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3

농민들의 수자원 전쟁 -4장 마을들은 '강'을 어떻게 활용했는가? 4장 마을들은 '강'을 어떻게 활용했는가?  ●용수에 의해 마을이 하나로 묶인다여기까지는 주로 용수 조합에 의한 물 이용, 곧 물을 둘러싼 마을끼리의 관계를 중심으로 기술했습니다. 다음으로, 개개의 마을 내부에서 어떻게 물을 이용했는지에 대한 이야기로 넘어가겠습니다. 에도 시대에 물이나 산야 등의 자연자원은 이미 무궁무진하게 있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새로운 경작지의 개발과 함께 자원의 희소화가 현실화되고 있었습니다. 경작지는 산야를 개척하여 조성되기 때문에, 경작지가 늘어나면 그 몫의 산야가 감소합니다. 또한 경작지가 늘어나면 그만큼 필요한 용수량도 증가하기에, 물 부족이 되기 쉬워집니다. 그러한 가운데 마을은 자연자원을 유지하고, 영속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습니다. 마을은 물.. 2025. 4. 12.
농민들의 수자원 전쟁 -3장 용수 조합의 실태와 물을 둘러싼 다툼 3장 용수 조합의 실태와 물을 둘러싼 다툼  ●용수에 관한 여러 경비를 마을들은 어떻게 부담했을까?여기에서 또 이야기를 용수로 돌려보겠습니다. 용수 조합의 기본적 기능은 용수 시설의 유지·관리와 용수의 적절한 배분 두 가지였습니다.용수로의 유지·수복이나 용수 조합의 운영에 관한 여러 경비는 조합 마을들이 분담해 부담했습니다. 마을들의 부담액을 정할 때의 기준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었습니다. ①마을 할당......이건 마을의 크기나 관개 면적의 넓이에 관계 없이 조합 각 마을이 균등하게 비용을 부담하는 방식입니다. 마을 할당은 형식적으로는 평등한듯 보이고 실질적으로는 작은 마음에 더 무거운 부담이 되기에, 그점에서는 불평등한 방식입니다. 그러나 동등한 부담을 진다는 점은 반면에 동등한 권리를 주장할 수.. 2025. 4. 10.
농민들의 수자원 전쟁 -2장 용수로의 지혜와 서로 협력하는 마을들 将軍2장 용수로의 지혜와 서로 협력하는 마을들   ●일본 용수로의 특징지금까지 치수에 대해서 기술했는데, 앞에 기술했듯이 치수와 관개가 수레의 두 바퀴가 되어 무논 벼농사를 발전시켜 왔기에 다음은 관개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메이지 40년(1907) 전국 통계에 의하면, 관개용 수원 중에서는 하천이 65.3%를 차지하여 1위, 저수지가 20.9%로 2위였습니다. 다만, 지역적인 특징이 있어 하천 관개는 동일본에 많고, 사이타마현에서는 82.0%, 니이가타현에서는 74.6%, 이와테현에서는 73.6%를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한편, 저수지는 세토瀬戸 내해 연안의 시코쿠四国・츄우고쿠中国 지방이나 오사카부・나라현 등에 많고, 카가와현에서는 용수원의 67.3%, 나라현에서는 56.7%, 오사카부에서는 46.5%.. 2025. 4. 8.
농민들의 수자원 전쟁 -1장 논을 홍수로부터 지키는 지혜 1장 논을 홍수로부터 지키는 지혜  ●일본 무논의 특징일본 무논의 대부분은 벼농사의 시기에는 인공 관개 시설(용수로)를 이용해 물을 넣고, 벼농사가 끝나면 배수로에서 물을 빼서 뒷갈이로 보리 등을 농사지을 수 있습니다. 무논 벼농사와 밭농사가 긴밀히 연결되어 있는 바에 일본 농업의 특징이 있습니다. 이모작 지대에서는 무논 자체가 겨울철에는 밭으로 이용되었던 것입니다. 논은 밭이기도 했습니다. 일본 열도는 결코 광대하지 않지만, 기후와 지형이 변화무쌍하기 때문에, 다양한 농작물이 재배되어 왔습니다. 벼 이외의 밭작물의 다양성도 잊지 말아야 합니다. 또한 벼는 이어짓기가 가능합니다. 그러나 이는 당연한 것이 아니라, 관개와 배수의 조절과 비료의 투입이 있어서 비로소 가능해진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끊이지 않고.. 2025. 4. 7.
농생태학 -9장 토양의 물 농생태학: 지속가능한 먹을거리 체계의 생태학 9장 토양의 물 물은 끊임없이 식물의 몸체를 통해 흐르고 있다. 증산을 통해 기공을 떠나고 뿌리를 통하여 들어온다. 이러한 이유로, 식물은 토양에서 자신의 뿌리로 이용할 수 있는 일정량의 물이 있어야 한다. 적절한 토양 수분이 없으면, .. 2019. 2. 19.
가뭄 대응형 벼농사 요즘 동남아와 아프리카에서 핫한 벼농사 방법인 SRI 농법이 있습니다. 영어로는 "System of Rice Intensification"라 하여, 한국어로 옮기면 벼 강화 체계라고 하면 되겠죠?이 농법은 1983년 프랑스의 예수회 신부인 앙리 뭐시기라는 사람이 개발해 마다가스카르에서 시험하여 크게 성공을 거둔 방.. 2017. 6.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