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현대농업16 몬산토가 농약에 흠뻑 젖은 미래에 450억 달러를 걸다 Once an industrial-chemical titan, GMO seed giant Monsanto has rebranded itself as a "sustainable agriculture company." Forget such classic post-war corporate atrocities as PCB and dioxin—the modern Monsanto "uses plant breeding and biotechnology to create seeds that grow into stronger, more resilient crops that require fewer resources," as the company's website has it. T.. 2015. 11. 12. 작물의 야생종이 중요한 까닭 작물의 야생종이 중요한 까닭은? 역시나 유전적 다양성 때문이다. 그러나 현대의 농업은 산업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지나치게 획일화, 단일화되고 있다. 그로 인해 혹시라도 발생할 사태가 우려스럽다. 그래서 토종이라도 열심히 보전하고 퍼뜨려야 하지 않을까 한다. --------- Nora Castañ.. 2014. 6. 4. 땅에 대한 굶주림: 소농은 전체 농지의 1/4 미만으로 세계를 먹여살릴 수 있다 It is commonly heard today that small farmers produce most of the world's food. But how many of us realise that they are doing this with less than a quarter of the world's farmland, and that even this meagre share is shrinking fast? If small farmers continue to lose the very basis of their existence, the world will lose its capacity to feed itself. GRAIN took an in depth look .. 2014. 5. 31. 언론이 등을 진 몬산토 유전자변형 작물을 개발하여 종자를 판매하는 몬산토와 신젠타를 위시한 생명공학 기업들은 슈퍼 잡초가 번성해도, 슈퍼 해충이 등장해도 하등 싫어할 이유가 없다. 아니 오히려 두 손을 들고 반색할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그러한 내성을 지닌 풀과 벌레의 등장은 새로운 시장이 열린다.. 2013. 7. 17. 현대 농업의 일상적 모습 아래의 사진은 인도네시아의 팜야자를 재배하는 플랜테이션 농장의 사진이다. 얼마전 큰 산불이 나서 주변국들에게 연기 피해를 심각하게 끼쳤다는 소식은 들으셨을 것이다. 그 주요 원인이 바로 아래와 같은 팜야자 농장을 개발하기 위해 숲을 불태우는 행위와 연결되어 있다고 한다. . .. 2013. 7. 4. 미국의 황진지대 1900년대 초반, 미국의 농민들은 값싼 땅을 찾아서 남부의 평원으로 몰려들었다. 이 지역은 사실 강한 바람에 뜨거운 여름, 빈번한 가뭄으로 농사에 적합한 곳은 아니었다. 특히 1차대전 기간에 밀 가격이 폭등을 하면서 농민들의 이주를 부추겼다. 밀 가격의 폭등과 함께 토지 개발업자들.. 2013. 6. 3.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