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충25

닭과 함께 농사짓기 소농에게 닭은 참으로 유용한 동물이다. 소나 돼지처럼 먹을 걸 많이 들이지 않아도 되고, 그만큼 노동력이 훨씬 덜 들면서 소중한 단백질 공급원인 달걀과 고기를 제공한다. 또한 닭은 왕성한 식욕으로 풀과 해충을 먹어치우는가 하면, 질소질이 풍부한 똥거름을 제공하기도 한다. 농부.. 2013. 7. 8.
먹노린재 먹노린재 Rice black bug 기주 및 분포 산기슭의 낙엽 밑을 비롯하여 제방, 논둑의 고사된 잡초속, 토양의 틈새, 돌밑에서 성충태로 월동한다. 형태 어른벌레의 몸 길이는 8~10mm이며, 몸색은 진한 흑색이다. 전흉배판의 가장자리 전면의 극상돌기는 앞으로 뾰쪽하게 돌출되어 있고, 뒷면 가장.. 2013. 1. 27.
중국 최대 해충피해 경고...'농작물 수확줄 듯' 올해는 곡창지대의 국가들이 기후변화에 의한 피해로 농작물 생산량이 감소할 것이란 예보가 돌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위급한 때, 최대의 소비국의 하나인 중국이 해충으로 인하여 수확량이 감소할 것이란 예보까지 나왔다. 이런 세계는 급속히 식량위기의 소용돌이로 말려들어가는 것.. 2012. 8. 14.
기장 주요 해충의 종류 및 피해 증상 기장주요해충및피해증상.hwp ○ 기장 가해 주요 해충은 노린재류, 나방류로 우점 노린재는 흑다리잡초 노린재>시골가시허리노린재>알락수염노린재 순이며, 우점 나방은 조명나방 및 멸강나방이며 벼 포장주변 기장 재배시 애멸구 발생 많음 ○ 다발생 및 피해시기는 노린재가 결실.. 2012. 7. 16.
치명적인 '중국 벌레'가 몰려오고 있다 농사를 짓지 않는 사람들은 잘 인식하지 못하지만, 농사짓는 사람에게 중국에서 벌레들이 바람을 타고 건너온다는 건 놀라운 사실이 아니다. 그러한 벌레들이 바람을 타고 날아와 낙하하는 자연의 현상 때문에 해마다 작물의 해충들이 발생하곤 했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현상이 기후.. 2012. 6. 4.
봄 기온 높더니… 농가의 적 꽃매미·애멸구 떼 몰려온다 기후변화가 도시인들에게는 조금 불편하고 이상한 일일지 몰라도, 자연과 맞닿아 살아야 하는 농사에는 커다른 충격으로 다가온다. 지난해 늦가을과 초겨울의 고온다습한 기후는 밀, 보리, 마늘, 양파 등이 웃자라게 만들었고, 바로 숨돌릴 틈도 주지 않고 찾아온 추위로 그렇게 웃자란 .. 2012. 5.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