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미로운 연구이다. 

고고학 유적지에서 발굴된 포도 씨앗을 가지고 유전적으로 분석하니, 현대의 품종과 부모-자식 같은 관계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결과가 나왔단다. 심지어 사바냥 블랑은 900년 전의 품종과 유전적으로 똑같다는 결과까지 나왔단다. 얼마나 맛이 좋아 선호되었길래 1000년 가까이 똑같은 품종을 재배해 포도주를 담갔다는 건가? 








https://www.nature.com/articles/s41477-019-0437-5


요약


유라시아 포도나무(Vitis vinifera)는 오랫동안 포도주 생산만이 아니라 먹을거리 공급원으로 중요했다. 복제로 번식시켰음에도 불구하고, 현대의 품종은 역사적 및 동시 존재적 기록에 기술된 수천 가지 품종과 함께 형태학적, 유전적으로 높은 다양성을 나타낸다. 역사적 기록을 통하여, 일부 품종들은 중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지만, 고대와 현대의 포도나무 사이의 유전적 관계는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우리는 철기시대, 로마시대, 중세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28가지의 고고학적 포도 씨앗으로부터 표적의 질을 높인 게놈 전체의 서열분석 자료를 제시한다. 작물과 야생의 자료와 비교했을 때, 우리는 고고학적 표본들은 오늘날 양조에 이용되는 유럽 서부의 품종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발견했다. 우리는 여러 로마시대의 유적지에 존재하는 동일한 유전적 특징을 가진 씨앗만이 아니라, 오늘날 재배되는 품종들과 부모-자식 관계를 공유하고 있는 씨앗들을 확인했다. 또한 우리는 서력 11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한 씨앗은 "Savagnin Blanc"과 유전적으로 일치하여, 900년 동안 연속된 식물 번식의 증거를 제공한다.



728x90

'농담 > 씨앗-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의 번식법  (0) 2019.06.18
씨앗에 대한 잘못된 정보  (0) 2019.06.14
여러 가지 밀  (0) 2019.06.05
고려인의 볍씨  (0) 2019.06.05
야생의 바나나  (0) 2019.05.02



728x90

스리랑카 북서부의 Mantai라는 항구도시에서 600-800년 무렵의 것으로 추산되는 포도 씨앗이 발굴되었단다.


이는 당시 유명한 무역항이었던 이곳에서 로마의 상인이 가져왔을지 모를 포도가 재배되었다는 증거일지도 모른다고.


너무나 흥미롭지 않은가.


https://www.sciencemag.org/news/2018/12/ancient-grape-seeds-may-link-sri-lankan-trading-port-roman-world



728x90

돈 안 된다며 복숭아 나무를 베어버리면 지원금을 주던 시기가 있었는데 이제는 우후죽순처럼 복숭아 나무를 심는단다. 

10년 전인가에는 블루베리가 돈이 된다며 보조금을 줘가며 심으라고 권하더니 이제는 또 돈이 안 된다며 베어내란다. 

농정 당국이나 농민들이나 그런 모습을 보면 한심, 한심, 또 한심스러워 한숨만 나온다.




http://imnews.imbc.com/replay/2016/nw1800/article/4120947_19830.html

728x90




Seen from the air, the USDA National Clonal Germplasm Repository for Tree Fruit, Nut Crops and Grapes is a tidy, unremarkable, roughly 70-acre patchwork of varying shades of green and brown. From the ground, it’s a lush, hot, endless expanse of tangled vineyards and sun-blasted groves, alive with chirping birds and buzzing. 


It contains two each of hundreds of species that are or have been relevant to California’s agriculture -- as well as those crops’ wild ancestors -- and has been called a bank, a backup, a living history, an ark. As climate change increasingly wipes out the fruits and nuts we eat today, this place, says Dylan Burge, a botany curator at the California Academy of Sciences, is where we’ll turn for help.




Almonds, apricots, cherries, figs, grapes, kiwi, olives, peaches, pistachios, plums, pomegranates, walnuts: The repository’s list adds up to 253 taxa and so much mouth-watering diversity that a 30-foot stroll will net you five kinds of plums. But as anyone who’s grown mealy peaches from a promising pit may suspect, this incredible richness can’t be protected by saving seeds. The only way to replicate these crops is to do an end-run around cross-pollination by clonally propagating them: by planting a live, healthy cutting. For cultivated fruits and nuts not backed up by living collections, gone from our farms means gone from the world.





California’s $17.2 billion fruit and nut industry may look too big to fail, but climate change-driven increases in temperature, drought, flooding, and disease aren’t just coming for this mostly Mediterranean climate;they’re already here. The near future is predictably grim: A 2009 UC Davis study concluded, “Areas…for growing walnuts, pistachios, peaches, apricots, plums and cherries are likely to almost completely disappear by the end of the 21st century. For…apples, cherries and pears, very few locations with safe chilling levels were found to exist today, and…virtually none will exist by mid-century.” That’s a big threat to food security (California fruit and nuts account for more than half of the nation’s tonnage), and the main reason this repository is worth caring about.








Banking current crops (and distributing cuttings to anyone who asks) is vital, but it’s just one small piece of the facility’s larger mission. By maintaining the crops’ “wild progenitors” — the tiny olives, odd-tasting grapes and all-pit-no-pleasure peaches that are the ancestors of modern crops — the repository is preserving a huge index of genetic traits that we’ll desperately need in the future, including drought-resistance, heat-resistance, disease-resistance and more. Collectively, this stock is called germplasm, or as Burge puts it, “one of our most valuable resources going forward.”







Consider the vineyards of northern Sonoma County, heavy with pinot noir grapes that require a cool climate. As temperatures rise, growers will respond by switching to other, existing grapes that are slightly more resistant to warmth. “And sure, they can probably do that for a while,” says Burge. “But at some point, they’re going to run out of genetic variation in existing cultivars and they’ll have no choice but to breed more heat resistance, and more disease resistance.” (As California gets warmer, it’ll also get wetter, requiring heavier doses of sulphur and other anti-fungals to combat disease.) To breed in new traits, you go back to nature — you go back to wild progenitors.







The differences between a cultivated fruit and its wild ancestor — the extent to which we humans have successfully overhauled them to fit our preferences — is a little shocking the first time you really see it. Uncultivated fruits are generally smaller, less sweet, have thicker skins and less flesh; cultivated plants have bigger leaves, thicker stems, and the fat vines necessary for shunting water and sugar to fruits (and supporting the weight of their increased size). We’ve changed crops so much, and for so long, that in many cases their true, untouched relatives don’t even exist in the wild anymore. “Vitis vinifera is like that,” says Burge. “It’s one of these organisms that seems to have been virtually wiped out at the same time it was domesticated. We managed to backcross all of them to wild stock over thousands of years, so the wild stock disappeared.”







Table and wine grapes are the repository’s main focus, with about 10,000 vines representing 5,000 varieties and species of grapes from all over the world. And while the wild grapes may technically have all been interfered with at some point in our 6,000-plus-year history with them, they’re still pretty untamed. A velvety, sun-warmed, unidentified species of wild Costa Rican grape pops with totally unclassifiable sweetness, despite being small and packed with seeds. Fox grapes sneak up on you with some sort of unfriendly but exciting muskiness. A tart scuppernong grape is intense in a fantastically un-supermarkety way. “These guys are really divergent,” Burge says, mouth full of them. “They’ve been evolutionarily separate from the table and wine grapes for 40 or 50 million years.”







Despite the fact that he can sometimes be found earnestly inspecting kiwifruit — or anything else that’s green (including, he confesses, salad bars) — Burge’s area of research is grapes. It’s also, as it happens, a solid illustration of how vital this repository is to our food future. “We don’t understand what genes allow a plant to detect warmth,” he says. “We don’t understand, for the most part, what combination of environmental variables trigger a plant to flower, and then the subsequent event — fruit-ripening — we don’t understand that at all. And then at the end of the season,” he adds, throwing up his hands, “how do they sense changes in day-length and temperature to know when to go dormant to avoid being injured by first freeze? These are all things we need to understand to build the capacity for resistance to climate change.”







The repository’s enormous grape collection is one of the few places big enough, diverse enough, and aliveenough to allow Burge to find answers. It’s a sample size so massive that any variation he sees — in the timing of when the leaves or flowers come out, or when the fruit ripens — “should be genetic, since they’re growing in exactly the same conditions.” By collecting that kind of big data, Burge and colleagues will be able to do a range of problem-solving, starting with the construction of models that reveal how different grapes respond to different temperatures, and which ones are going to be better at dealing with environmental changes like increased warmth late in the season, or drought.







Burge will also be able to combine that data with genome sequencing to begin figuring out exactly what genes are involved in those adaptations. That work won’t deliver answers that apply to olives, pistachios, or anything not a grape — “we’ve learned recently that plants vary widely in their genetic basis for stuff like this,” he explains — but identifying a gene that helps grapes negotiate changing temperatures would have huge implications for the country’s grape industry (which contributes a reported $162 billion to the U.S. economy). “If we can compare 50 varieties of the genomes simultaneously,” says Burge, “we’ll have a really good sense that this is the gene that controls a trait across all grapes, which means if we breed it back into any other grape, we know we’ll be able to give it that quality.”







“I couldn’t do this work anywhere but here,” Burge adds, nodding at rows of grape vines that unfold for acres. “Having a block like this is a perfect resource for experiments and genetics. If it were a smaller sample size, we just couldn’t do it.” Burge isn’t the only researcher at work in the repository — there are ongoing projects specific to plums, walnuts, almonds, and more — but they all have at least one thing in common: They’re racing the clock.







“There’s a huge rush right now,” he says, pistachio nuts crunching underfoot, “because we’re already losing stuff.” He mentions a recent $50 million grant from the European Union that’s sending botanists all over the world to collect germplasm from as many “landraces” as they can, but adds, “it’s mostly focused on seed crops, because it’s really easy to take a big bag of seeds and just throw them in the refrigerator. If you’re going to do the same project for clonal crops, you’d have to do something like this on an enormous scale.”







Considering the role this place will play in our future — and how few of them there are (the USDA maintains another national repository in Corvallis, Oregon; a smaller, citrus-focused version in Riverside; and a handful of seed banks) — it’s a little unsettling to see how, as Burge puts it, “wild and wooly it is out here. There are basically three guys who maintain this whole facility,” he explains, making his way down rows where vines carpet the ground, “and they don’t have a lot of money to maintain the collections. [Horticulturalist] Bernie [Prins] is in real damage control mode just to keep it going, but they do a pretty incredible job.” The enormity of their task is clear as soon as you pull through the gates of Wolfskill Ranch. After three hours of walking — during which you cover maybe a third of the grounds — the reality of what it must actually take bowls you over.







Full of grapes, stomach regretting a lot of almost-ripe peaches, hands sticky with figs, it’s hard not think about the mirror that crops hold up to the people who eat them. Today, they reflect not just our tastebuds, aesthetics, and migrations, but our uneasy relationship with a planet we’ve changed more radically than any plant. If that makes you feel fragile, uncertain, even frightened, that seems about right. If it makes you want to support science funding, support farmers’ markets, or even grow something yourself, even better. Just know that if you email Bernie for cuttings, you’ll end up in line behind a lot of scrambling researchers, and you’d better be ready to cover shipping.




http://modernfarmer.com/2014/09/beautiful-best-chance-save-tree-fruits-nuts-grapes/

728x90

오늘 아래와 같은 기사를 보았다. '포도가 좋다'는 제목으로 농식품부에서 8월의 과일로 포도를 정했다는 이야기. 그런데 나의 눈길을 끄는 건 이 대목이었다. 포도 재배면적이 "꾸준히 줄어 2000년의 절반 수준" 이라고 하는 것 아닌가! 

그러면서 예전에 정부에서 한미FTA를 추진하며 한칠FTA로 포도 농업이 경쟁력을 갖추게 되고 아무 문제도 생기지 않았다. 오히려 더 소득이 높아지고 좋아졌다고 하던 정부의 발표가 말이다. 

 


농림수산식품부는 8월의 과일로 포도를 추천했다. 지난 8일 '2012 포도데이' 행사도 열렸다. 포도는 항암 작용, 콜레스테롤 저하 등 질병 예방에 효과적이다. 특히 포도의 과실, 잎, 줄기에 많은 레스베라트롤은 심혈관 질환에 효과가 크다. 포도 씨에 많은올리고머는 비타민-이(E)의 50배나 되는 강한 항산화 작용이 있고 포도나무 뿌리에 많은 비티신은 피부 미백에도 효과적이다.


포도는 고려시대 이전에 국내에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며 조선시대에 재배법이 널리 소개되었다. 통계청 농업 면적 조사에 따르면, 올해 전국 포도 재배 면적은 1만4590헥타르(㏊)로 여의도 면적의 약 17배에 해당한다. 재배 면적은 꾸준히 줄어 2000년의 절반 수준이다. 지역별 면적(㏊)은 경북(7351㏊), 충북(2261㏊), 경기(2098㏊), 충남(1008㏊) 순으로 넓다.





송규봉/GIS유나이티드 대표




그래서 다시 찾아보았다. 한칠 FTA 이후 정말 포도농사에 아무 문제가 없었는지. 그리고 아래와 같은 기사를 발견했다. 더 뭐라고 할 말은 없고, 정부의 발표가 얼마나 허구적이었는지 아래의 기사를 읽는 것만으로도 알 수 있다. 읽어보시기를... 




▲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행하는 국정홍보지 <위클리 공감> 131호 18·19 페이지.
ⓒ 안홍기

관련사진보기

"걱정했던 부작용은 크지 않았다. 칠레와 첫 FTA를 맺을 당시 무엇보다 걱정은 농업이었다. 농업강국인 칠레의 농산물이 한국의 식탁을 집어삼킬 것이란 으스스한 예언이 난무했다. 하지만 정작 뚜껑을 열어보니 비관적인 예측은 큰 차이로 빗나갔다. 포도, 키위 등 특히 우려했던 품목의 경우 한국에서 재배면적이 오히려 넓어졌다. 생산량도 당연히 많아졌는데 가격은 오히려 비싸졌다. 칠레산 돼지고기 수입이 늘어났지만 국내산 돼지의 사육두수도 많아지고 가격도 올랐다."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행하는 국정홍보지 <위클리 공감> 131호 '한국경제의 미래 우리 몫으로 남았다' 제목의 기사에서 한·칠레 FTA가 부작용을 낳기보단 오히려 농업부문 경쟁력 강화로 이어졌다고 설명하면서 한·미 FTA의 비준이 필요하다는 점을 역설한 부분이다. 이 중 특히 '포도의 생산이 늘었다'는 부분은 한·미 FTA 비준을 촉구하는 일부 언론의 사설과 기사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대목이다.  

 

생산량 늘어난 건 시설포도 뿐... 생산·수입증가에도 가격 안 떨어져?

 

그런데 좀 이상하다. 국내산업의 경쟁력이 떨어지는 시장을 개방했는데 어떻게 국내 생산량이 늘어났을까? 일단 이 기사에서 말하는 포도는 엄밀히 말하면 비닐하우스 등에서 키워 제철이 아닌 때에 출하하는 '시설포도'다.

 

정부출연 전문연구기관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올해 초 발행한 <농업전망2011>에 따르면, 노지포도와 시설포도를 합친 전체 포도 생산량은 2000년을 기점으로 지속적인 하락세를 이어오고 있다. 노지포도의 재배면적은 빠르게 줄어든 반면 전체 포도 재배면적 중 약 10%(2008년 기준)를 차지하는 시설포도의 재배면적은 꾸준히 늘었다.

 

시설포도만 놓고 보면 정부가 선전하듯 2004년 한·칠레 FTA 발효 이후 포도의 생산량이 늘어난 게 맞다고도 볼 수 있다. 정부가 포도 중에서 시설포도만 내세우는 건 남반구인 칠레산 포도에는 계절관세(2011년 기준으로 5~10월 45%, 11월~다음해 4월 12.4%)가 적용돼, 주로 2~5월에 수입되는 칠레 포도와 경쟁하는 건 시설포도라고 간주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포도의 수입 또한 크게 늘었다. 2004년부터 가파르게 증가한 포도 수입량은 2010년 3만 5000톤으로 2006년보다 102% 증가했다. 이 중 칠레산이 88%를 차지한다. 국내 시설포도 생산도 늘고, 칠레 포도 수입도 늘었는데 포도 가격이 폭락하지 않은 것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 포도 재배 면적과 생산량(3개년 이동평균, 통계청 자료)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관련사진보기

 

농촌경제연구원 "칠레산 수입으로 포도 생산 감소, 딸기·감귤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지난 2009년 10월에 낸 '농업부문 FTA 이행 영향 및 보완대책 평가' 연구보고서가 그에 대한 답을 제공한다. 

 

이 보고서는 "칠레산 포도 수입으로 포도 생산은 0.2~0.4% 감소하고 가격은 0.3~0.7% 하락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내 포도 생산액은 FTA 발효 첫 해에 35억 원, 이후 매년 51억~73억 원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었다"고 분석했다. 일단  정부가 선전하듯 '한·칠레 FTA 발효 뒤에도 포도 생산량은 늘었다'는 것과는 배치된다. 

 

이 보고서는 또 대체제와의 연관성에도 주목하고 있다. 칠레산 포도의 수입이 국내산 딸기와 감귤의 생산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것. 이 보고서는 "칠레산 포도와 소비에서 대체제 관계에 있는 딸기의 생산량이 연 0.0~0.1% 감소하고 가격은 0.4~0.8% 하락한 것으로 추정되어 국내 딸기 생산액은 매년 31억~64억 원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며 "칠레산 포도 수입증가로 국내 감귤 생산은 0.1~0.3% 감소하고 가격은 0.4~0.8%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 간접적으로 매년 20억~40억 원의 생산액이 감소된 것으로 추정되었다"고 보고했다.

 

뿐만 아니라 "칠레산 키위 수입 증가로 국내 키위 생산은 0.5% 감소하고, 가격은 1.0~ 1.1% 하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키위 생산액은 연간 2.7억~2.8억 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칠레산 돼지고기의 수입으로 국내 돼지고기 생산은 매년 0.3% 감소하고, 가격은 1.0~1.1%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매년 343억~352억 원의 생산액 감소를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이 보고서는 또 "품목에 따라서는 개방이 이루어진 품목에 미치는 직접적인 피해보다 대체관계에 있는 품목들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며 "향후 FTA 추진 및 영향 분석에 있어서는 대체작물 및 연관산업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제언했다.

 

결국 '한·칠레 FTA으로 인한 농업 분야 타격이 예상보다 크지 않았다"고는 할 수 있어도, 정부의 선전처럼 '포도·키위의 생산량이 오히려 늘었다'고 할 순 없는 것이다. 또 포도 농업의 타격이 적은 것은 칠레산 포도 수입의 여파가 대체재인 딸기와 감귤 농업으로도 분산됐다는 점을 고려하면, 시설포도의 타격이 크지 않다고 해서 FTA로 인한 농업 분야의 타격을 대수롭지 않다고 생각할 순 없는 것이다.

 

한·미 FTA 유언비어 구속수사... 짜깁기 수치 선전하는 정부는 어떡하나?

 

정부는 지난 7일 공안대책협의회를 열고 한·미 FTA와 관련해 허위사실을 퍼뜨리거나 불법 시위를 벌일 경우 구속수사 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한·미 FTA 관련 유언비어는 강력 처벌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각종 전문 연구기관이 내놓은 분석 자료를 보유한 정부가, 좁은 분야의 단순 수치만을 내세워 '한·칠레 FTA 이후 포도 생산량이 늘었으니 한·미 FTA 해도 농업 걱정은 없다'고 선전하고 있는 상황은 일개 누리꾼의 유언비어보다 더 위험하다. 누리꾼의 말은 타인들로부터 진위를 의심받지만, 정부의 발표는 아직은 어느 정도 권위를 인정받기 때문이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