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도5

짐승막이담 -3장 농민의 고투를 이야기하는 보루 제3장 농민의 고투를 이야기하는 보루-미에현三重県 키이나가시마紀伊長島의 멧돼지담 1. 평지가 적은 키이나가시마 지방미에현은 킨키 지방 동부에 위치하고, 산과 바다로 둘러싸인 지형이다. 이 장의 무대인 키이나가시마 지방은 미에현 남부에 위치한다. 2004년 쿠마노熊野 옛길이 '키이 산지의 영지와 참배길'로 세계 유산에 등록된 이래 세계 유산의 한 날개를 담당하는 지역으로, 쿠마노~오와세尾鷲~키이나가시마를 포함하는 지역은 '히가시키슈우東紀州'(그림1)란 명칭으로도 불렸다. 오늘날, 히가시키슈우의 고갯길을 많은 관광객이 걷게 되었다. 그림1 키이나가시마 지방을 포함하는 '히가시키슈우'의 범위(음영 부분) 키이나가시마 지방은 면적 110.57㎢, 산림이 87%를 차지하고 있으며 농지는 2.4%에 지나지 않.. 2025. 4. 27.
농민들의 수자원 전쟁 -4장 마을들은 '강'을 어떻게 활용했는가? 4장 마을들은 '강'을 어떻게 활용했는가?  ●용수에 의해 마을이 하나로 묶인다여기까지는 주로 용수 조합에 의한 물 이용, 곧 물을 둘러싼 마을끼리의 관계를 중심으로 기술했습니다. 다음으로, 개개의 마을 내부에서 어떻게 물을 이용했는지에 대한 이야기로 넘어가겠습니다. 에도 시대에 물이나 산야 등의 자연자원은 이미 무궁무진하게 있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새로운 경작지의 개발과 함께 자원의 희소화가 현실화되고 있었습니다. 경작지는 산야를 개척하여 조성되기 때문에, 경작지가 늘어나면 그 몫의 산야가 감소합니다. 또한 경작지가 늘어나면 그만큼 필요한 용수량도 증가하기에, 물 부족이 되기 쉬워집니다. 그러한 가운데 마을은 자연자원을 유지하고, 영속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습니다. 마을은 물.. 2025. 4. 12.
전통 채소를 기르던 사람들, 종자상의 근대사 -2장 2장 사는 채소, 파는 종자   -채소와 종자의 변천, 에도에서 근대로메이지 중후기 이후 도시의 발달을 배경으로 채소 생산의 상품화가 진행된다. 시장향 균질한 채소를 생산할 때 중요한 것은 종자의 높은 균일성이다. 채소 생산의 상품화가 진행됨에 따라 농가는 자가채종한 종자만으로는 대응할 수 없어, 더 좋은 종자를 구입하게 된다. 이 장에서는 몇 안 되는 통계 자료를 구사해 메이지 이후의 전국적인 채소 및 그 종자의 수급 동향을 파악함과 동시에, 근대의 그 특질을 조사한다.    1. 도시의 성장과 근대 채소 생산의 특질  1) 통계 수치로 본 채소 생산의 추이 근대의 채소 생산에 관한 전국적인 데이터 중에는 (주1 「物産表』는 明治 文献資料 刊行会 編 「明治前期産業発達史資料』 第一巻, 明治文献資料刊行会,.. 2025. 1. 27.
식탁의 일본사 -5장 에도의 식탁 사정 1. 공동주택 주민의 식생활은 어떠했을까?일본인 누구나 아침밥, 점심밥, 저녁밥으로 하루 3번 식사를 하게 된 것은 에도 시대부터이다. 그때까지 나라 시대부터 쭉 아침밥과 저녁밥 두 끼로 지냈던 것은 식량이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이라 생각해도 좋다. 평화가 오래 지속된 에도 시대에는 농업, 어업이 크게 발전해 육해의 교통망이 전국 규모로 정비되었기에, 각지의 산물이 에도와 오사카, 교토 등의 도시에 모여 상공업이 뚜렷하게 발달해 부유한 상공업자가 탄생했다. 일반 민중의 삶도 고대, 중세에 비하면 현격히 풍요로워져 먹는 데 큰 어려움을 겪지 않게 되었다. 그동안 변변치 못한 식사로 견뎠던 장인, 소상인, 그리고 농민에게도 먹는 일을 즐기는 여유가 생겼다. 이것은 오늘날에는 당연한 일이겠지만, 공복을 채울 만.. 2024. 7. 8.
本山末寺와 寺請制度 기독교 세력을 억누르기 위해 마련한 제도 일본에서 불교가 장례와 선조 공양을 일반적으로 하는 요인으로 에도 막부의 사청제도가 있다. 서민이 특정 사원에 소속되는 조건으로 기독교가 아닌 것을 나타내는 사청증문을 발행한 것. 사청증문이란 막부가 의무화한 ID로, 이 제도는 현재로 말하면 호적 관리이고, 막부의 기독교 탄압정책의 일환이었다.사청제도 도입은 1635년부터 기독교도의 무장봉기 시마바라島原의 난이 종결되는 1638년까지 걸쳐 행해졌다.   노부나가, 히데요시의 고생을 보고 불교의 유효이용을 강구했다 오다 노부나가의 시대는 기독교의 포교를 촉진하면서 히에이산과 혼간지의 불교 세력을 무력으로 억압했다. 그 뒤 토요토미 히데요시의 시대가 되면 사원의 토지를 막부가 몰수, 다시 기증하는 방법으로 불교를 제.. 2024. 4.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