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불금5 농촌공동체를 살리는 방법-⑤ - 다양하고 풍부하게 지원 받는 '유럽 농촌공동체'에 답 있다 ▲ 오스트리아 슈바츠 농업회의소. 임성희 녹색연합 전문위원의 조사에 따르면, 세계적인 초우량 국가 독일에서도 농민이 농사만 지어서는 먹고살기 어려운 듯하다. 일단 독일의 농림수산업 생산총액은 독일 국내총생산(GDP)의.. 2016. 8. 11. 스위스 농업의 직접지불제도 추진 결과와 시사점 FAS-011.pdf 2013. 7. 8. 미국의 소농 현황과 시사점 (제131호) 미국의 소농 현황과 시사점.pdf 1. 미국의 소농에 대한 정의 □ 소농은 연간 총수입액 25만$이하의 가족농 2. 2007년 농업총조사 결과와 소농 □ 규모별 농장분포와 소농 - 지난 25년간 규모별 미국 농업은 양극분화 심화 - 지난 25년간 전체 농장수는 1.6% 감소 - 소농의 수는 4.6% 감소하.. 2013. 6. 28. 미국의 옥수수 농업을 다시 생각할 시간 옥수수가 미국의 경관을 지배하고 있다. 중서부와 대평원을 가로질러 펼쳐져 있는 미국의 옥수수 지대는 거대하다. 펜실베니아 중부부터 네브라스카 서부까지 약 2400km를 운전해서 가면 그 영광스런 모습을 볼 수 있다. 다른 작물은 옥수수의 발 끝에도 미치지 못한다. 왜 그렇게 많은 옥.. 2013. 3. 6. 2012년을 마무리하며 한국의 친환경 쌀 생산량은 2010년 기준 무농약 22만9230톤, 유기농 2만5491톤으로 총 39만5752톤이다. 이는 전체 쌀 생산량 429만5000톤 가운데 9.2%를 차지한다. 그런데 그 가운데 유기농의 비율만 따지면 전체 생산량의 0.6% 정도뿐이다. 이렇게 생산된 유기농 쌀은 대부분 생협 등으로 유통된다. .. 2012. 12. 3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