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모작3 북한에서 밀 농사가? "북한은 쌀이 주식이긴 하지만 추위가 심하고 산악 지대가 많아 밀 비중이 높다." 가서 보지 않아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과거 일제강점기 조선의 기록을 보면 북한 쪽에서 겨울철 밀 이모작이 가능한 지역이 그다지 많지 않았다. 서선 지방이나 강원도 쪽 일부를 제외하고는 너무 추워서 .. 2018. 12. 31. 앉은뱅이밀에 이삭이 팬 날 이삭이 패기 시작하는 토종 앉은뱅이밀. 현재 45~50cm 정도 자람(2013년 5월 8일 촬영). 개량종 금강밀. 현재 55~60cm 정도 자람(2013년 5월 7일 촬영). 세상에나! 이럴수가! 토종 앉은뱅이밀에서 벌써 이삭이 패기 시작했다. 그에 비해 개량종인 금강밀에서는 아직 아무 소식이 없음. 취재하면서 이.. 2013. 5. 8. ‘논 보릿짚 환원’ 뒷그루 밭작물 수량 15~30 % 증가 보릿짚 환원만이 아니라 볏짚을 환원하는 일도 건강한 흙을 만드는 데에는 무지하게 중요한 일이다. 그런데 이러한 연구결과에 상관없이 보릿짚은 보릿짚대로 볏짚은 볏짚대로 축산업의 조사료로 쓰기 위해서 다 빼내는 상황에서 이 무슨 공허한 연구란 말인가? 농민들이 바보라서 몰라.. 2012. 6. 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