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16 일본, 소 코잡이 長野県 會地村(현재 阿智村)昭和 28年(1953) 5月촬영 熊谷兀一 2025. 4. 2. 쇠똥구리여 돌아오라 한국에서는 쇠똥구리들이 멸종되었다고 들었습니다. 소들이 논과 밭, 외양간에서 축사로 내몰리고, 산과 들에는 각종 화학물질이 살포되면서 그렇게 되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 한국의 들판에서 쇠똥구리를 다시 볼 수 있는 날이 올까요? 2020. 10. 4. 벨기에 블루라는 소 품종 인간의 육종이 낳은 울끈불끈 근육질의 소 벨기에 블루Belgian Blue. 유전자변형 같은 기술을 쓴 게 아니라 전통적인 교배육종 과정에서 나타난 자연적인 돌연변이라고 한다. 그런데 새끼도 일반적인 소에 비해 크기 때문에 제왕절개를 하고 그런다는데... 과연 송아지 때부터 울끈불끈한 기.. 2019. 12. 31. 트랙터에 밀려난 소의 가치를 재발견하다 무슨 맥락인지는 모르겠으나, 이해진 씨가 트랙터-농업 노동력의 관계를 예로 들어 기업에게 과도한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는 건 옳지 않다고 주장하는데 그게 적절한 예시가 아닌 것 같다. https://news.v.daum.net/v/20190618212400002 농업 노동력은 트랙터와의 경쟁에서 밀려 일자리를 잃은 게 아니.. 2019. 6. 19. 고대 수메르의 쟁기질 고대 수메르인들이 제작했다는 청동상이다. 먼저 소를 이용했다는 게 눈에 들어온다. 그리고 쟁기의 형태가 매우 흥미롭다. 멍에도 없이 소에게 짊어지게 하고, 또 성에와 쟁기술의 각도가 직각에 가깝다. 그것은 즉, 이곳의 흙이 매우 부슬부슬한 상태였는가 추측하게 만든다. 너무 재밌.. 2018. 6. 21. 2010년의 구제역 사태로 무엇을 배웠는가 2010년 말, 전국적으로 구제역이 창궐하면서 예방적 살처분이라는 명목으로 무조건적으로 소와 돼지들을 생매장해 버리는 사태가 발생했다. 당시의 참상은 인간이 아닌 가축을 대상으로 한 것이었지만 너무나 끔찍했다. 지금 다시 떠올려도 소와 돼지들의 비명이 귀에 들릴 정도이다. 그 .. 2016. 5. 4.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