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라운드업13

GM 작물의 수확량이 정말 더 많은가? 생명공학 산업에 따르면, 유전자조작 작물 덕에 농민들이 "더 적은 투입재로 더 많은 수확량을 올리기에" 인류에게 혜택을 준다며 생명공학 산업단체(Biotechnology Industry Organization)의 홈페이지에 소개한다. 그러한 수사법에 고무된 유전자조작 종자의 거인 몬산토와 그 동료들은 두 가지 주.. 2013. 2. 14.
몬산토가 이길 수 없는 풀을 만나다 1996년 미국에서 유전자조작 작물이 도입되면서 농업 관련 생명공학기업들은 이제 제초제 사용이 줄어들 것이기에 이야말로 진정 친환경적인 기술이라고 자랑했다. 하지만 유전자조작 작물이 도입되고 16년이 지난 지금, 여기저기서 오히려 예전보다 제초제 사용이 늘어났다는 연구보고.. 2013. 1. 5.
라운드업은 모든 곳에 많은 사람들처럼 나도 전에는 RoundUp이 안전하다고 믿었다. 내가 생태학과를 졸업했던 1980년대로 돌아가면, 그걸 실험포장에서 풀을 제거하기 위한 "안전한" 제초제로 선택하곤 했다. 몬산토는 계속하여 그들의 주력 제품이 안전하다고 믿도록 만들려고 했지만, 자료는 점점 그 반대의 면.. 2012. 8. 21.
생명공학의 거인이 GMO 자유화에 자금을 대고 있다 이른바 "Big Six"라 하는 농화학기업 —몬산토Monsanto, 신젠타Syngenta, 다우Dow Agrosciences, 바스프BASF, 바이엘Bayer, 파이어니아(듀퐁)Pioneer (DuPont)— 은 멋지게 앉아 있다. 그들은 함께 세계 농약 시장의 약 70%를 장악하고, 근본적으로 전체 유전자조작 종자 시장을 좌지우지한다. 그들이 주.. 2012. 8. 7.
몬산토는 농업 개선에 실패했다 UCS는 우리의 새로운 광고운동을 공유하여 정확히 짚고 넘어가는 걸 돕는다 몬산토의 광고는 농산업의 거대한 업적에 대해 인상적으로 이야기한다: 늘어나는 인구의 부양. 자연자원의 보호. 생물다양성의 촉진. 멋지게 들리지만, 불행히도 함정이 있다: 이러한 주장은 과장되고, 오도되거.. 2012. 7. 4.
농민들이 라운드업 내성 풀에 대처하다 DYERSBURG, Tenn. — For 15 years, Eddie Anderson, a farmer, has been a strict adherent of no-till agricultur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technique that all but eliminates plowing to curb erosion and the harmful runoff of fertilizers and pesticides. Jason Hamlin, a certified crop adviser and agronomist, looks for weeds resistant to glyphosate in Dyersburg, Tenn. Multimed.. 2012. 4.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