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미생물20

토양의 미생물이 중요하다 2017년에 발표된 이런 논문도 잘 읽으면 도움이 많이 되겠다. <식물의 무기 양분에 대한 토양 미생물의 역할 -현행 지식과 앞으로의 방향> The Role of Soil Microorganisms in Plant Mineral Nutrition—Current Knowledge and Future Directions.pdf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610682/ 요약; 토양의 수많은 다양.. 2019. 7. 12.
공기 중의 질소를 고정시키는 옥수수 시에라 믹스 지역의 실험용 옥수수밭을 살펴보는 공동 저자 Javier Lopez 씨. 멕시코에서 공기 중의 질소를 고정하는 토종 옥수수가 발견되었답니다. 100년 이상 재배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토종 옥수수가 지닌 특성을 미국의 연구진이 규명했다네요. 다비성 작물로 알려진 옥수수에게 이런 .. 2018. 8. 31.
좋은 거름이란 무엇인가? 석종욱 선생님은 <땅심 살리는 퇴비 만들기>만이 아니라 강연에서도 늘 섬유질을 강조하신다. 그래서 리그닌이라는 목질이 풍부한 재료로 퇴비를 만들면 좋다고 하신다. 그래야 거름발이 오래 가고 좋다면서 말이다. 그러한 섬유질이 흙에 들어가면 무엇이 좋은가? 다름 아니라 여러 .. 2018. 1. 4.
비를 타고 확산되는 질병 식물의 질병은 어떻게 비나 물을 주는 일을 통해 전파되는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게재된 미국 MIT 기계공학과의 정영수 연구원과 컬런 뷰이 조교수의 연구 결과가 그에 대한 답을 제공할 수 있다. 그들의 연구에 의하면, 아래의 사진처럼 빗방울이나 물방울이 다공성 표면(지.. 2017. 6. 28.
미국 농무부 토양학자의 인터뷰 매우 흥미로운 인터뷰가 있어서 우리말로 옮겼다. ---------- 건강한 토양 운동은 최근 뉴스에 실렸는데, 미국 농무부의 연구자 Rick Haney 씨는 그 주요 지지자 가운데 한 명이다. 정부기관과 농산업은 오랫동안 작물의 최대수확량이란 성배를 추구해 왔지만, Haney 씨는 그와는 좀 다른 이야기.. 2017. 6. 2.
유기농업의 병해충 관리 요약병해충 관리는 서로를 지원하는 일련의 활동으로 구성된다. 대부분의 관리법은 병해충이 작물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행해진다. 관리는기존 해충의 개체군과 병균의 밀도를 낮게 유지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다른 걸 통제하는 건 단기적이며 병해충.. 2017. 3.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