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중부지방인 경기, 충청남·북도, 전라북도 등지에서 쓰이는 보습형, 경남, 제주도, 전남 도서 지방 및 산간 부락 등 낫형 그리고 황해, 평남·북, 경기도 등의 세모형 등으로 분류된다.
우리 호미의 날은 쇠를 높은 온도(850℃ 이상)로 가열하여 메와 망치로 열간단조를 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강도가 높아 연장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만들었다.
호미의 모양은 날부분이 뾰족하고 위로 올라갈수록 넓어지는 역삼각형 형태로 호미를 내려 쳤을 때 모든 힘이 날의 끝에 집중되게 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효율적으로 쉽게 땅을 팔 수 있도록 고안됐다. 또한 슴베와 호미날이 이루는 각도는 호미질을 할 때 어깨를 중심으로 호미날이 그리는 원과 같은 각도를 이루므로 직각보다 적은 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호미는 닳아서 더 이상 못쓰게 되면 다른 쇠를 붙여 재사용하였는데, 이것을 '벼려쓴다'고 한다. 벼릴 때에는 진흙을 무딘날에 바르고 그곳에 다른 쇠를 대어 집게로 집은 뒤 풀무질로 불에 달궈 메로 치면 하나로 붙는다.
호미의 크기, 모양, 쓰임새 등은 모두 그 지방의 토양 질에 따른 작업의 효율성을 고려한 과학슬기가 듬뿍 배어있으며, 이러한 호미로 하루 300여 평의 논을 맬 수 있다.
'농담 > 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을 이용한 선조들 (0) | 2010.05.17 |
---|---|
공동체 삶·과학 슬기 깃든 '가래' (0) | 2010.05.17 |
소와 벌이는 한판 놀이 '쟁기질' (0) | 2010.04.26 |
모 찌는 모습 (0) | 2010.04.02 |
1968년의 모습 (0) | 2010.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