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식량안보33

식량안보에 미치는 생물연료의 영향 로마의 식량안보와 영양에 대한 전문가들의 고위급 패널(HLPE)에서 발표한 새로운 보고서에서는 식량가격의 상승 원인으로 생물연료가 관련되어 있다고 한다. 2013년 6월의 그 보고서의 제목은 “생물연료와 식량안보(Biofuels and food security)”이다. 이 종합적인 문서는 흥미로운 그림이 많이.. 2013. 7. 1.
농산물의 자유무역을 강화하자는 카길의 주장 기아를 해결하고 식량안보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자유무역을 통해 농산물 교역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카길의 주장... 이야~ 카길 짱이다! 2013. 5. 18.
2050년이면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수입산 먹을거리에 의존할 것이다 케냐에서 날아온 동부. 사진: Wendy Stone/Corbis 스페인산 토마토, 이탈리아산 올리브유, 칠레산 자두, 알래스카산 연어, 케냐산 동부... 당신의 장바구니에는 이런 재료가 얼마나 자주 담기는가? 영국에서 사람들 대부분의 쇼핑카트에는 수입산 식품이 상당 부분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 2013. 5. 8.
세계의 식량안보 http://webcast.gigtv.com.au/Mediasite/Play/162eb741ac7844aab5f061aa623cc9171d?catalog=987c4484-2bf1-4d12-9d1a-2a6b4446904d 2013. 4. 4.
농사가 씨앗이라면 음식은 꽃이다 누구나 그렇겠지만, 사람은 먼저 꽃에 눈과 맘을 빼앗기기가 쉽다. 그렇게 꽃을 바라보다가 어떤 사람은 꽃에 대해 더 알고 싶다는 궁금증이 일어나게 된다. 그렇게 공부를 시작하다 보면 그 뿌리가 되는 씨앗에까지 가서 닿는다. 물론 그 반대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 2013. 3. 4.
아프리카는 필요한 식량을 생산할 수 있다 The number of people who go hungry in Africa’s poorest countries is growing despite advances in food production, say Oxfam researchers who urge European donors and African governments to invest more in small farms and give rural people a bigger stake in decision-making. A new report by the global anti-poverty group says more than 230 million people – or one-in-four Afr.. 2013. 1.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