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Organic Farming Systems and Soil Health - Pat Carr from SC-NRCS & ESRI-SC Partnership on Vimeo.


728x90

'곳간 > 영상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경운 농법과 토양의 건강  (0) 2013.01.30
관행농업의 경운과 토양의 건강  (0) 2013.01.30
토양 관리의 중요성  (0) 2013.01.30
흙 이야기  (0) 2013.01.30
마블링 권하는 사회  (0) 2013.01.21
728x90

인도 북부 펀잡 지역에서는 5억 명이 해마다 쌀과 밀을 먹고 산다. 그곳에선 농지에 남은 볏짚에 불을 지르는 전통농업의 농법이 있다. 그를 통해 이산화탄소 등이 배출되는 문제를 생각할 수 있다. 세계의 농업이 온실가스 배출에 30% 정도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더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지 않을까? 그런데 어떻게? 아래 사진들을 보면서 그 대안을 고민해보자.




11월의 펀잡 지역, 농민들은 밀이나 채소의 씨앗을 심는다; 먼저, 농지를 정리하기 위해 불을 지른다. 이 사진은 동에서 서로 250km 이상 수천 곳에서 불을 지르고 있는 모습이다. 연기가 퍼져 위성의 카메라를 가리고 있다. 




펀잡의 Sangrur 근처에 사는 벼농사 농민이 자신의 수확물을 살펴본다. 이 지역에선 해마다 벼를 생산한 뒤 곧바로 밀 농사를 지어 약 5억 명이 먹고 산다.  펀잡 지역은 인도의 전체 농지 가운데 단지 약 1.6%를 차지할 뿐인데, 비옥한 흙과 발전된 농업 덕분에 인도에서 생산되는 밀의 약 1/5을 생산한다. 




농민은 벼를 수확하는 데 2주일 정도 걸리는데, 벼를 수확하고 밑둥이 한국보다 길게 남는다. 거기에 밀을 심는 것이다. 거기에 불을 질러 작물을 먹는 해충을 죽이고 볏짚이 거름으로 전환된다. 하지만 그때 발생하는 연기가 심혈관이나 호흡기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수확하고 남은 볏짚을 불태울 준비를 하는 농민. 해마다 펀잡 지역에선 약 100만 헥타르의 볏짚이 2주일에 걸쳐 불타오른다.




값싸고 효과적으로 농지를 정리하는 방법이지만 –1헥타르를 재로 만드는 데 10분이 안 걸림– 12메가 톤의 이산화탄소와 기타 온실가스가 발생한다.




연기에는 이산화탄소만이 아니라 농약잔류물에 의한 독성 화학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그것이 토양비옥도를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고 장기적으로 펀잡 지역의 벼-밀 돌려짓기 작부체계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고 있다. 




대안은 있다: 행복한 파종기(Happy Seeder)로 알려진 이 트랙터가 끄는 파종기는 벼 밑둥을 베어서 덮개로 만드는 동시에 밀을 심는다. 그러나 주 정부에서 보조금정책을 펴고 있지만 대부분의 농민들에게는 기계값이 너무 비싸다.




손으로 수확해 탈곡하는 것과 같은 저차원적 기술 대안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손으로 수확하면 볏짚을 최대한 길게 베어 농지에 밑둥을 거의 남기지 않기에 태울 필요도 없어진다. 그러나 탈곡한 뒤에 볏짚이 많이 남고, 그래서 몇몇 사업에서는 펀잡 지역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볏짚을 수거하여 바이오매스의 에너지원으로 전기를 생산하거나 가축의 먹이로 활용하고 있다.




볏짚을 활용할 별다른 대안이 없는 사람은 여전히 그걸 태워버린다.





뉴델리의 인디아 게이트가 볏짚을 태우는 연기와 매연과 안개로 뒤덮였다.




http://www.guardian.co.uk/global-development/gallery/2012/dec/07/farming-sustainable-india-in-pictures?CMP=twt_gu#/?picture=400653863&index=9

728x90
728x90

The green of newly-planted cover crops on Art Behrens' farm in Carroll County contrasts with the brown of most Iowa fields in November.

The green of newly-planted cover crops on Art Behrens' farm in Carroll County contrasts with the brown of most Iowa fields in November. / Dan Piller/The Register

COVER CROPS 
Opinions vary, but the Practical Farmers of Iowa submit the following crops as most advisable for farmland winter cover: 
Winter triticale, cereal rye, winter barley, oats, crimson clover, sunn hemp oats/winter pea, oats/legume mix, deer vetch, winter pea, alfalfa, common vetch, hairy vetch and legume mix. 

Winter triticale
Cereal Rye
Winter Barley
Winter triticale
Oats
Crimson clover
Sunn Hemp
Oats/winter pea
Oats/legume mix
Deer vetch
Winter pea
Alfalfa
Common vetch
Hairy Vetch
Legume mix

More

ADS BY PULSE 360 




CARROLL, IA. — Iowa farmers plant 2 million to 3 million more acres for corn than they did a decade ago, generating concerns about pollution from nitrogen runoff and soil erosion.

But some farmers are looking for alternatives. Last week about 45 farmers gathered on Art Behrens’ 240-acre farm, which uses a five-year rotation of two years of corn, one of soybeans and two with nitrogen-replenishing, soil-knitting cover grasses.

“We’re stewards of the land, and we need to find our own solutions to erosion and nitrogen runoff,” said Behrens, a veterinarian who returned to his family farm a decade ago and converted it to an organic operation.

Behrens has expanded beyond the two-year, corn/soybean rotation favored by most Iowa farmers to a five-year rotation of contour strip tillage, a conservation practice that mixes cover crops such as rye, barley and alfalfa in with two years of corn and one year of soybeans.

An interested observer at the Behrens farm was Montgomery County farmer Mark Peterson, who this year is trying cover grasses on about one-third of his acres. Peterson isn’t interested in going organic, but he worries about his soil.

“We have rolling terrain in our part of the state, and I got tired of seeing soil erode,” said Peterson, who took pains to describe himself as a “mainstream farmer, not a far-out advocate.”

The matter of soil erosion and nitrogen runoff is engaging policymakers, especially with continued problems with pollution in Iowa’s waterways and the hypoxia dead zone that has emerged at the mouth of the Mississippi River in the Gulf of Mexico.

This month Congress will revisit the farm bill, and an issue will be whether or not conservation practices should be made mandatory as terms for federal subsidies for crop insurance.

A decade ago, Iowa farmers planted an even split between nitrogen-hungry corn and nitrogen-replenishing soybeans — about 11 million acres apiece.

But the boom in ethanol demand, which now chews up 60 percent of Iowa’s corn, has swung the acreage pendulum toward corn. This year Iowa farmers planted about 13.7 million acres of corn and around 9 million acres of soybeans.

Two traditional cover crops, oats and hay, have also lost ground in Iowa. Oat acreage has declined from 290,000 in 2002 to 130,000 acres this year. Hay alfalfa acres have dropped from 1.25 million a decade ago to 800,000 acres this year.

Those expanded corn acres and reduced soybean and cover crops have meant more nitrogen use and more worries about the conditions of Iowa’s waterways.

Throw in continued soil erosion problems, and thoughtful farmers like Behrens and Peterson become anxious for new solutions.

Actually, the use of cover crops is an old one. Before World War II, farmers set aside up to one-third of their land to raise oats for the horses, the prime power on farms until the postwar machinery boom.

The idea of expanded rotations isn’t new, either. A study by Iowa State University last summer showed that a three-year rotation of corn, soybeans and a cover crop could actually enhance farmer profitability. It was the latest in a line of studies and advocacy positions calling for wider rotations.

Behrens’ demonstration of cover crops last week was held under the auspices of Practical Farmers of Iowa, an independent group that advocates greater crop diversity.

“We want to be careful with the word ‘sustainable,’ which is overused in agriculture,” said Sarah Carlson, PFI’s research and policy director. “Farmers are interested in finding ways to increase the diversity of their crops.”

Practical Farmers helps farmers plant cover crops such as rye, barley and clover as well as more traditional cash crops such as oats and alfalfa, all of which replenish soil nitrogen and have deep root systems that fight erosion by knitting the soil tighter.

“We’re really interested in winter grasses that are planted right after harvest, then plowed under in the spring for planting,” said Carlson.

Carlson said that Practical Farmers eschews the policy debate in favor of more field demonstrations.

“You know there will be policy discussions,” she said. “What is important here in Iowa is to show that there are alternatives, and that we can have more diversity in farm fields.”

A key question about rotations has centered on production. Naysayers to more crop diversity argue that any reduction in corn production could result in higher prices that could drive up feed costs for Iowa’s livestock producers, not to mention the state’s 41 ethanol refineries.

The feedstock issue for ethanol is left to federal law, which requires that of the 36 billion gallon target for biofuels to be reached in the next decade, half must come from non-corn sources.

“It is important to expand our thinking to include the small grains that come from cover grasses into animal feed rotations,” Carlson said.


728x90
728x90

작부체계를 바꾸는 것만으로 농약과 화학비료에 대한 의존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가 발표된 적이 있다. 아이오와 주립대학의 Marsden 농장에서 행해진 실험결과가 그것이다. 약 2,5000평 정도의 농지를 셋으로 나누어 농사를 지었다. 하나는 관행적으로 옥수수-콩 돌려짓기, 다른 하나는 옥수수-콩-귀리 돌려짓기, 마지막은 옥수수-콩-귀리-자주개자리 돌려짓기. 마지막 작부체계에선 자주개자리를 기를 때 가축을 방목하여 똥오줌을 받았다고 한다. 삼포제 농법의 부활이라고도 볼 수 있다. 똑같지는 않지만, 자주개자리를 포함한 마지막 작부체계 전통농법의 하나인 과거 유럽에서 행해지던 삼포제 농법을 새롭게 응용한 방식이라고 평가할 수 있겠다. 자주개자리는 콩과식물인데다가 가축이 그걸 뜯어먹으며 똥오줌을 싸니 밭이 더욱 기름질 수밖에...


그 결과가 아주 재미난데, 새로운 작부체계를 활용하니 옥수수와 콩의 수확량이 늘고, 농약과 화학비료의 사용량은 88%까지 감소했으며, 지하수의 독성물질은 200배 줄었고, 수익에선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 물론 좋은 점만 있는 건 아니다. 단점으로 꼽힌 것은 역시 인건비. 인건비가 증가한단다. 이봐라, 왜 현대농업으로 나아갈수록 농민이 가난해지고 농지에서 쫓겨나 도시로 나가는지 엿볼 수 있는 단서다. 아무튼 그래도 낫지 않은가? 담합해서 농민들 땀 묻은 돈이나 뜯어먹는 농약회사, 비료회사, 농협에게 돈다발을 안기기보다는 정직하게 땀흘리며 일하는 농민, 노동자에게 그 돈이 들어간다니 말이다. 인건비 상승, 나쁘게만 볼 것이 아니다.


미국에선 1년에 약 227만 톤의 농약이 사용된다. 많다고 느끼는가? 한국은 OECD 국가 중 농약사용량 1위의 국격 있는 나라다. 작물보호협회(농약이 작물을 보호한다고, 농약이 지닌 나쁜 이미지를 없애고자 만든 이름)에서는 억울하다고 호소한다. 단순히 비교하는 건 의미가 없다고 하면서 말이다. 여기를 보라(http://goo.gl/Mg9It). 핑계를 댄다고 많이 쓰는 게 많이 쓰는 게 아닌 것이 되는 건 아니지 않습니까, 작물보호협회여? 하긴 농업 분야 이외에도 공원, 골프장, 아파트단지 등등의 관리를 위해서도 엄청나게 사용하고 있다. 자살자들도 애용하고...ㅜㅜ


조선의 농법 중에 일본인 농학자들의 혀를 내두르게 한 2년3작식 작부체계가 있다. 이를 유럽의 삼포식 농법과 비교해도 전혀 손색없는 훌륭한 농법이라고 평가했지. 결론적으로 이번 실험결과나 조선의 전통농법이나 일맥상통하는 건 땅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놀려서 최대의 산출을 빼 돈을 벌 것이냐가 아니라, 땅을 얼마나 아기자기하게 놀려서 적당한 산출을 얻으면서도 지력을 유지하도록 할 것이냐다. 


작부체계의 다양성이 증가하면 생산성, 수익성, 환경에 더 이롭다는 연구결과는 여기를 참조할 것(http://goo.gl/S5DaI).


그 실험결과 옥수수 생산량은 평균 4%, 콩은 9% 증가했다. 빨리빨리 옥수수-콩만 돌리는 것보다 시간이 오래걸리니 수익이 떨어질 것이라 예상하겠지만, 수익 면에서는 비슷했다는 점. 농약과 화학비료 사용이 준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런데 이런 재미난 연구는 주목받지 못하고 스탠포드 대학의 유기농을 먹는다고 건강해지는 게 아니라는 연구나 세간의 주목을 받고 말이야(http://goo.gl/HKigg). 


2년3작식이 뭔지 궁금해여? 궁금해여? 궁금하면 500원.




728x90
728x90


국내친환경농업윤작실태와올바른방향설정을위한연구.pdf


국내친환경농업윤작실태와올바른방향설정을위한연구.pdf
0.17MB
728x90
728x90

콩과식물은 그 뿌리에 뿌리혹박테리아라는 공생균이 있어 대기에 있는 질소 성분을 식물이 흡수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효과 때문에 한국만이 아니라 세계의 전통농업에서도 콩과식물을 다양하게 활용해 왔다. 하지만 근래 화학비료의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면서 콩과식물의 활용도가 점점 떨어지게 되었다. 하지만 화학비료의 남용으로 땅심은 오히려 나빠지게 되었고, 지금은 다시 콩과식물의 기능과 역할에 다시 주목하고 있는 상황이 되었다.







휴경기 콩과식물 재배해 땅심 높여


돌려짓기는 농작물의 친환경적 병해충 관리와 토양관리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돌려짓기에는 판매용 재배작물의 종류를 매년 다르게 하는 방식과 중간에 풋거름작물을 기르는 방식이 있다. 농가가 수익성이 높은 작물의 연속재배를 포기하기는 쉽지 않고 신기술을 익히기에는 부담이 되므로, 작물 재배가 없는 휴경기에 풋거름작물을 이용해 돌려짓기를 실천하면 된다.

풋거름작물 돌려짓기는 토양에 질소 등의 양분을 공급하고 흙의 입단화(흙 입자가 분비물과 미생물의 활동으로 자연 결합돼 중간중간 뭉쳐 있는 것. 흙 안 공기와 수분의 밀도)를 촉진한다. 이는 이어짓기에서 비롯되는 병원균의 순환을 끊어 뒷그루 작물의 병해를 막는다. 또 다른 풀이 나지 못하게 하고 땅이 그대로 노출되는 것을 막는 역할도 한다.

겨울철 휴한기에는 콩과와 화본과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콩과 식물에는 헤어리베치(털갈퀴덩굴)·자운영·토끼풀 등이 있다. 이들 식물에 기생하는 뿌리혹박테리아는 공기의 질소를 양분으로 바꿔 주는 고정 효과가 있다. 털갈퀴덩굴의 경우 10a(300평)당 20㎏까지 질소 공급이 가능하다.

보리·호밀·수단그래스 등은 대표적인 화본과 식물이다. 염분이 많은 토양에서 이들을 재배하면 염분은 흡수하고 양분은 조절해 토양의 유기물 함량을 높여 준다. 이들은 또 땅속 깊숙이 뿌리를 내려 아랫부분의 양분을 충분히 흡수하고 흙에 공기가 잘 통하도록 만든다.

전문가들은 콩과와 화본과 식물을 함께 재배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콩과 식물은 분해가 빨리 이뤄지므로 생육기간이 긴 작물은 후기에 다시 한번 비료를 줘야 하는 반면, 화본과 식물은 분해 속도가 느려 후기 양분 공급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또 화본과 식물만 키웠을 경우 생기는 질소 부족 현상도 콩과 식물이 보완할 수 있다. 여름에는 하우스에 작물이 없는 2~3개월 동안 네마장황 등을 풋거름으로 재배하면 선충 억제, 염류 제거, 질소 고정, 유기물 공급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선충을 없애는 효과가 탁월하다.

풋거름작물은 위치와 시기·목적에 따라 선택하고 파종과 수확을 적기에 해야 한다〈표 참조〉. 풋거름작물 종자는 일반 종자판매상을 통해서도 구할 수 있지만, 주요 풋거름작물인 헤어리베치(털갈퀴덩굴)·자운영·호밀·청보리는 연초에 미리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에 신청하면 가을에 무료로 받을 수 있다. 

◇ 도움말=이연 농촌진흥청 유기농업과 연구관 ☎ 031-290-0544.


728x90

'농담 > 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농의 유기농업  (0) 2011.02.25
왜 혼농임업이 식량 안보와 보호에 핵심인가  (0) 2011.02.24
유기퇴비 만드는 법  (0) 2011.02.23
중국 운남성 자인마을  (0) 2011.02.13
퍼머컬처와 생태농장가꾸기  (0) 2011.02.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