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아 깜페시나11 행성의 생태적 자산인 소농 http://www.foodfirst.org/en/node/2115 행성의 생태적 자산인 소농: 우리가 남반구 소농의 새로운 활력을 지원해야 하는 다섯 가지 주요한 이유 by Miguel A. Altieri: Sociedad Cientifica LatinoAmericana de Agroecologia(SOCLA) 대표 비아 깜페시나Via Campesina는 농민은 그들 자신의 공동체와 국가를 위해 식량을 생산할 토지가 필요하.. 2011. 5. 31. 생물다양성을 위한 싸움 : 몬산토와 농부의 충돌 유전자조작은 더 많고 좋은 작물로 이끌 것인가? 또는 우리의 식량 체계의 기반을 파괴할 것인가? 프랑스 농민과 활동가 들은 농산업 기업 몬산토가 개발한 유전자조작 유 채씨를 심은 밭에서 그들이 "불법"이라 부르는 것을 거둔다. Pratta/Reuters 2주 전 몬산토는 최신 유전자조작 작물을 시장에 낼 수 .. 2011. 4. 1. 산업의 식량체계를 파묻어라! 소농은 세계를 먹일 수 있다! 4월 17일: 세계 소농 투쟁의 날 지배적인 산업 방식의 농업은 실패했다. 2015년까지 기아를 줄인다는 '새천년 개발 목표'에 반영된 1996년에 열린 세계식량회의의 약속은 이를 것이다. 오늘날 기아와 식량 불안은 증가하고 있다. 약 10억 명이 굶주리고 있고, 다른 10억은 중요한 비타민과 미네랄의 부족하.. 2011. 2. 27. 멕시코는 토지로 돌아간다 http://www.guardian.co.uk/commentisfree/2011/feb/14/mexico-back-to-the-land-peasant-farmers 영어 실력이 달리니 더듬더듬 이해한 바를 풀자면 이렇습니다. 영어 실력 좋으신 분의 첨삭을 바라며... '멕시코' 하면 먼저 경제난, 미국에 종속된 경제, 심각한 범죄율이 떠오릅니다. 그런 나라에서 땅으로 돌아가 소농이 되는 운.. 2011. 2. 16. 정치운동이 되어 가는 생태농업 안철환 선생님이 번역한 "생태도시 아바나의 탄생"의 저자 요시다 타로 선생의 블로그에 들어갔다가 재밌는 글을 보고 옮깁니다. ---------------------------------------------------- 정치운동이 되어 가는 생태농업 아시아·생태농업 국제회의 2010년 5월 18~22일. 스리랑카의 콜롬보에서 토지와 농업의 개혁운동(MON.. 2010. 7. 11.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