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양10

토양의 미생물이 중요하다 2017년에 발표된 이런 논문도 잘 읽으면 도움이 많이 되겠다. <식물의 무기 양분에 대한 토양 미생물의 역할 -현행 지식과 앞으로의 방향> The Role of Soil Microorganisms in Plant Mineral Nutrition—Current Knowledge and Future Directions.pdf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610682/ 요약; 토양의 수많은 다양.. 2019. 7. 12.
소득에 따른 식품 선택의 기준은 제이슨 러스크라는 미국의 한 농업경제학자 블로그에서 재미난 글을 보았다.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에게 먹을거리, 즉 식품이란 어떠한 차이가 있느냐에 대한 내용이다.당연한 결과이겠지만, 고소득층에게 식품의 가격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반면 저소득층에게는 식품의 가격이 아주 .. 2017. 10. 11.
농업 경관의 다양성과 중소농의 중요성 예전에 갈무리해 놓은 이 논문을 다시 살펴보았다. http://www.thelancet.com/pdfs/journals/lanplh/PIIS2542-5196(17)30007-4.pdf Farming and the geography of nutrient production for human use.pdf 결론 부분을 한국어로 옮기면 다음과 같다."세계적으로 중소농(50헥타르 이하)이 이 논문에서 조사한 거의 모든 농상품과 영양의.. 2017. 5. 16.
소농은 왜 중요한가 오늘은 '소농'이 왜 중요한지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농업을 생산성이란 측면으로만 평가하면 놓치는 것들이 많아진다는 점 잊지 말도록 합시다. http://www.environmentreports.com/small-farms-stewards-global-nutrition/ http://umn.maps.arcgis.com/apps/Cascade/index.html?appid=a48c26df4577490ba8b92d410df2e1fd 2017. 5. 10.
감자 우리나라에는 1824년 북간도를 통해 처음 도입됐다. 감자는 대부분 삶거나 쪄서 먹고 있다. 국산 감자를 가공용으로 이용하는 것은 감자칩, 감자떡, 감자탕용 등에 불과하다. 전분, 프렌치프라이, 군감자용 등은 대부분 수입해서 먹고 있다. 감자의 원산지는 남아메리카 페루와 볼리비아 .. 2014. 6. 16.
골든라이스: 빛 좋은 개살구인가 절호의 기회인가 Golden Rice is rice that’s been genetically engineered to deliver enough beta carotene to improve the health of the malnourished poor who might eat it. (Deficiencies blind over 250,000 children a year.) It’s a humanitarian project — funded by the Rockefeller and Gates foundations, among others — that has been in development since the 1990s. Some people object t.. 2013. 10.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