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If you were to take a little bit of dairy, add a slightly larger serving of vegetables, fruits and proteins, and then pile on as many superfluous oils, fats, and grains as possible, you would have a reasonably accurate depiction of the modern American diet.

Americans on average now eat nearly 2,600 calories a day, almost 500 more than they did forty years ago, according to the USDA, which uses food production data, along with spoilage and waste estimates, to approximate per capita consumption.

That increase alone should be enough to raise an eyebrow (or three hundred million), but what's most troubling isn't the increase in our caloric intake, so much as its make-up. Over 92% of the uptick in per capita caloric intake since 1970 is attributable to oils, fats, and grains. Thirty years ago, the combination was responsible for roughly 37% of our daily calories; today, it makes up closer to 47% of our diet.



What exactly we should glean from that reality isn't entirely clear. Oils, fats, and grains, aren't inherently bad. In fact, there's good reason to believe that many fats and oils are actually just the opposite. And grains, despite a growing narrative about their potential harms, come in all shapes and sizes—some are protein-rich, like quinoa, while others offer little, if any, nutritional value, such as enriched white flour.

But to call a calorie a calorie is misguided—especially if one is highly processed, or refined—and it's easy enough to extrapolate from the kind of calories we're consuming more of nowadays. It's likely of little coincidence, for instance, that the two food groups Americans are eating more and more of—added fats and oils, and flour and cereal products—are the same ones that are found in most processed and fast foods.

Bentley isn't blindly holding her finger to the wind. A 2013 study by USDA's Economic Research Service seems to confirm her suspicion. Fast food is a much more integral part of the American diet than it was in the 1970s. Between 1977 and 1978, fast food accounted for just over 3% of calories in the US diet; between 2005 and 2008, that share skyrocketed to over 13%."It's hard to pinpoint why exactly it's increased," Jeanine Bentley, the social science analyst responsible for the USDA's food availability database, said in an interview. "But it probably comes from an increase in processed and fast foods."



Americans are also spending almost three times the recommended amount on refined grains, and many times more than the recommended amount on frozen and refrigerated entrees, according to the same study.



The sum of all those calories, which appear to largely be the wrong kind of calories, is an ever-expanding American waistline. Americans aged 20 and older are now almost three times as likely to be obese as they were only 30 years ago—the increase is enough to afford the U.S. the unenviable distinction of being the most obese major country in the world.



That distinction is that its more than merely a health conundrum; it's a full-fledged economic problem, too. As of 2008, the annual medical costs alone of obesity amounted to almost $150 billion, according to the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ome, including food journalist Mark Bittman, believe the total annual costs of the epidemic in the US could now exceed $1 trillion.

728x90
728x90

In the land of humongous farms, the critical importance of small farms for food security is a counterintuitive message. But if we look at what most of the largest farms are growing in the U.S. Midwest, or Argentina and Brazil, it is corn and soybeans to feed livestock and biofuel production. Neither contribute much to supplying food—and especially good nutrition—to the billions who cannot afford meat. Meat is a welcome part of many diets, but besides being expensive, is also an inefficient means to produce protein.

Data from 15 Kenyan farmers over a period of 6 to 8 years, demonstrating that push-pull not only more than doubled yields, but provided consistency over time. From “Stories of Our Success: Positive outcomes from push-pull farming systems“, 2013

Mark Bittman, in a recent article, cites the Etc. Group, which notes that small peasant farms feed about 70 percent of of the global population.

Producing enough food is a necessary, but not nearly sufficient, condition for alleviating hunger. Even though we produce enough food now, 1 billion go hungry. India has more malnourished people than any other country, yet exports food.

Well of course, you may say, there are so many more small farms,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y feed more people than large farms do.

But small farms also tend to produce more per acre than large farms. There has long been debate about this among economists and development scholars. It has perplexed many of them—so much so they have given it a name, “the inverse relationship,” meaning that if graphed, productivity per unit of land goes down rather than up with increasing size. Skeptics have turned the data inside out trying to see if it really holds up.

But a recent paper that carefully looks at the issue using new methods has, once again, confirmed that the higher productivity of small farms does not seem to be an artifact of measurement bias, as has sometimes been suggested.

Recognizing the productivity of small farms has huge policy implications. As the authors note, the productivity of small farms suggests that policies should especially target support to them—the opposite of what we do in the U.S., with our subsidies of a few commodity crops like corn and soybeans that favor the largest farms (small farms should be supported anyway for a number of reasons, but higher productivity can be added to the list). Favoring small farms is also the opposite of what the corporate end of the food system does.

Of course, where small farms have been marginalized on very poor land, and have few if any resources, productivity can be very low. But give them decent land and half a chance and they outproduce large farms under similar circumstances.

Instead of huge land grabs by countries and companies that kick small farmers off their land, we need to get more good land into the hands of more small farms and make sure they have the resources and social support they need.

World Food Prize Comes off the Rails

This situation is yet another reason why the World Food Prize this year is going to the wrong people—developers of genetic engineering that has yet to make a meaningful positive difference, despite providing some small yield increases.

To understand why this year’s prize goes to Monsanto and Syngenta, we may need to look no further than the large money trail that leads from their doors to the WFP organization. Is it a coincidence that a Monsanto scientist is one of those honored with the prize, given the substantial financial support provided by that company (and others)?

Whatever one thinks about the potential of GE to improve food security or availability in the future, it has not done much so far when compared to either the need or the success of other farming methods and technologies.

For example, engineered Bt corn in South Africa, which is a food staple rather than livestock feed, has been reported to provide yield increases of about 17 to 32 percent in one study. That’s good as far as it goes. But it does not go very far. Given the extremely low yields that Bt is building on, these improvements are not very impressive. And they do not improve the general resilience of the crop to withstand the many other problems that can occur from one year to the next, such as other insect pests and disease, drought, floods, and so on.

Only systems approaches, based on agroecology, address the overall resilience of the farm.

Compare the results for Bt maize in South Africa to the push-pull method, based on sophisticated agroecology principles, designed to grow several crops that complement each other. This method often more than doubles yields (see figure) by controlling the same insect pest as Bt, as well as the worst weed of grains in Africa (striga). It also enriches soil and provides high quality livestock fodder. Women grow one of the complementary crops, desmodium, and make income from selling the seed. And all of this comes without the high costs of transgenic seeds and pesticides.

Adoption has been growing steadily, up about 7 fold since 2006, to about 70,000 farmers last year.

Ironically, one of the main developers of push-pull, Dr. Zeyaur Khan, has been considered for the World Food Prize, but was not deemed worthy.

Smarter Methods

Small farms traditionally have grown multiple crops adapted to local conditions (so-called landraces) as intercrops and in rotations (alternating crops by season).

Alternating crops has consistently been shown to improve the yield of each crop compared to growing them in monoculture or short rotations, such as growing corn, soybeans, or alternating corn and soybeans on over 150 million acres in the US. This has been demonstrated over and over again in developing and developed countries alike.

This is so well known that it is also given a name—the rotation effect. One recent reviewshows that crops in rotation typically produce 10 or 30 percent more than when the same crops are grown in monoculture or short rotations.

Monsanto’s products have done nothing to reverse the trends toward more corn and soy and more monoculture. So in a sense, they contribute to lower yields than could be attained if we used ecological principles to grow our crops. Another reason why this year’s WFP is a travesty.

The Real Food Prize

Although the WFP has relinquished its claim to relevance, the Food Sovereignty Prize has got it right, honoring the peasant farmers that are the real backbone of global food production. Groups like previous winner La Via Campesina, or this year’s winners, including the Tamil Nadu Women’s Collectivedeserve such recognition and support.

They are also the stewards of the critical genetic diversity found in the well-adapted crop varieties they developed and grow, and that we will all depend on to provide traits to improve crops everywhere.

For more on the World Food Prize, see my colleague Karen Stillerman’s blog post,Monsanto Scientist Pockets “World Food Prize”…But For What, Exactly?

Posted in: Food and Agriculture Tags: 



http://blog.ucsusa.org/small-farmers-not-monsanto-are-key-to-global-food-security-272#.UmBJWzzPMKg.twitter

728x90
728x90

'빌' 게이츠만이 아니라 '빌' 클린턴도 재단을 만들어 농업과 관련된 사업을 펼치고 있다는 사실...

그러고 보니 둘 다 '빌'이구나.


미국인들은 참 경제를 중요시하는 것 같다. 

합법적으로 경제적인 이득을 얻는 일이면 무엇이든 용서가 되는 것 같다고나 할까.

대통령 선거도 곧 경제 선거라고 할 정도이고...


아무튼 클린턴이 생각하는 바를 살펴보자. 






미국의 전직 대통령을 생각할 때 농업이 딱히 떠오르지는 않는다. 그러나 박애주의자는 우리 시대의 가장 큰 문제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농업을 바라본다 – 이른바 식량안보와 지구를 먹여살리는 일 말이다. 우린 클린턴과 그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MF: 식량과 농업에 관련된 어린시절 이야기를 해줄 수 있나요?


빌 클린턴: 난 우리 가족이 48만 평의 농장에서 소와 양, 염소를 사육하며 살던 몇 년의 기간을 포함하여 어린시절 농장에서 꽤 많은 시간을 보냈다. 그런데 식량과 농업에 관하여 마음에 드는 기억은, 나의 멋진 삼촌 Buddy와 그의 아내 Ollie와 보냈던 시간이다. 아칸소에 사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내가 태어난 무렵 도시로 이주했지만, 불황의 가혹한 교훈은 많은 사람들이 시골에 작은 텃밭을 유지하며 할 수 있는 한 먹을거리를 재배하도록 만들었다. 난 멋진 삼촌에게 가서 그의 농사를 돕는 걸 좋아했다. 그래서 어린 소년일 때 콩과 옥수수, 토마토도 따고, 큰 수박을 재배하는 모래땅에 물을 주기도 하고, 가축을 먹이고, 양과 박치기 놀이도 하곤 했다.


주말에는 버디와 올리의 부엌에서 햄과 옥수수빵, 완두콩, 콜라드, 고구마, 파이, 아이스티와 내가 만들기 좋아했던 수제 아이스크림과 함께 만찬을 즐겼다.


우리가 알고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처럼, 우린 돈이 많지 않아서 이러한 식사가 여흥의 주요한 부분이었다. 모두가 둘러앉아 몇 시간이고 이야기를 나누었고, 내가 만나본 사람들 중에 가장 멋지고 재밌는 나의 삼촌은 내가 눈물이 쏙 빠기도록 웃겨주곤 했다. 내가 이야기할 수 있기 전에, 나는 하나를 듣고 내가 들은 것을 이야기해야 했다.


MF: 세계 재단의 설립자로서 정부에서 당신의 역할은 무엇이고, 농사와 농업의 역할에 대하여 가르쳤는가?


빌 클린턴: 몇 번이고 나는 국가가 스스로 식량 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다른 부문에서 경제성장을 가속화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며, 수입의존도를 낮추고, 도시와 농촌 사이의 사회적 균형을 유지하는 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모든 국가는 가능한 한 자급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사람들의 문화와 땅을 경작할 권리를 보존하는 방식으로 그것을 할 수 있다.



CDI Anchor Farm 프로젝트

  • 소농이 수확량의 개선을 통해 소득을 증가시키고, 더 나은 가격으로 정규 시장에 접근하는 걸 돕기 위하여, CDI는 2008년 Anchor Farm 프로젝트를 만들었다. 이 프로젝트에서, 말라위에서 이웃한 수천의 소농과 함께 CDI가 운영하는 다섯 곳의 상업적 농장은 옥수수와 콩 농사에 사용할 양질의 투입재만이 아니라 교육과 시장 접근에 대해 제공하고 있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농민들은 개량 콩 종자를 얻고 첨단 재배법을 교육받으며, 국내에서 대량으로 콩을 구매하는 업자와 직접 상대할 수 있게 되었다. 콩 생산량의 증가가 이 프로젝트의 핵심 혜택으로서, 소농들이 말라위 농업 수출의 70%를 담당하는 담배농사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나 환금농사를 다각화할 수 있도록 했다. 


내가 배운 가장 중요한 교훈은 지성, 근면, 재능이 세계에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지만, 투자와 기회가 없다는 것이다. 나의 재단과 함께 일하는 곳에서, 대부분의 소농은 1200평 이하의 농지를 가지고 있다. 그 땅이 그들의 생존에 필수적이다. 하지만 그들의 기술과 땅에 대한 지식, 성공에 대한 의지에도 불구하고 그들 대다수는 수확량을 증가시키거나 작물을 다각화할 수 있는 기본적인 투입재조차 살 수 없는 형편이다. 그리고 시장으로 수확물을 옮길 수단도 없는 외진 지역에서 살기 때문에 누군가에게 그걸 부탁하려면 자신의 연간 수입의 절반까지 지불해야 한다. 


나의 경험은, 사람들에게 좋은 종자와 화학비료, 해충 방제와 저장기술 및 마케팅 능력을 제공하면 생산과 소득이 극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말라위에서 행한 우리의 Anchor Farm 프로젝트에서, 우린 이웃한 수천의 소농과 함께 대규모 농장을 운영해서 그들은 종자와 화학비료 비용에서 큰 이득을 볼 수 있었고, 우린 그들의 수확물을 시장으로 운송했다. 우리와 함께 일한 농민들은 평균적으로 연간소득이 5배나 증가하여 삶의 질을 엄청나게 향상시켰고, 어떤 사람은 처음으로 아이들을 학교에 보낼 수 있었다. 또한 Anchor Farm 프로젝트는 여성농민의 권한을 강화하고자 노력했다. 우리의 농장에서 여성들이 다양한 지도자의 위치에서 종사하고 있으며, 현재 2500명 이상의 농민 가운데 800명 이상이 여성이다. 우린 여성의 참여가 경제를 번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 입증되었기에 이 비율을 더 높이려고 노력하고 있다.


MF: 클린턴 Giustra Enterprise Partnership*은 라틴아메리카의 지역사회와 함께 하고, 클린턴 Development Initiative는 말라위와 르완다의 소농들과 함께 한다. 당신에게는 왜 해외의 농촌과 지역사회를 지원하는 것이 중요한가?


빌 클린턴: Anchor Farm 프로젝트에서 설명했듯이, 농촌의 농업과 지역사회의 역량강화에 대한 투자는 개별 농민만이 아니라 그들의 지역사회와 국가경제에 매우 큰 이익으로 돌아온다. 당신이 사람들에게 자신의 노력의 존엄성을 통해 성공할 수 있는 기회를 주면, 그것이 낙관주의를 일으키고 가능한 일에 대한 모든 사람의 이해를 확장시킨다. 그것이 국가가 대외원조에 의존하지 않고 미래의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과 능력을 쌓기 시작하는 길이다. 


또 다른 예를 들어보겠다. 콜롬비아의 카르타헤나는 최근 관광이 성행하고 있는데, 그곳의 호텔들은 상하기 쉬운 농산물을 지역에서 구입하기보다는 여전히 수입하고 있었다. 콜롬비아의 북대서양 해안을 따라 그 지역에는 숙련된 어부와 농부들이 있지만,  공급망의 간극이 도시의 호텔과 식당, 슈퍼마켓에 그들의 수확물이 전해지는 것을 가로막았다. 


 Carlos Slim 재단의 지원과 함께 Enterprise Partnership은 지역의 생산자와 함께 생산물의 질과 양을 개선하고, 그 지역의 성공을 공유하는 데 도움이 필요한 유통과 보관, 가공, 물류를 제공하기 위해서 직접적으로 일하고 있다. 지난 몇 년에 걸쳐 우리는 소농들의 소득에 약 350만 달러를 추가하여 그들의 삶이 매우 향상되었다. 나는 최근 그 계획의 일환으로 복원이 완료된 창고를 방문하여, 그것이 더 많은 사람들에게 경제성장의 혜택을 주리라 낙관했다. 


MF: 식량과 농업이 어떻게 에너지와 기후변화에 영향을 주고 있는가? 클린턴 재단에서 주도하는 이니셔티브와 프로젝트에서는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가? 


빌 클린턴: 기후변화는 이미 농업과 세계의 식량공급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온난해진 기온은 작물과 가축을 죽이고 있으며, 기후 패턴의 붕괴 —폭우나 가뭄— 는 한 해 농사를 망칠 수 있다. 나는 앞으로 더 극심하고 자주 일어날 가뭄이 특히 변화하는 상황에 적응할 능력이 부족한 개발도상국에서 큰 불행을 초래할 것으로 믿는다. 


좋은 소식은 지속가능한 농업이 기후변화를 뒤집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 재단은 아프리카에서 소농들이 땅에 나무를 심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양을 줄이도록 지역사회의 묘목장을 설립하는 걸 돕고 있다. 농민들은 나무를 심어 과일을 수확하거나 목재를 얻고, 국제시장에 탄소배출권을 팔아 추가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우리 재단은 녹지를 더 잘 관리하고 산림파괴의 영향을 막을 수 있도록 국가들이 탄소의 축적량을 보고하고 측정하는 일을 돕고 있다. 멕시코시티는 지구에서 가장 오염된 도시의 하나에서 지속가능성의 모델로 변신했는데, 나무를 늘리고 옥상정원과 기타 녹지 공간을 늘리는 창의적인 방법에 크게 도움을 받았다. 이를 더 큰 규모로 할 수 있다면, 이러한 발상은 기후변화와 맞서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MF: 세계 식량체계의 가장 큰 과제가 무엇이라고 생각하고, 앞으로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이라 보는가?


빌 클린턴: 식량 생산과 영양에 관련된 두 가지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첫번째는 현재 세계에 70억 명이 있고 2050년까지 90억 명이 될 것이라, 이들이 필요로 하는 모든 영양소를 구하여 모두를 먹여살릴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가난한 나라에서 태어났다고 해서 아이들이 굶어죽도록 놔두는 것은 도덕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 식량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우린 계속하여 소농이 그들의 생산성을 개선하도록 돕는 것만이 아니라, 기근이 일어나기 쉬운 국가들이 기본적인 기반을 구축하도록 돕고, 제대로 식량을 저장하고 수출하여 사람들을 먹여살려야 한다. 소농의 기존 연결망을 구축하는 것이 자급할 수는 없지만 식량을 구매할 돈을 제공하는 수출을 위한 대규모 기계화된 농업에 유리하게 설계된 농지에서 벗어나도록 하기에 훨씬 바람직하다. 목표는 소규모 농민이 포기하도록 만드는 대규모 이탈과 혼란 없이 그들의 정당한 수요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두번째 주요한 과제는 음식을 쉽게 구할 수 있는 곳에서는 너무 많은 사람들이 놀라운 속도로 당뇨병과 기타 피할 수 있는 질병을 일으키는 건강에 해로운 식사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만성질환은 미국에서 사망의 70%를 차지하고, 2형 당뇨병으로만 건강관리 비용이 해마다 1500억 달러가 추가로 들어간다. 또한 중동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당뇨병 비율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인도와 중국 같은 성장하는 경제국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농촌 지역을 떠나 도시로 향하면서 이러한 문제가 점점 불궈지고 있다. 


나는 미국에서 더 건강한 세대를 위한 협회(Alliance for a Healthier Generation)와 클린턴 건강문제 이니셔티브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했다. 우리의 생각은 개개인이 건강을 변화시키고 개인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을 개혁하는 데 도움이 되는 많은 사람들 —식량 생산자, 유통업자, 음료회사, 의료전문가, 지역사회 단체— 이 있다는 것이다. 우린 지금까지 학교에 납품하는 음료수의 칼로리 함량을 90% 감소시키도록 음료회사의 자발적 합의를 이끌어내는 등을 포함하여 몇 가지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었다. 나는 꾸준한 대화와 협력으로 세계의 식량체계를 다른 방향으로 바꿀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 



http://modernfarmer.com/2013/09/bill-clinton/

728x90
728x90

한국과는 조금 양상이 다르지만, 대형마트가 특히 식품과 관련한 사업을 서서히 독점해 나아가는 건 미국이나 한국이나 크게 다르지 않다. 대형마트가 로컬푸드로 신선식품의 물가를 잡는다든지, 대형마트가 휴업을 하면 농민들이 죽어난다든지, 대형마트들이 자체적으로 유통센터를 건립해 유통구조 축소에 노력하고 있다든지 하는 소식들이 모두 그러한 맥락에 있는 일 들일 것이다.

대형마트의 농산물 유통과 관련해서는 현재까지는 한겨레신문 유신재 기자의 기사가 가장 읽을 만하다

그만큼 이제 한국 사회에서 대형마트가 차지하는 위상은 엄청나게 커졌다. 생산자도, 소비자도 대형마트의 입김에 좌지우지될 만큼 말이다.

이러한 현상은 점점 가속화될 것이 뻔하다. 물론 그러한 와중에 틈새에서는 진짜 지역 먹을거리를 다루는 곳들이 하나둘 생겨나고 있으며, 농민들은 꾸러미 사업과 같은 직거래를 통해 공급망을 넓혀 가고 있다. 하지만 대형마트의 큰 걸음에 비하면 아주 미미한 정도일 뿐이다. 즉, 틈새시장 공략은 되어도 사회의 대안으로 나아가기에는 미미한 수준이다. 그래도 그러한 대안들이 꾸준히 조금씩이라도 널리 퍼지는 것이 사회의 건강성을 유지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아래의 기사는 미국의 월마트를 중심으로 미국의 식품시장과 농업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났는지 살펴보고 있다. 앞서 이야기한 한국의 상황과 맞물려 보면 의미가 있을 것이다.

---------


월마트는 사회에 대한 영향에 관계없이 비용을 낮추고 이윤을 높이는 기업 러쉬의 아이콘이 되었다.

그들은 낮은 가격으로 저렴하게 만든 상품 -비참한 조건에서 생산되기도 하는- 을 팔고, 노동자들에게 먹고살 만한 임금을 주지 않음으로써 간접비용을 낮춘다. 그것이 월마트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이윤을 내는 기업의 하나가 되고, 미국의 거의 모든 지역으로 확산될 수 있었던 사업전략이다.


현재 미국 식료품 시장의 약 25%는 미국에서 가장 큰 단일 식료품 유통업체인 월마트가 통제한다. 일부 지역 -대다수 농촌과 저소득 도시 지역을 포함- 에서는 25% 이상이기도 하다. 월마트의 저가 정책은 경쟁자들을 밀어내고지역 독점을 가능케 했기 때문이다. 월마트는 그 경쟁자(예, 농민장터)보다 훨씬 더 크기 때문에, 물건을 싸게 팔아 경쟁자를 밀어낼 수 있다. 

미국의 월마트 분포


월마트의 사업모델과 엄청난 규모는 세계의 농업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기업 관행의 요인이 되었다. 그들의 선택이 세계의 농업 시장에 파문을 일으킬 정도로 거대하다. 

월마트라는 기업의 결정은 생산자의 재배법과 다른 판매자의 상행위, 제품의 소비자 등 농업의 거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쳤다. 


먹을거리 판매자

먹을거리 판매의 월마트화는 더 비싸고 신선하며 가공되지 않은 먹을거리에 비해 값싸고 가공된 먹을거리의 판매를 촉진했다. 이외에도 저렴한 농산물에 대한 대량의 수요로 공업형 "대규모 단작" 농장이 횡행하도록 주도했다. 

먹을거리 판매자는 신선한 농산물보다 정크푸드와 고도로 가공되고 오래 지속되는 먹을거리를 다루는 것이 훨씬 쉽고 비용이 덜 든다. 농산물과 달리 가공식품은 잘 상하지 않고, 상점에서 관리하는 데에 최소한의 노동력만 필요하다. 사람들이 제품의 신선도를 확인하는 데에 시간을 덜 소비하고, 부패해서 버리는 일도 적다. 이러한 효과를 보려면, 그저 Store 24나 Tedeschi’s에 가서 신선한 농산물이 상하지 않는 가공식품에 비해 얼마나 상하는지 비교해 보면 된다. 

이러한 상황을 볼 때 건강한 먹을거리는 더 비싸게 팔릴 수밖에 없는데, 그것이 결국에는 소비자에게 더 저렴한 것이다. 미국에서 부채의 주요 요인은 건강 관리, 그리고 대부분 좋은 식단으로 해결할 수 있는 심각한 장기 의료 문제이다. 가공식품을 많이 먹는 사람들은 고칼로리 먹을거리로 건강 문제로 고통받을 위험이 많고, 건강한 먹을거리를 먹는 사람들보다 당뇨병, 심장 질환, 비만 관련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 이처럼 정크푸드는 더 싸지만, 나중에 건강과 의료 관련 비용을 더 지불할 수 있다. 

미국의 빈곤한 지역 대부분에는 “먹을거리 사막(food desert)”이 형성되어 있고, 사람들은 건강한 먹을거리를 파는 공급자를 만나기 힘들다. 먹을거리 사막은 빈곤이 신선한, 유기농의, 비가공식품 판매자를 쫓아낸 지역이다. 이곳에서 이용할 수 있는 먹을거리라고는 값싼, 가공된, 포장된, 건강하지 않은 먹을거리뿐이다.




월마트는 이러한 먹을거리 사막이 점포를 열기 좋은 장소(그들은 이미 약한 경쟁자들을 밀어낼 수 있음)일 만큼 거대하며, 이 기업은 벌써 기존의 먹을거리 사막으로 이동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뉴욕시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월마트가 먹을거리 사막을 잠식하면 지역의 식품업체 대부분이 파괴될 것이며(건강한 먹을거리를 파는 곳도 포함), 어떠한 긍정적 영향도 미치지 못할 것이다. 몇 년 안에 이곳에서 이용할 수 있는 "신선한" 농산물은 지역의 식료품 시장을 점령한 월마트를 통해서 올 것이다. 


먹을거리 공급

월마트가 건강하고 신선하며 깨끗한 농산물을 공급한다면, 먹을거리 사막을 잠식하고 점령하는 것은 순전히 경제적 문제가 될 것이다. 그러나 그렇지는 않다. 요즘 월마트는 간식거리뿐만 아니라 신선한 농산물에 대한 믿을 만한 공급자인 양 자체 상표를 만들고 있다. 그들에게는 유감스럽지만, 이 시도는 월마트의 "신선한" 농산물이 품질이 낮고 진짜 신선하지 않다는 것이 입증된 수많은 사례에 의해 손상되었다. 사실 월마트는 신선함과 GMO 표시제에 관한 흑역사가 있다. 

통신사 RT.com의 보도에 따르면, 월마트는 현재 경고 표시 없이 몬산토의 GMO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전국의 월마트 어느 곳에서도 현재 소비자에게 아무런 경고도 제공하지 않으며 몬산토의 GMO 옥수수를 판매하고 있다는 것이다. 

월마트가 지역에서 생산된, 유기농 먹을거리를 판매한다고 주장하지만, 몇 번의 물의가 이 주장을 의심스럽게 만들었다. 최근 중국에서 일어난 물의에서, 월마트는 유기농이 아닌데 유기농 상표를 붙여서 판매하다가 걸려서 문을 닫았다. 월마트의 "유기농" 먹을거리가 실제로 유기농인지 아닌지 상관없이, 월마트는 중국과 공업형 농장의 공급자들로부터 "유기농" 농산물의 대부분을 얻는다. 이는 소비자가 "유기농 먹을거리"를 월마트에서 사더라도 그것이 지역의 소규모 농장에서 오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먹을거리 생산자


지구에 사는 인구의 먹을거리에 대한 대규모 수요와 농업의 월마트화에 의한 가공식품의 확산은 특히 옥수수와 관련하여 공업형 대규모 단작식 농사가 증가하도록 이끌어 왔다. 소농은 월마트에서 팔리는 농산물의 양을 생산할 수 없어서, 월마트의 사업은 더 큰 공업형 농장을 불러왔다. 대규모 단작식 농사는 먹을거리를 생산하는 데 더 효율적이라고 주장할 수 있지만, 이는 증거에 의해 확증되지 않았다. 그러한 농장은 지속가능하지 않으며, 해충을 방제하고자 매우 강력한 농약을 활용하곤 한다. 

옥수수의 공업형 대규모 단작은 세계의 단옥수수 농업의 대부분이 가공식품에 쓰이는 고과당 옥수수시럽을 만드는 데 쓰이기에 이 상황의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거의 모든 가공식품이 어느 정도 고과당 옥수수시럽을 함유하고 있기에, 막대한 양의 옥수수를 재배해야 한다. 설상가상으로, 고과당 옥수수시럽에 들어가는 미국의 옥수수는 보통 몬산토의 "라운드업 레디" 옥수수 같은 GMO 옥수수이다. 


결론

전체적으로, 주요 식료품 공급원으로서 월마트의 확산과 미국 식품 공급의 월마트화는 매우 필연적인 현상이다. 일부는 이것이 빈곤층에게 더 값싼 먹을거리를 제공할 것이라 주장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먹을거리의 질을 떨어뜨리고 결국 이것이 심각한 건강 문제로 이어질 것이라 우려한다.

지금의 어려운 경제 시기가 더욱 많은 사람들이 저렴한 먹을거리 공급원으로서 월마트를 찾게 만들고 있다(또는 작은 상점이 문을 닫게 만들고 있음). 이 때문에 월마트의 사업 관행은 미국의 먹을거리 공급의 건전성에 매우 적합하다. 우리는 스스로에게 물어야 한다. 우리는 농업과 먹을거리를 값싸고 저질의 농산물을 공급하는 월마트의 사업모델에 부합하도록 만들길 바라는가?



http://www.globalresearch.ca/the-walmartization-of-agriculture/5336449

728x90
728x90




Dervaes(63) 씨는 10년 전 가족에게 건강한 먹을거리를 먹이기 위하여 텃밭 농사를 시작했다.


그는 로스엔젤레스 중심가에서 15분 거리에 있는 자신의 120평 크기 텃밭에서 1년에 2700kg 이상의 먹을거리를 생산한다. Dervaes 가족은 400종 이상의 식물을 재배하여 1950kg의 농산물과 달걀 900개, 오리알 1000개 및 11kg의 벌꿀에다 1년 내내 제철 과일까지 생산한다.  


120평에서 네 식구가 먹는 것의 90%를 얻고, 먹고 남는 것을 지역 식당 등에 친환경 농산물로 팔아서 1년에 2만 달러(2300만 원)를 번다고 한다. 

이러한 일이 대규모 단작과 연관된 비싸고 파괴적인 합성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먹을거리를 재배하는 데 사용되는 토양의 비옥도와 환경을 함께 개선하면서 이루어진다. 9시부터 5시까지 해고의 위험 없이 일하는 그가 1200평으로 면적을 넓히면 연간  20만 달러(2억3천만 원)를 벌 수도 있는 셈이다! 

Dervaes 씨의 활동은 다음을 참조하라. http://urbanhomestead.org 

도시와 도시근교농업은 땅의 면적에 상관없이 풍요롭게 생산할 수 있기에 매우 생산적일 수 있다. 로컬푸드가 흥하도록 하는 것이 세계의 기아를 해결하는 길이다. 누구나 할 수 있다.



728x90

'곳간 > 영상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스랜드  (0) 2013.07.08
무경운 농법의 장점  (0) 2013.07.04
Ug99에 맞서는 농학자들  (0) 2013.05.27
인도의 '필요를 위한 씨앗'  (0) 2013.05.27
접목 유격대  (0) 2013.05.19
728x90




“우린 2050년까지 90억의 사람들을 먹여살려야 한다”는 말은 식량산업의 대표들이 생산과 지속가능성의 궁극적 목표로 드는 일반적인 후렴이다. 유감스럽게도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현행 방식은 경제적, 생태적, 사회적 측면에서 지속가능하지 않다. 


오늘날의 투자된 돈은 소비의 증가가 경제성장의 핵심이라는 믿음에 기반한 놀라울 정도로 근시안적인 사업 모델로 가고 있다. 그러나 모두가 알고 있듯이 지구의 자연자원은 유한하며,  우리가 그걸 보충하는 속도보다 더 빨리 고갈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더 많은 소비”에서 “더 나은 소비” 모델로 전환해야 한다.  우리는 증가하는 인구를 위한 식량을 생산할 때 생태계에 탄력성과 재생성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미래를 대비한 전략이 필요하다. 


투자를 재검토하고 새로운 해결책을 개발함으로써, 2050년 이후로도 90억을 위한 충분한 식량뿐만 아니라 깨끗한 물과 비옥한 토양, 풍부한 생물다양성을 제공하는 지구 및 더 건강한 소비자와 강한 공동체를 보장할 것이다. 



농업의 진화


지난 몇 십 년 동안 농업 체계는 엄청나게 바뀌었다. 2차대전 이후 농업 부문은 처음으로 널리 사용된 농약의 하나인 DDT와 함께 화학혁명이 일어났다. 많은 농민들이 원치 않는 해충이나 풀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그것을 받아들였는데, 그 비용은 인간과 야생생물들이 부담했다. 1960년대 농약은 신경계와 간 손상, 유방암, 유산, 발달지연과 남성 불임 등으로 이어졌다.


미국에서는 DDT가 현재 금지되었지만, 다른 화학물질이 그와 유사한 우려가 있다.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몬산토의 라운드업 제초제의 활성성분인 글리포세이트는 선천적 결손증과 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유럽 농경제학 저널(European Journal of Agronomy)에 2009년 발표된 논문은 그 성분이 질병에 더 취약하게 하고 궁극적으로 수확량이 감소하도록 만드는, 식물의 방어 메커니즘을 손상시킨다는 것을 밝혔다.


미국의 농장 규모는 농지를 통합하고 대규모 단작을 행하도록 도운 1970년대 연방 정책 탓에 증가했다. 경제연구 서비스의 보고서에 따르면, 2007년 기준으로 12만 평 이상인 농장이 현재 미국 농지의 60% 이상이며, 미국의 모든 농산물 가치의 40% 이상을 차지한다. 농장 규모는 본질적인 문제가 아니지만, 농장을 관리하는 방법에 영향을 준다. 지속적인 독성 화학물질 사용은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비용을 부담시키고, 획일성은 체계에 취약점을 만든다. 


가장 최근의 농업 개발은 유전공학에 집중되어 있다.  유전자변형 작물(보통 GMO라고 함)이 상업적으로 재배된 지 20년 가까이 됐는데, 주로 두 가지 특성을 추가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풀을 죽이기 위해 치는 제초제에도 살아남도록 하는 제초제 저항성과 독성을 내장해 농민이 더 적은 살충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해충 저항성이 그것이다. 옥수수, 콩, 카놀라, 목화 같은 작물에 더 적은 화학물질을 사용하도록 설계되었지만, 2012년 유럽 환경과학Environmental Sciences에 발표된 1996~2011년 살충제 사용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두 가지 특성이 실제로는 미국에서 농약 사용이 18억1436만 톤 증가하도록 만들었다.


더 복잡한 문제는 “슈퍼잡초”가 진화하며 자연이 화학물질의 살포에 적응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들이다. 이 풀들은 화학물질 저항성이 있다. 현재 24종의 풀이 글리포세이트 에 저항성이 있다. 이는 농민들이 풀과 싸우기 위해서 더 많은 —또는 더 독한— 농약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역주; 이는 비단 유전자변형 작물의 재배지역에서만 나타나는 문제가 아니라, 산업화된 대규모 농경지에서 제초제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어디에서나 나타나는 문제임). 이를 통해 인간에게 위험하다고 알려진 위험요소가 생산되고, 흙과 물이 오염되어 결국 농민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우려하는 과학자연합이 수행한 연구에서는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변형 옥수수나 콩이 미국에서 고유 수확량 —현장에서 농사지을 때 발생하는— 을 증가시키지 못했다는 것을 밝혔다. 단 독성이 내장된 특성의 옥수수만 수확량이 1996~2009년까지 1년에 약 0.2~0.3% 정도 완만하게 증가했음이 나타났다. 전통적 품종의 수확량 증가와 비교하여 –옥수수 수확량은 지난 몇 십년 동안 매년 평균 1%씩 증가했음–  GMO 작물의 영향은 기껏해야 완만한 편이다.


이렇게 이야기해도 이것이 투자에 반향되지 않는다. 최신 성과에 바탕하여, 우리는 GMO라는 특별한 상자에서 벗어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에 투자해야 한다.  



더 나은 길을 향하여


증가하는 인구를 지속가능하게 먹여살리기 위하여, 식량 관계자들은 체계를 재고하고 더 지속가능한 미래에 대한 투자를 가속화해야 한다. 혁신은 이미 나와 있다. 그것을 이제 전 세계에 걸쳐 다듬고 퍼뜨려야 한다. 그리고 2050년까지 90억을 먹여살리기 위하여 이러한 혁신에 투자해야 할 기업은 하나가 아니다. 오히려 우리의 자원을 투자할 곳은 금융 부문, 식량 부문, 정부, 비영리단체 또는 단순히 먹는 사람인 우리 자신 등 모든 곳이다.  


개별 부문만 보고 문제를 이해할 수 없기에 큰 그림을 그리며 더 넓은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를 수행할 수 있다. 각 부분이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며 서로 영향을 주는지 이해해야 한다. 자연주의자 John Muir의 유명한 말처럼, “우리가 스스로 무엇을 선택하려고 할 때, 우린 우주의 모든 것이 얽혀 있음을 발견한다.”


아래에서는 이 복잡한 연결망의 모든 측면에서 식량체계에 관하여 어떻게 다르게 생각하기 시작할지 알아보자. 



다시 생각하기: 어떻게 농사지을까


농업은 우리 식량체계의 근본이기에 여기에서 시작하는 것은 중요하다.  우린 식량생산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활기찬 농촌사회를 만들고 건강한 생태계를 보호하는 혁신이 필요하다.


농생태학에 투자하자 — 많은 농민들이 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화학물질에 크게 의존하는 반면, 일부 농민들은 농생태학의 방법을 통하여 생산성과 생태계의 건강 사이의 균형을 이루는 방법을 찾고 있다. 농생태학은 자연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농경지를 관리하기 위한 과학적 방법이다.


Kenneth Miller 씨는 토양의 건강을 위해 덮개작물과 가축을 농생태학의 방법을 사용하는 노스다코타의 농민이다.  다른 이웃들과 달리 Miller 씨는 자신의 농지를 관리할 수 있는 구역으로 나누어, 가축을 풀어넣고 스스로 “덮개작물의 짬뽕”이라 부르는 것을 고안했다. 덮개작물의 짬뽕은 다양한데, 그 목적은 하나의 곡물을 생산한 뒤에 토양의 미생물과 물리적 기능을 회복시키고 다양성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여러 가지 식물의 종과 유형을 포함시키는 것이다. Miller 씨는 지속가능한 농지의 중요한 요소로 토양 유기물을 만들고 있다. 또한 그는 비용을 줄이면서 작물의 수확량을 높여, 그 결과 수익성이 좋아지고 있다. 


농화학물질을 신중하게 적용하자 — 농생태학을 실천하는 농민이라도 여전히 농화학물질의 사용을 원할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은 첫 번째 조치가 아니라 최후의 수단으로 적용해야 한다. 나는 땅속 10m까지 뿌리를 뻗으며 30년 동안 살면서 농지를 황폐하게 만들곤 하는 무시무시한 풀과 덩굴에 맞서고 있는 농민들을 알고 있다. 이러한 농민들 가운데 일부는 제초제를 사용하지만, 그 다음해에는 비화학적 방식으로 덩굴과 맞서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Mark Bittman 씨가 뉴욕타임즈의 2012년 기사에서 소개한 아이오와 주립대학의 Marsden 농장의 연구는 가축 관리를 통합시키는 것과 함께 옥수수와 콩, 귀리, 자주개자리를 포함시킨 4년 주기의 돌려짓기를 행한다. 이 방법은 옥수수와 콩, 또는 옥수수와 콩, 귀리만 돌려짓기하는 것보다 수확량이 더 높았다. 연구에서는 질소비료와 제초제 사용이 88% 이상 감소하고 토양의 독성이 200배 줄어든 한편, 수익은 예전과 똑같았다(역주; 여기를 참조). 다시 말하지만, 농생태학 원리를 실천한 또 다른 사례인 것이다.


오염물질에서 멀어지고 농민을 더 잘 지원하기 위하여, 농화학 기업들은 비독성이고 잔류하지 않는 제품의 혁신에 투자하도록 전환해야 한다. 또한 과도한 폐기물과 오염을 제거하는 생물에 기반한 해결책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그뿐만 아니라 우리는 토양에 무엇을 어떠한 비율로 넣어야 할지 정확하게 측정해야 한다. 현재 우리에겐 농약(활성, 비활성 성분)을 추적하고 토양에 얼마나 오래 잔류하는지에 대해 종합적이고 공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자료가 없다. 이를 만들어야만 한다.  더 중요한 것은 이러한 화학물질이 어떻게 장기간에 걸쳐 환경과 인간, 동물 등에 영향을 미치는지 독립적인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농부의 지식망을 개발하자 — 농민과 공개 연구를 통한 혁신과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농업의 전환은 지식망에 의해 지원받아야 한다.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오픈소스”의 공유 코드를 사용하여 비약적으로 혁신한 것처럼, 농민은 특정 환경과 지리 조건에서 어떠한 작물에 대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면 훨씬 빠른 속도로 혁신할 것이다. 


일부 진취적인 농민들은 이미 이 길로 가고 있다. 1999년 북부 평원의 지속가능한 농업협회(Northern Plains Sustainable Agriculture Society)에 가입된 농민단체가 농장 육종동호회(Farm Breeding Club)를 형성했다. 그들의 목표는 씨앗 저장 및 작물 육종을 위한 지식과 물량을 공유하는 것이었다. 농장 육종동호회는 농민들이 식물 육종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직접적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오늘날 감자와 귀리, 단옥수수를 포함하여 농민이 육종한 13가지의 작물을 보유하고 있다.



다시 생각하기: 어떻게 식량을 운송할까


농사 다음으로, 식량을 어떻게 밥상까지 이동시킬지 다시 생각해야 한다. 각 단계별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충분한 여지가 있다. 


더 지역화된 체계로 전환하자 — 전문가들은 굶주린 사람들을 먹여살리는 일은 생산의 문제가 아니라 분배의 문제라고 오랫동안 주장해 왔다.  2012년 5월의 보고서에서 유엔 식량농업기구는 농업 생산성이 2050년까지 60% 증가하더라도 식량을 이용하지 못하여 3억 명의 사람들이 여전히 굶주릴 것임을 밝혔다. 


지역화는 수출을 뺄 필요성이 없다. 어쨌든 대부분의 농업은 자연—가뭄, 우박, 장마 등— 에 반응하여, 생산 수확량이 계절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좀 더 지역적인 체계로 전환함으로써 농민들은 자신의 지역 시장에 의존해야 할 것이다. 세계의 농업을 지역화함으로써 지역사회는 자급하며 수입에 덜 의존할 수 있다. 지역은 생태적 차원에 기반하여 정의되어야 한다. 그것은 근처의 인구를 먹여살리기 위해 필요한 조건 및 물과 토지 자원 같은 생태적 조건을 고려한 지리적 영역이다.


쓰레기를 줄이자 FAO에 따르면, 해마다 세계에서 생산된 식량의 1/3이 농장과 밥상 사이의 어느 곳에선가 폐기된다. 이는 13억 메트릭톤의 식량이다. 미국에서 쓰레기의 비율은 40%이다. 전국 자원보호위원회(National Resources Defense Council)의  2012년 8월의 보고서에 따르면, 총 미국의 식량 손실이 15%만 줄어도 2500만 명 이상의 미국인이 해마다 먹고살 수 있다고 한다.


손실이 발생하는 곳을 날카롭게 바라보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첫 걸음을 뗄 수 있다. 부유한 국가들에서는 가정의 음식물쓰레기를 줄이고, 퇴비화에 대한 장려금을 지급하며, 수확 후 관리와 저장을 개선하고, 흠이 있는 과일과 채소 등의 못난이 농산물을 취급하는 시장을 만드는 등 소비자의 의식을 제고할 수 있다. 저소득 국가에서는 수확 기술의 개선과 저비용의 저장법, 저온저장시설 등이 상하는 식량을 줄일 수 있게 한다. 손실이 발생하는 곳이라면 어디든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힘써야 한다. 이와 같은 손실은 아무도 하지 않으려는 행동이겠지만 돈을 내버리는 것과 같다. 


노동자의 지위를 향상시키자 — 식량을 농장에서 소비자에게 어떻게 운송할지를 다시 생각하는 데에는 노동자의 활동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필요하다. Daniel Pink 씨는 자신의 책<Drive>에서 사람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것에 대한 40년 동안의 과학적 연구를 서술한다. 거기에서는 숙련도, 자율성, 목표라는 세 가지 요소를 강조한다. 기존의 보상과 보수가 여전히 역할을 하고 있지만, 이러한 무형의 요소들이 높은 성과와 혁신을 가져오는 열쇠이다. 그리고 혁신은 자신의 일이 최고라고 생각하는 현장의 노동자에게서 나온다. 


캘리포니아 우드랜드에 있는 Morning Star 기업은 미국에서 해마다 25~30%의 토마토를 가공하는 세계의 가장 큰 토마토 가공업체이다. 이곳은 아무도 직급이나 계급이 없고 노동자들이 협력을 통해 목표를 달성하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사업 모델을 만들었다. 그 기업의 한 사람이 말하기를, “아무도 당신의 상사가 아니라 모두가 당신의 상사이다.” 이 모델은 주체성, 전문성, 융통성, 성실성을 포함하여 많은 장점을 가져왔다. 



다시 생각하기: 어떻게 먹을까


식량체계를 바꾸는 것에 관한 이야기에서 소비자의 역할을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의 식습관이 쉽게 바뀌지는 않지만, 우리가 먹는 것과 땅이 연결되어 있다고 자각해야 한다. Wendell Berry 선생의 말을 인용하면, “먹는다는 것이 농사이다.”


고기는 덜 먹되 더 좋은 걸 먹자 — 미국인은 세계 인구의 4.5%를 차지하지만, 세계에서 생산되는 육류의 약 15%를 먹는다. 미국 농무부의 자료에 따르면, 이는 1인당 1년에 77kg에 해당한다(역주; 한국의 경우 1년에 1인당 44kg을 소비함). 이 동물의 대부분이 곡물을 소비하고, 그 결과 많은 농지가 이들을 먹여살리기 위해 활용된다. 사실 세계의 곡식 생산의 1/3이 동물의 사료가 된다. 


고기는 건강한 식단의 일부가 될 수 있지만, 너무 지나치면 고콜레스테롤과 심장병 같은 건강에 문제를 일으킨다. 그리고 동물이 환경을 오염시키는 방식으로 사육되면서 이 문제를 악화시킨다. 예를 들어 밀폐된 시설의 가축 분뇨는 물과 토양으로 흘러갈 수 있고, 심각한 농도의 온실가스를 방출한다.


그 대신 동물을 생산 체계에 도움이 되도록 사육할 수 있다. 그들은 효율적인 초식동물이며 작물 돌려짓기에 꼭 필요한 존재가 될 수 있다. 밀폐된 축사 대신 초지에 동물을 풀어놓아 그들의 숫자를 줄일 수 있고, 그들은 더 넓은 공간에서 자라며 항상제를 일상적으로 필요로 하지 않아도 되고, 더 많은 농지가 사람들을 먹여살리는 데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고기를 적게 먹는 간단한 선택을 통해 여러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먹을거리 교육을 하자 — 좋은 먹을거리를 먹는 것이 새로운 식습관을 개발하는 일의 하나이다. 우리는 그것이 어떻게 만들어진 것인지 알아야 한다. 먹을거리를 어떻게 기르는지 가르치고, 요리법을 알려주며, 미각을 훈련시킴으로써 식량체계를 확 바꿀 수가 있다. 한정된 자원을 가진 지역사회에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Food Corps이란 전국적인 단체는 아이들을 위한 먹을거리 교육을 시작하여 그것이 어디에서 온 것인지 알려주었다. 불과 몇 년 만에 이 단체는 2만9천 명 이상의 아이들에게서 변화를 끌어냈다.


식품기업은 마카로니와 치즈 같은 가공식품과 함께 찐 브로콜리 같은 자연 식품을 제공하거나 학교와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지는 먹을거리 교육을 지원함으로써 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결국, 무엇이 우리 후속세대의 건강에 더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더 나은 미래를 위하여


늘어나는 인구를 먹여살리기 위하여 식량과 관계된 집단은 더 지속가능한 식량체계에 대한 투자를 가속화해야 한다. 혁신은 이미 이용할 수 있으며, 지금은 이에 대해 투자하고 다듬어야 할 때이다. 체계의 변화 하나의 기업이나 정부, 개인으로부터 오지 않는다. 모두가 참여해야 한다.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는가? 물론이다. 이는 복잡한 해결책을 지닌 복잡한 문제이다. 몇 년 안에 이를 수 있는가? 힘들다. 하지만 2050년까지 90억 명을 먹여살리는 지속가능한 길을 찾기 위하여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을 일깨워야 한다. 이 지구상의 사람들과 우리가 의존하는 자연자원은 직선으로 나아갈 여유가 없다. 그 대신 우린 체계를 다시 생각해야 한다. 



http://ensia.com/voices/food-rethought/?viewAll=1


728x90
728x90


최근 미국의 시애틀에서 퍼지고 있다는 "먹을거리 숲(Food Forest)" 만들기 운동.

새로운 도시농업의 형태이다!

이전에는 텃밭을 만들거나 옥상을 녹화하는 것만 실천되었는데, 이제는 나무를, 특히 과일나무를 땅으로 뻗는 작물과 함께 심어 사람들이 함께 나누어 먹는 운동을 펼치자는 것이다. 


대략 아래의 그림과 같이 계획한다.


1. 먼저 키가 큰 과실나무나 견과류 나무를 심는다.

2. 다음으로 그보다 키가 작은 과실나무를 심는다.

3. 다음은 떨기나무 종류인 나무딸기나 까치밥나무을 심는다.

4. 컴프리와 근대, 허브 같은 초본을 심는다.  

5. 뿌리채소를 심는다.

6. 과일나무 사이의 드러난 흙 표면에는 덮개식물이나 딸기 같은 걸 심는다.

7. 나무를 타고 올라가는 덩굴식물을 심는다.


이것이 바로 "숲 텃밭"이라는 개념이다.





아래는 먹을거리 숲을 조성하자는 동영상.


Beacon Food Forest from InterChange Media on Vimeo.




더 많은 내용은 다음을 참조하시길... http://beaconfoodforest.weebly.com/

728x90
728x90

세계 최고의 선진국이라는 미국에서는 인구의 약 15%가 푸드스탬프를 지원받는다고 한다. 

이는 분명 1:99의 사회가 낳은 결과이겠지. 


한국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로컬푸드니 유기농이니 하는 먹을거리의 정의를 위해서는 경제민주화든 뭐든 소득의 재분배가 필수적이겠다.





728x90
728x90

"먹는 것이 바로 너이다"라는 문구가 있다.
에이, 설마 그러겠느냐고 반응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겠지만 과학적으로 입증이 되고 있다.

비록 꼬마선충을 대상으로 한 실험이긴 하지만, 

인간도 조금 더 시간이 걸리고, 조금 더 다양한 먹을거리를 먹어서 실험하기 어려워서 그렇지 마찬가지일 것이다.
꼬마선충이나 인간이나 똑같은 생명이기에...


그나저나 예쁜꼬마선충은 참 예쁘구나.


http://bit.ly/Z9HZLT

---------


연합뉴스) 건강에 해로운 음식을 아주 조금이라도 먹으면 유전자 발현에 큰 변화를 일으키며 이것이 신체 생리와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1일 보도했다.


미국 매사추세츠 의대(UMMS) 과학자들은 예쁜꼬마선충(C. elegans) 실험을 통해 먹이의 차이가 유전자 발현에 큰 차이를 일으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셀(Cell) 지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꼬마선충 실험에서 한 집단에는 자연의 먹이인 코마모나스균을, 다른 집단에는 실험실 표준 먹이인 E.콜라이균을 먹인 결과 전자의 경우 후자에 비해 발육이 빠르지만 후자보다 자손도 적고 수명도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들은 다른 먹이를 섭취한 두 집단에서 최소한 87가지의 유전자 발현 변화를 찾아냈다. 놀랍게도 이들 변화는 영양소 센서 경로인 TOR 및 인슐린 신호전달계와는 관계없이 성장·발육과 관련된 탈피(molting) 조절인자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섭식과 유전자 발현 및 생리 사이의 필수적인 관련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연구진은 "중요한 사실은 꼬마선충의 먹이로 영향받는 것과 같은 조절인자가 사람의 활동일주기를 좌우한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더욱 놀라운 사실은 한 집단에 주로 E.콜라이균을 먹이로 주면서 코마모나스균을 소량만 섞어 줬을 때도 유전자 발현과 생리에 극적인 변화가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는 특정 먹이가 `건강에 좋거나 나쁘거나' 둘 중 하나가 아니라 각기 다른 조건에서 각기 다른 생리적 효과를 내는데 특정량의 특정 먹이가 최상의 효과를 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진은 "대체로 건강에 이롭지 않은 음식이라도 건강에 좋은 음식을 조금만 섞어 먹으면 유전자 발현에 이로운 변화를 이끌어내 매우 큰 생리적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생물의 대사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체내 생리와 외부 환경의 신호에 빠른 속도로 반응을 일으키는 유전자 조절 네트워크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시사하는 것이다.

youngnim@yna.co.kr


728x90
728x90

http://www.ted.com/talks/lang/ko/pam_warhurst_how_we_can_eat_our_landscapes.html




728x90

'곳간 > 영상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의 식량안보  (0) 2013.04.04
스리랑카의 차 농사를 짓는 노부부  (0) 2013.04.04
아일랜드의 젊은 농부  (0) 2013.03.23
Food Fight -가공식품에서 아이들을 구하자  (0) 2013.03.17
똥, 땅을 살리다  (0) 2013.03.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