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9 전통 채소를 기르던 사람들, 종자상의 근대사 -2장 2장 사는 채소, 파는 종자 -채소와 종자의 변천, 에도에서 근대로메이지 중후기 이후 도시의 발달을 배경으로 채소 생산의 상품화가 진행된다. 시장향 균질한 채소를 생산할 때 중요한 것은 종자의 높은 균일성이다. 채소 생산의 상품화가 진행됨에 따라 농가는 자가채종한 종자만으로는 대응할 수 없어, 더 좋은 종자를 구입하게 된다. 이 장에서는 몇 안 되는 통계 자료를 구사해 메이지 이후의 전국적인 채소 및 그 종자의 수급 동향을 파악함과 동시에, 근대의 그 특질을 조사한다. 1. 도시의 성장과 근대 채소 생산의 특질 1) 통계 수치로 본 채소 생산의 추이 근대의 채소 생산에 관한 전국적인 데이터 중에는 (주1 「物産表』는 明治 文献資料 刊行会 編 「明治前期産業発達史資料』 第一巻, 明治文献資料刊行会,.. 2025. 1. 27. 딸기 품종의 탄생 프랑스의 공병이자 수학자, 그리고 탐험가이자 스파이이기도 했던 아메데 프랑수아 프레지에Amedee-Francois Frezier. 그가 1712년 프랑스 정부의 지령을 받고 페루와 칠레의 해안선 지도를 작성하기 위해 남아메리카로 파병이 된다. 당시 그 지역은 스페인의 식민지였기에 대놓고 다닐 수가 없.. 2020. 2. 7. 중세의 동서 교역로 그 옛날부터 동과 서는 이렇게 연결되어 있었다. 이 길들을 따라 사람이 오가고, 그에 따라 새로운 식물과 동물이 오가고, 그를 기르는 방법들이 오가며, 그걸 거두어 먹는 법도 왕래했겠지. 그나저나 이런 걸 만들다니 대단하다. https://merchantmachine.co.uk/medieval-trade-routes/?fbclid=IwAR19eDIpPbX282ud.. 2019. 3. 27. 전쟁 직후 도쿄의 불법 라멘 노점상 전통 쇼유 라멘 일본이 2차대전에서 항복했을 때 폐허가 되었다. 미국의 폭격으로 200만 채의 건물이 파괴되거나 부수어지며 굶주린 일본인들은 식량을 점점 암시장에 의존하게 되었다. 이러한 거대한 도시의 암시장에서 라멘은 일본 요리의 중요한 부분으로 떠올랐다. Japan Quarterly에 의.. 2018. 8. 26. 한국 종자회사들의 변천사를 짚어보다 한국의 경우 조선시대까지는 채소 종자의 생산, 유통에 대한 기록을 전혀 찾아볼 수 없다. 이후 일제강점기에 약간의 기록이 나타나지만, 역시나 곡물 생산에 중심을 두고 있었기에 채소 종자는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채소보다는 곡물이 위주였고, 또 채소의 생산주체가 .. 2016. 9. 20. 옥수수는 어떻게 옥수수가 되었는가 작물화가 서서히 진행되면서 짧고 뭉툭한 형태에서 오늘날 우리가 좋아하는 긴 자루와 즙 많은 알갱이를 지닌 옥수수가 되었다. 미국은 옥수수의 나라이다. 그러나 4천 년 전에는 멕시코에서 미국 남서부로 들어와 퍼진 외래종이었다. 새로운 연구에서 이 작물이 여행한 경로를 조사하고.. 2015. 2. 26.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