쟁기질22 조선반도의 농법과 농민/ 영농실태조사/ 전남 순천군/ 황귀연 씨 전라남도 실태조사/ 순천 황귀연 씨/ 중오정 논 440평의 논벼 재배법 앞그루 쌀보리는 음력 5월 5일에 베어 거두고, 이튿날 쟁기질한다. 쟁기질은 자기가 한나절 걸려 하는데, 쟁기 말고도 삽 1개와 쇠스랑 1개를 쓴다. 쟁기질한 뒤 써린다. 쟁기질 방법 : 두그루짓기를 하는 땅일 경우에는 .. 2015. 11. 11. 논을 삶다 인터넷에서 동남아인지 인도인지 모르겠으나 논에서 써레질을 하는 모습의 사진을 보았다. 이러한 작업을 우리말로는 '삶다'라고 표현한다. 국어사전을 찾아보면 "논밭의 흙을 써레로 썰고 나래로 골라 노글노글하게 만들다"라고 나온다. 위의 과정은 정확히는 써레로 써린 다음 나래로 .. 2014. 7. 9. 무경운 농법의 생산성 실험 A tillage study was established in 1981 at the University of Nebraska Rogers Memorial Farm (RMF), 10 miles east of Lincoln, to gain experience with various tillage systems. These dryland research and demonstration plots are showing that long-term continuous no-till builds soil structure, usually has the highest yield, and is the most profitable. Located on a sloping, upland si.. 2013. 11. 19. 무경운 농법의 장단점 깨끗한 물과 공기처럼 비옥한 흙은 지속적인 생존을 보장한다. 그러나 우린 대량으로 파괴하고 있다. <흙: 문명이 앗아간 지구의 살갗>의 저자인 지질학자 데이비드 몽고메리에 따르면, 세계는 해마다 약 230억 톤의 좋은 흙을 잃어버리고 있다. 이 속도라면, 150년 안에 모두 사라질 것.. 2013. 9. 3. 무경운 농법의 장점 NRCS의 농학자 Ray Archuleta 씨가 경운과 무경운 흙을 가지고 생생하게 알려준다. 물빠짐이 달라, 물빠짐이. 2013. 7. 4. 미국의 황진지대 1900년대 초반, 미국의 농민들은 값싼 땅을 찾아서 남부의 평원으로 몰려들었다. 이 지역은 사실 강한 바람에 뜨거운 여름, 빈번한 가뭄으로 농사에 적합한 곳은 아니었다. 특히 1차대전 기간에 밀 가격이 폭등을 하면서 농민들의 이주를 부추겼다. 밀 가격의 폭등과 함께 토지 개발업자들.. 2013. 6. 3.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