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옥수수73 미국 옥수수 농업의 위대함(?) 미국의 옥수수는 그 산업적 중요성만큼 정말 엄청난 규모를 자랑한다. 한국의 그것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라 혀를 내두르게 만든다. 아래는 옥수수밭을 준비하려고 트랙터로 땅을 정비하는 작업이다. 저 트랙터 안에는 이러한 첨단 전자장비가 갖추어져 있다고 한다. 모니터를 통해 .. 2017. 5. 15. 미국의 옥수수 산업에 관하여 옥수수와 대두가 왜 산업작물인지 잘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그중 옥수수만 따로 볼까요. 1부쉘의 옥수수로 만들 수 있는 것들을 보세요. 얼마나 다종다양합니까. 미국 농업의 옥수수 생산성은 이렇게 비약적으로 향상되었답니다. 80년 사이 약 10배 가까이 높아졌네요. 재배면적은 예나 .. 2017. 5. 11. 기상이변과 농업 활동 오늘은 매우 재미난 소식을 하나 보았습니다. 기상이변과 곡물의 생산량에 관한 것입니다. 점점 기후 관측기술이 발달하고 자료가 쌓임에 따라, 엘니뇨와 라니냐가 발생하면 그것이 인간의 농업 생산, 특히 주요 곡물 생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예측할 수 있다는 겁니다. 아래 그래.. 2017. 3. 14. 아프리카로 건너간 멸강충 2016년 1월, 아메리카 대륙에 살던 조밤나방이 아프리카 대륙으로 건너간 것이 최초로 발견되었다. https://theconversation.com/why-its-hard-to-control-the-fall-armyworm-in-southern-africa-72890 이놈의 애벌레는 멸강충(나라를 망하게 하는 벌레)이라 불릴 정도로 작물에 해를 끼치는데, 특히 옥수수 같은 작물.. 2017. 2. 17. 2050년까지 세계의 식량생산을 2배로 늘리지 못할 것 같다는 연구결과 http://journals.plos.org/plosone/article?id=10.1371/journal.pone.0066428 Abstract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global crop production needs to double by 2050 to meet the projected demands from rising population, diet shifts, and increasing biofuels consumption. Boosting crop yields to meet these rising demands, rather than clearing more land for agriculture has been highligh.. 2016. 10. 20. 옥수수에 미친 김순권 박사 인터뷰 기사 ▲ ‘옥수수 박사’ 김순권 한동대 석좌교수가 지난달 12일 경북 포항의 학교 소유 농장에서 요즘 연구 중인 개량 품종 옥수수를 소개하고 있다. 그는 자신의 손길을 거쳐 간 옥수수가 지난 46년 동안 수십억 자루는 족히 될 것이라고 했다. 포항 이언탁기자 utl@seoul.co.kr 폭염이 한창이던 .. 2016. 9. 8. 이전 1 2 3 4 5 6 7 ··· 1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