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돌려짓기26

농장의 작물다양성에 대한 유전자변형 특성의 영향 농장의 작물다양성에 대한 유전자변형 특성의 영향 Effects of Genetically Engineered Traits on Crop Diversity on Farms 농장에서 작물 종의 다양성과 각 작물 품종의 다양성을 유지하는 일은 일반적으로 병해충에 대한 완충지와 해마다 환경의 변화로 인한 어느 한 작물이나 품종의 손실에 대한 안전판을.. 2016. 9. 26.
돌려짓기의 중요성 요즘 천조국의 농업에서는 돌려짓기의 중요성에 관한 논문이 발표되곤 한다. 그게 옥수수-호밀-콩 같은 작부체계로 돌려짓기를 하는 방식인데, 호밀이 이러저러한 역할을 많이 한다고 한다. 즉, 옥수수 농사지으며 남은 질소 성분을 붙들고 있기도 하고, 콩을 심기 전에 잡초를 억제하는 .. 2015. 9. 21.
전통 농법의 중요성 다음은 돌려짓기, 사이짓기, 섞어짓기 같은 전통농업에서 활용하던 농법이 왜 중요한지 설명하는 동영상이다. 다양한 작물을 돌려가며 어우러지게 재배함으로써 결국 토양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그것이 농사가 잘 되도록 이어진다는 것이 핵심이다. 돈에 미쳐서 한 가지 작물만 비료의 .. 2015. 1. 25.
왜 돌려짓기가 좋은가 작물을 바꾸면 그에 따라 토양미생물도 바뀐다는 사실을 밝힘. 토양층 로마시대부터 활용된 돌려짓기는 식물의 영양을 개선하고, 병이 퍼지는 걸 억제한다. Nature의 ‘ISME 저널’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에서는 박테리아와 균류, 원생동물이 토양을 기름지게 하는 데 미치는 지대한 영향을 .. 2013. 7. 19.
영역 다툼: 슈퍼 잡초가 득세하고 있다 유전자변형 작물, 일명 GMO가 도입되어 상업적으로 재배된 지 어느덧 17년 정도가 되었다. 처음 이 작물이 도입될 때 지지자들은 농약 사용량이 줄고, 그에 따라 환경이 좋아지며 농민들도 소득이 증가할 것이라고 찬양 일색이었다. 그런데 자연은 그렇게 만만치 않았다. 유전자변형 작물.. 2013. 7. 16.
작물들 사이의 궁합을 이용한 농법 자연에서는 봄부터 가을까지 여러 가지 풀과 나무가 서로 어울려 자란다. 벼과, 콩과, 십자화과, 국화과, 백합과, 미나리과와 같은 순서로 일 년에도 여러 가지로 변화한다. 시시때때로 병에 걸리기도 하고 충해를 입기도 하지만, 대대로 이어지며 저절로 자란다. 이렇듯 자연은 스스로 어.. 2013. 6.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