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25 유전자조작 식품: 대형 사업자에겐 좋고, 나머지에겐 나쁘다 Thirty years ago, scientists figured out how to directly modify the genes in our food crops. No more of that inefficient and slow breeding! Farmers would grab plant genes by the horns nucleotides and bend them to their will! Now, the preeminent science journal Nature has devoted an entire issue to the question (to paraphrase that legendary IBM ad), where are the magic seeds? W.. 2013. 5. 14. 양극화 사회와 먹을거리 정의 세계 최고의 선진국이라는 미국에서는 인구의 약 15%가 푸드스탬프를 지원받는다고 한다. 이는 분명 1:99의 사회가 낳은 결과이겠지. 한국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로컬푸드니 유기농이니 하는 먹을거리의 정의를 위해서는 경제민주화든 뭐든 소득의 재분배가 필수적이겠다. http://blogs.wsj.. 2013. 4. 7. 1917년 미국 식품청의 홍보물 1917년 미국 식품청의 홍보물. Fred G. Cooper라는 사람이 만들었단다. 어느새 무려 100년 전의 이야기가 되었다. 그런데 재미난 점은, 이때에도 역시 밀과 고기를 덜 먹고, 로컬푸드를 구매하며, 음식물을 남기지 말라고 권장했다는 사실. 그러나 100년 동안 이것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여전.. 2013. 4. 6. 정크푸드에 관한 놀라운 사실 Riffing on his new book Salt Sugar Fat: How the Food Industry Hooked Us, ace New York Times investigative reporter Michael Moss is suddenly everywhere—he's out with ablockbuster article in the Times Magazine and just appeared on Fresh Air. I haven't had a chance to read the book yet, but I've skimmed it, and it looks excellent. Here are nine quick takeaways: 1. The Cheet.. 2013. 2. 28. 식품 첨가물의 종류 ADDITI_풀이__212_P.doc 어마어마하고 방대한 양의 자료. 놀라지 마시길. 누굴까? 이런 자료를 만드신 분은... 2013. 2. 19. 저주받은 매장: 대형 식품이 당신의 음식 선택권을 지배한다 거대한 다국적 기업이 유기농 상품의 대부분을 소유하고 있다는 사실은 별로 놀랍지 않다. 대형 식품의 촉수가 멀리 뻗쳐 있다: 단 4개의 기업이 소고기 시장의 80%를 통제하고, 똑같은 모회사의 보호를 받는 기업들이 매장의 과자 시장을 두고 경쟁하고 있다. Wenonah Hauter 씨. 식품산업에 .. 2013. 1. 29.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