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먹을거리32

농생태학 농민들은 어떻게 산업형 농업에 도전하고 있는가? 전 세계에서 혁신적인 농생태학 농민들이 점점 더 산업형 농법에 도전하고 있다. 지역적·과학적 지식을 결합시켜, 늘어나는 인구를 먹여살리고 기후변화와 물 부족, 시장 변동성에 대처하기 위해 탄력적 사고를 실천으로 옮긴다. 12년 전인 2006년, Haregu Gobezay 씨는 실업자였고, 6명의 자녀.. 2018. 8. 13.
신라의 왕족은 어떤 똥을 누었을까 경주에서 신라 왕실의 수세식 화장실 유구가 발견되었습니다. 저는 그 구조와 청결함보다 똥에 남아 있는 흔적들이 더 궁금하네요. 당시 신라의 왕족은 무얼 먹고 살고, 어떤 기생충과 질병이 있었는지 말이어요. http://news.joins.com/article/21974776 2017. 9. 27.
우리가 필요한 건 농민과 소비자와 환경을 지원하는 농장이다 지난 몇 년은 많은 미국의 농민과 축산인들에게 힘든 시기였다. 올해 순수 농가소득은 4년 연속 소득의 감소로 2013년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질 수 있어 일부 생산자들은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와 함께, 농촌과 도시의 미국인들은 농업과 관련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수질오염이 점점 더 .. 2017. 3. 10.
한국인은 대식가 한국과 일본의 1인당 연간 먹을거리 소비량을 비교한 자료를 보았다. 쌀; 67.4kg : 56.7kg 밀; 48kg : 41.4kg 설탕; 28.1kg : 16.7kg 소고기; 10kg : 6.9kg 돼지고기; 23.8kg : 14.8kg 가금류; 14.9kg : 13.3kg 유제품; 27kg : 32kg 해산물; 58.1kg : 53.7kg (출처: 과학동아 11월호) 이거 완전히 한국인이 대식가라고 할 수밖에 .. 2015. 11. 5.
미국의 다이어트가 실패한 이유 If you were to take a little bit of dairy, add a slightly larger serving of vegetables, fruits and proteins, and then pile on as many superfluous oils, fats, and grains as possible, you would have a reasonably accurate depiction of the modern American diet. Americans on average now eat nearly 2,600 calories a day, almost 500 more than they did forty years ago, according to the.. 2014. 7. 4.
소농이 세계 식량안보의 핵심이다 In the land of humongous farms, the critical importance of small farms for food security is a counterintuitive message. But if we look at what most of the largest farms are growing in the U.S. Midwest, or Argentina and Brazil, it is corn and soybeans to feed livestock and biofuel production. Neither contribute much to supplying food—and especially good nutrition—to.. 2013. 10.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