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농6 농업 경관의 다양성과 중소농의 중요성 예전에 갈무리해 놓은 이 논문을 다시 살펴보았다. http://www.thelancet.com/pdfs/journals/lanplh/PIIS2542-5196(17)30007-4.pdf Farming and the geography of nutrient production for human use.pdf 결론 부분을 한국어로 옮기면 다음과 같다."세계적으로 중소농(50헥타르 이하)이 이 논문에서 조사한 거의 모든 농상품과 영양의.. 2017. 5. 16. 소농은 왜 중요한가 오늘은 '소농'이 왜 중요한지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농업을 생산성이란 측면으로만 평가하면 놓치는 것들이 많아진다는 점 잊지 말도록 합시다. http://www.environmentreports.com/small-farms-stewards-global-nutrition/ http://umn.maps.arcgis.com/apps/Cascade/index.html?appid=a48c26df4577490ba8b92d410df2e1fd 2017. 5. 10. 농민, 30년만에 전체인구 28.9%에서 6.4%로 급감 잊혀진 존재, 농민-(상) 경기화성 충북청원 전남광양 경남의창 감소 폭 커 중간규모 농가 몰락하고 소규모 농가 늘어 양극화 흔히 가을은 수확의 계절이라고 한다. 하지만 온 국민의 90%가 넘는 도시민들에게 이 말은 그저 상징에 불과하다. “수확”을 체감할 수 없는 세상이 되면서, 함께.. 2013. 10. 8. 소농이 답이다 흥미로운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먼저 이에 딸린 설명을 살펴보자. 2011~2013년 중반까지 세계의 식량가격은 2003~2008년보다 약 80% 상승했다. 세계의 화학비료 사용량은 지난 40년 동안 8배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곡물 생산량은 겨우 2배 증가했을 뿐이다. 농업생산성의 증가율은 연간 2%에서 .. 2013. 9. 19. 소농이 식량안보와 생물다양성에 더 좋을 수 있다 우린 종종 급속히 성장하는 인구를 먹이기 위해서는 대규모 산업형 농업이야말로 유일한 방법이라고 추정한다. 대부분 유전자조작된 식량작물이 또한 더 적은 지역에서 세계의 인구를 먹이기 위해 충분히 많은 양을 생산하는 데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최근의 과학적 연구는 그러한 추정에 도.. 2011. 6. 16. 대농이 소농보다 효율적인가? are large farms more efficient.pdf 인터넷을 뒤지다 찾은 글입니다. 이분도 어떤 논문을 정리한 글이네요. 모두에게 도움이 될까 하여 올립니다. 논문의 원문도 함께 올립니다. 영어인데, 영어가 되는 분께서 쭉 풀어주셨으면 좋겠네요. --------------------------------------------------------------------- 월든 벨로 교수의 식.. 2010. 6. 2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