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저항성11

작물다양성의 중요성 밀의 원산지라고 일컬어지는 에티오피아는 그런 만큼 다양한 밀 품종이 존재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유전적 다양성 때문에 특정 질병에 대응할 수 있는 유전자를 발견할 가능성이 높지요. 다양한 품종을 보전하는 일이 중요한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생산성만 최고의 가치로 여기.. 2018. 2. 13.
글리포세이트 발암물질 논란 글리포세이트 이슈 -미국 환경보호청.pdf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변형 작물의 맞춤형 제초제로 널리 판매되고 사용되는 글리포세이트. 지난해 이 화학물질이 2급 발암물질이라는 WHO의 발표가 있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3/22/0200000000AKR20150322055300009.HTML 아니 그런데, 올해에는 미.. 2016. 9. 20.
토종 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다 2009년 5월, 싸이클론 아일라Aila가 인도 동부를 파괴했다. 시속 120km의 속도를 기록한 아일라는 세계에서 가장 큰 망그로브 숲이 끊임없이 이어진 순다르반스Sundarbans를 강타했다. 이곳은 벵갈만의 강가Ganga-브라마푸트라Brahmaputra 삼각주에 위치해 있다. 그 태풍은 수백 명의 사람과 가축들.. 2016. 4. 29.
유전자변형 벼 상용화와 관련하여 요 며칠 유전자변형 벼의 상용화와 관련한 소식이 눈에 자주 띄었다. 그에 반대하는 측에서 우려하는 바가 무엇인지는 잘 알겠지만, 그걸 읽다 보면 우려를 넘어 공포를 조장하는 측면이 있어 몇 가지 짚고 넘어가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아침으로 먹을 미역국을 .. 2015. 10. 6.
유전자변형이 세계를 구원할까? 이런 논문을 보았다. <1996~2012년, 미국의 잡초 관리 변화와 유전자변형 제초제 저항성 작물> https://www.landesbioscience.com/journals/gmcrops/article/958930/ 이런 걸 보면서 드는 생각은 이렇다... 농업 부문, 특히 작물학 분야의 유전공학은 결국 생산효율성을 위한 일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러니 거.. 2014. 10. 4.
GM 작물에 대한 날카로운 관찰 Palmer amaranth has taken root as a herbicide-resistant ‘superweed’ in many US cotton fields. In the pitched debate over genetically modified (GM) foods and crops, it can be hard to see where scientific evidence ends and dogma and speculation begin. In the nearly 20 years since they were first commercialized, GM crop technologies have seen dramatic uptake. Advocates say th.. 2014. 3.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