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25 유전자조작(GMO) 식품 문제 유전자조작식품문제.hwp 유전자조작식품(이하 GMO)에 대한 논란은 그 역사가 길지 않다. 유전자조작을 한 제품이 처음 등장한지 10년 정도 밖에 되지 않았다. 국내에서도 GMO 문제에 대한 인식은 GMO가 수입되기 시작한 90년대 후반부터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그로부터 약 10여년의 시간이 흐.. 2013. 7. 23. 먹을거리와 농업의 월마트화 한국과는 조금 양상이 다르지만, 대형마트가 특히 식품과 관련한 사업을 서서히 독점해 나아가는 건 미국이나 한국이나 크게 다르지 않다. 대형마트가 로컬푸드로 신선식품의 물가를 잡는다든지, 대형마트가 휴업을 하면 농민들이 죽어난다든지, 대형마트들이 자체적으로 유통센터를 건.. 2013. 7. 22. 먹을거리를 다시 생각하자 “우린 2050년까지 90억의 사람들을 먹여살려야 한다”는 말은 식량산업의 대표들이 생산과 지속가능성의 궁극적 목표로 드는 일반적인 후렴이다. 유감스럽게도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현행 방식은 경제적, 생태적, 사회적 측면에서 지속가능하지 않다. 오늘날의 투자된 돈은 소비의 증.. 2013. 6. 26. 대형 농업의 모든 것 다음에 나오는 기업들은 집에서 날마다 보거나 들은 적 있는 기업들일 것이다. 세계에는 5000만에서 1억 개의 농장 이 있다(축구장 3개 정도의 크기보다 작은 농장을 제외하면 말이다). 그런데 그러한 농장에서 생산하는 작물의 절반은 겨우 십여 개의 기업이 제공하는 종자와 비료, 농약에.. 2013. 6. 17. 누가 미국의 유기농 상표를 소유하고 있는가? 미국인은 평균적으로 슈퍼마켓에서 38,718개 이상의 제품을 구입한다. 꽤 선택지가 넓은 것 같지 아니한가? 실제로는 요구르트와 시리얼, 잼, 과자 등의 대부분을 극소수의 기업이 소유하고 있다. 심지어 지역의 슈퍼마켓이나 자연식품 상점의 유기농 상표 대부분도 더 이상 독립적이지 않.. 2013. 6. 14. 코네티컷 주, 유전자조작 식품 표시제 승인 Connecticut on Monday became the first state to pass a bill that would require food manufacturers to label products that contain genetically modified ingredients — but only after other conditions are met. Gov. Dannel P. Malloy has said he would sign the bill into law, after reaching an agreement with the legislature to include a provision that the law would not take effe.. 2013. 6. 5.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