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7

농민들의 수자원 전쟁 -시작하며, 목차 시작하며  ●농민들의 수자원 전쟁이 책은 에도 시대의 농민들이 물과 어떻게 관련되어 살아왔는지를 기술하려 합니다. 농민들에게 물은 음료수·생활용수임과 함께 농업용수로서도 빼놓을 수 없었습니다. 물의 확보는 사활 문제였습니다. 그렇지만 에도 시대에도 수자원은 유한했습니다. 그래서 물 부족인 해 등에는 똑같은 강에서 농업용수를 취수하는 마을들 사이에 물을 둘러싼 다툼이 일어났습니다. 예를 들면, 상류부의 마을이 많이 취수했기 때문에 하류부의 마을까지 물이 흘러오지 않게 되어 하류부의 마을이 상류부의 마을에 항의했다는 사례입니다. 이 책에서는 에도 시대에 살았던 우리 선조들이 물을 둘러싸고 한면으로는 대립하고 싸우며, 다른 한면으로는 협력해 왔던 발걸음을 구체적으로 기술합니다.현대에도 물을 둘러싼 대립은 사라.. 2025. 4. 6.
일본의 월별 명칭 1月の和風月名・異称睦月(むつき) : 睦月とは、仲睦まじい月を意味。新年を迎え、家族や親類知人が往来し、仲睦まじくすることに由来。そのほか、'生月(うむつき)'、稲の実をはじめて水に浸す月で'実月(むつき)'が転じたという説もある。 正月(しょうがつ)  : 一年の最初の月という意味で、とくに'松の内'をさす。室町時代中期の辞典『壒嚢鈔(あいのうしょう)』によると、「政治に専念した秦の始皇帝の降誕の月を政月(せいぐゎつ)と言っていたものが、正月と書かれるようになり、しゃうぐゎつと改められた」とある。「正」という字には、正しくする、改めるという意味がある。 初春月(はつはるづき), 新春(しんしゅん), 孟春(もうしゅん) : 春の初め、新しい春という意味。旧暦の1月は立春に近いこと、立春から二十四節気が始まることから、春は1年の始まりを意味している。孟春の'孟'という字には、物事の最.. 2024. 9. 1.
대담 유라시아의 풍토와 농업 유라시아 농경사 권1 대담 유라시아의 풍토와 농경 사사키 타카아키佐々木高明 사토 요우이치로佐藤洋一郞 풍토와 농경 사토; 오늘은 많은 사람이 와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사키 선생에게도 참석해 주셔서 매우 고맙습니다. 시간이 없기 때문에 빨리 시작하겠습니다. 우리의 연구 프로젝.. 2018. 5. 2.
와츠지 데츠로와 풍토 유라시아 농경사 권1 기고 4 와츠지 데츠로和辻哲郞와 풍토 -풍토론의 가능성을 열며 쿠라타 타카시鞍田崇 풍토는 이 시리즈 <유라시아 농경사> 전체를 꿰뚫는 핵심어의 하나이다. 광대한 유라시아 대륙과 그 주변의 각지에서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화가 생성되어 전개되었는데, 그.. 2018. 4. 16.
계절풍 농경권의 사람들과 식물 유라시아 농경사 권1 서장 계절풍 농경권의 사람들과 식물 들어가며 왜 지금 농경인가 인간은 왜, 농경이라 하는 '귀찮은' 일을 시작한 것일까? 그 전의 생업인 '수렵채집'과 어째서 결별하게 된 것일까? 이 질문에 대한답은, 사실 필요 없다. 여러 가지 가설은 있지만 모두 '넘고처지어' 결.. 2018. 3. 27.
소득에 따른 식품 선택의 기준은 제이슨 러스크라는 미국의 한 농업경제학자 블로그에서 재미난 글을 보았다.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에게 먹을거리, 즉 식품이란 어떠한 차이가 있느냐에 대한 내용이다.당연한 결과이겠지만, 고소득층에게 식품의 가격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반면 저소득층에게는 식품의 가격이 아주 .. 2017. 10.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