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생물19

흙, 흙, 흙. 흙을 살립시다.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이런 이야기를 했다고 합니다. "우린 발 아래 흙에 관해 아는 것보다 천체의 움직임에 관해 아는 게 더 많다." 그리고 현대의 토양학자들은 여전히 그러하다고 이야기한답니다. 흙을 알아야 농사가 사는데 말이죠. 흙은 인간을 기릅니다. 흙에서 자란 식물과 그에 의.. 2015. 10. 14.
건강한 흙을 원한다면 미생물이 핵심이다 Imagine if someone invented machines to suck carbon out of the atmosphere — machines that were absurdly cheap, autonomous, and solar powered, too. Wouldn’t that be great? But we already have these gadgets! They’re called plants. The problem is, plants die. So there’s one hurdle remaining: We have to figure out how to lock away the carbon in dead plants so that it d.. 2014. 7. 4.
미생물로 세계를 먹여살린다 미생물은 소농에게 더 공정한 선택권을 제공할 수 있다 기술 향상을 위해 실험실부터 현장까지 계속해서 미생물을 얻어야 한다 온두라스에서 멜론 수확량이 이미 미생물 덕을 보았다 선택적 육종이나 유전공학을 통해 비료와 농약의 수요를 감소시키면서 작물의 수확량을 엄청나게 늘.. 2013. 10. 10.
왜 돌려짓기가 좋은가 작물을 바꾸면 그에 따라 토양미생물도 바뀐다는 사실을 밝힘. 토양층 로마시대부터 활용된 돌려짓기는 식물의 영양을 개선하고, 병이 퍼지는 걸 억제한다. Nature의 ‘ISME 저널’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에서는 박테리아와 균류, 원생동물이 토양을 기름지게 하는 데 미치는 지대한 영향을 .. 2013. 7. 19.
중학생에게 들려주는 텃밭 이야기 요즘 하도 언론에서 떠들어서 도시농업이라는 말은 한 번쯤 들어보았을 겁니다. 도시농업은 무엇일까요? 네, 말 그대로 도시에서 농사짓자는 것이지요. 먼저 그 역사를 돌아볼까요. 내가 태어나기 위해서는 부모님이 있어야 하죠. 부모를 보면 그 자식이 보인다는 말이 있습니다. 마찬가.. 2013. 7. 11.
유기농업의 실천, 흙을 살려야 한다 흙이란? 물, 바람, 기온 등에 의한 풍화작용으로 바위가 부서져 가루가 된 것으로, 여기에 동식물에서 유래한 유기물이 합쳐져 탄생된다. 흙 1cm가 생성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은 대략 200년 정도이다. 여기에 인간의 노동력이 더해져 작물의 생육에 적합하도록 토양이 숙전화되며 농지가 만.. 2013. 6.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