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13년을 시작하며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건강이나 식단을 개선할 계획을 세울 것이다. 우리는 식량체계를 고치기 위한 더 커다란 계획을 농민, 정책입안자, 소비자라는 더 광범위한 집단의 범위에서 구상해보자 -전 세계의 농지와 회의실과 밥상에서 장기적 영향을 미치는 진정한 변화. 이는 세계에 여전히 굶주리고 있는 10억 명과 과체중과 비만에 시달리는 그 이상의 고통을 해결할 계획이다. 우리는 도구를 가지고 있다 -2013년 그것을 사용하자!


여기 2013년 식량체계를 변화시킬 13가지 해결책이 있다:

1. 도시를 경작하자: 식량생산은 농지나 공장에서만 하는 것이 아니다. 전 세계 약 10억 명의 사람들이 도시에서 식량을 생산한다. 아프리카 최대의 빈민가인 Kibera에서, 농민은 토종 채소의 씨앗을 심어 농촌의 농민들에게 판매하고 있다. 뉴욕의 Bell Book & Candle 식당에서, 소비자들은 로즈마리, 체리토마토, 로메인 상추 및 기타 채소를 식당의 옥상텃밭에서 기른다.

2. 새로운 접근법을 만들자: 오클랜드의 People's Grocery와 시카고의 Fresh Moves는 신선식품을 접할 기회가 부족한 저소득층이 건강한 식품을 선택할 기회를 주고자 휴대전화 식료품점을 만들었다. 감자칩이나 탄산수 대신 그들은 그 지역사회에서 일반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저렴한 유기농산물을 제공한다.

3. 건강한 식품을 먹자: Michael Pollan 작가는 조부모님이 알지 못하는 아무것이나 먹지 말라고 조언한다. 합성보존료나 첨가물이 없는 더 많은 과일과 채소, 완전식을 먹어보자.

4. 요리를 하자: 영국과 미국에서 가사 수업이 감소하며 젊은이들은 기본적인 요리법도 모르게 되었다. 요리사인 Jamie Oliver, Alice Waters, Bill Telepan 씨는 학교에서 아이들에게 건강하고 영양가 풍부한 음식을 어떻게 만드는지 가르치고 있다.

5. 잔치를 열자: Hartman 그룹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약 절반이 혼자 밥을 먹는다.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밥을 먹으면 지역사회와 대화를 증진시킬 수 있다. 최근의 연구들은 가족과 밥을 먹는 아이들이 그렇지 않은 아이들보다 전형적으로 더 행복하고 안정적이라고 제안한다. 

6. 육식을 피하자: 세계의 약 20억 명이 미량영양분 부족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 세계채소센터(World Vegetable Center)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농민이 건강과 소득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고부가가치의 영양분이 풍부한 채소를 재배하는 걸 돕는다. 

7. 음식쓰레기를 만들지 말자: 먹을거리의 약 1/3이 버려진다 -농지에서, 운송되면서, 가게에서, 집에서. 그러나 그런 음식쓰레기를 예방하는 쉬운 방법이 있다. Love Food, Hate Waste와 같은 단체에서는 소비자에게 남는 부분의 비율을 조절하고 그걸 요리하는 비결을 알려주는 한편, 볼리비아에서 태양광 건조기를 사용해 음식을 보존하도록 한다. 

8. 청소년을 참여시키자: 지적이고 경제적으로 자극이 되는 농사는 식량체계와 청소년들에게 매력적인 활동이 될 것이다. 아프리카의 사하라 이남 지역에 걸쳐 휴대전화와 인터넷은 기후와 시장 정보에 농민을 연결하고 있다; 미국에서 Food Corps은 건강한 식생활을 준비시키고자 학생들에게 어떻게 작물을 기르고 요리하는지 가르치고 있다.

9. 노동자를 보호하자: 전 세계의 농업과 식품 노동자들은 더 나은 임금과 노동조건을 위해 싸우고 있다. 짐바브웨에서, 일반적 농업, 플랜테이션 노동자연합(General Agricultural and Plantation Workers Union, GAPWUZ)은 학대로부터 노동자들을 보호한다. 미국에서 이모칼리 노동자연합(Coalition of Immokalee Workers)은 플로리다의 토마토 수확 노동자들에게 정당한 임금을 지불하도록 Trader Joe's와 Chipotle를 설득시켰다.

10. 농민의 중요성을 인정하자: 농민은 단순히 농민이 아니라, 사업가이자 토지의 수호자이자 교육자이자 지역사회에서 지식을 공유하는 사람이다. 국제 슬로우푸드는 전 세계에서 농민들과 함께 일하며 그들이 생물다양성과 문화를 지키는 데 중요한 존재임을 인식시키고 있다. 

11. 정부의 역할을 인식시키자: 국가는 모든 사람들이 안전하고, 값싸고 건강한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  가나와 브라질에서 전국적인 학교급식프로그램과 지속가능한 농업 생산을 위한 지원을 늘리는 정부의 조치로 굶주리는 사람들의 숫자가 엄청나게 줄었다. 

12. 측정기준을 바꾸자: 정부, 비정부기구, 자금 제공자 들은 영양의 개선과 환경보호보다는 생산량과 수확량의 증가와 개선에만 초점을 맞추어 왔다. 측정기준을 바꾸고, 품질에 초점을 맞추면 공중보건과 환경 및 생활을 개선할 것이다.

13. 망가진 식량체계를 고치자: 농업은 세계에서 가장 급박한 과제 가운데 일부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실업 문제를 포함하여, 비만과 기후변화. 이러한 혁신은 더 많은 연구, 더 많은 투자, 궁극적으로 더 많은 자금 지원을 필요로 한다. 

우린 할 수 있다  -함께!


출처 http://goo.gl/RHB7G

728x90

'농담 > 농업 전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악양들  (0) 2013.01.12
27년 만의 한파와 우리의 밥상  (0) 2013.01.07
2012년을 마무리하며  (0) 2012.12.31
2012년 세계 농업의 10대 소식  (0) 2012.12.31
벼 대신 콩 심어라  (0) 2012.12.31
728x90

남아프리카 Stellenbosch의 농장에서 일하는 여성 농업노동자


One of the ultimate perversities of our era is that the producers of food and their children often go to bed hungry. Reform of commercial agriculture is urgent if the women farm workers who grow and pack our food are to have enough to eat.

By Fatima Shabodien, former Director of the Women on Farms Project

In November 2011, my middle-income country, South Africa, was shocked by a news report of four children from one family having died of starvation and dehydration in a veld. The children of the Mmupele family, ranging in ages two to nine years, died after following their farm worker mother who went in search of food. How is it possible, we all asked ourselves, that in a fertile region known as the heart of South Africa’s maize triangle, those who grow our land’s staple food could have succumbed to such a tragic dark-age fate?

Food insecurity is widespread and hunger is a common experience of those who live and work on South Africa’s commercial agricultural plantations today. one of the ultimate perversities of our era is that the producers of food and their children often go to bed hungry. Growth stunting as a result of malnutrition is most marked among the children of farm workers. 

one of the ultimate perversities of our era is that the 
producers of food and their children often go to bed hungry."

Women are particularly vulnerable within this system as their access to housing and jobs remains almost completely dependent on a relationship with a man.  In a context where alcohol dependence and gender-based violence form a potent mix, this dependence literally has life and death consequences for women and their children.

Despite a world class Constitution and Bill of Rights that clearly outlaws discrimination based on gender, a highly institutionalized system of job reservation exists in commercial agriculture in South Africa. The higher-paying, permanent jobs are effectively reserved for men (based on a patriarchal construction of men as heads of households), while women are largely limited to seasonal, insecure, low paying and often more dangerous jobs. Such discrimination encourages women to forgo meals when food is scarce, since all livelihoods depend on a male breadwinner in the family.

South Africa is one of the most urbanized countries on the African continent with an estimated 62 per cent of the population living in cities. The pressure on commercial agriculture to simultaneously feed the ever-growing cities and reach the European export markets is ferocious.

Faced with spiralling input prices, commercial farmers have sought relentlessly to save on labour costs, through casualization, feminization and the outsourcing of contracting to labour brokers (largely to circumvent labour laws). These trends have had devastating consequences for women farm workers. Landowners’ cost-saving strategies have effectively halved the South African formal agricultural labour force in the 17-year post-apartheid period, from 1.4 million to 700,000 workers. The pool of temporary and seasonal women farm-workers pay the price through widespread food insecurity.

The current legal minimum wage is well below what a family needs to support itself (spending more than 80 per cent of income on food), and farm-worker families ironically have no access to land for their own food production. Widespread lack of access to land is in part an apartheid legacy, but it has been compounded by a misguided land reform approach focused on producing a class of black commercial farmers, which has failed dismally. The South African state finally acknowledged that food security should be a key objective of land redistribution going forward, yet there is still little evidence of a move towards placing women at the center of such a strategy.

In addition, the cost of food in rural towns is markedly higher than in urban centers, a problem compounded by the fact that, in the absence of a rural public transport system, workers are left reliant on local farm shops (owned by land owners) where they can purchase food on credit, but at a rate on average 30 per cent higher than other rural retailers. In this widespread practice, workers are often locked into debt bondage, with their outstanding debt being automatically deducted from their weekly pay.

The commercial agricultural sector in South Africa is likely here to stay, at least in the near future, and women will continue to be increasingly employed as farm labour. Hence, reform of commercial agriculture is urgently required to ensure the food security of the women workers who grow and pack the food on these farms. Given the broader land grab trend on the African continent, where large plantation style agricultural production is fast becoming the norm, reforms are doubly relevant.

"Reform of commercial agriculture is urgently required
to ensure the food security of women farm workers."

In his 2011 mission to South Africa, the UN Special Rapporteur on the right to foodconcluded that while income poverty was most marked in the Limpopo province, child hunger was very low. This he attributed to the high number of women engaged in their own agricultural production given their access to land. In the context of the widespread burden of disease on rural women, such an intervention can (and in some instances already has) made a life and death difference. Women’s access to land and other productive resources is thus key to food security.

The reform of commercial agriculture should include a legislated living wage (not merely a minimum wage) that includes entitlement to a package of non-wage benefits. Farm-workers should be guaranteed access to and control of land and water for their own food production, with extension support from the state and large private farmers. The kind of support required for subsistence farming is already abundantly available in commercial farming settings.  In addition, specialized support services should promote agro-ecological food production methods.

A concomitant strategy should be to focus agrarian reform towards the realization of food security and food sovereignty. This would require a move away from the dream of merely replacing white male commercial farmers with black ones, and instead fundamentally re-envisioning an agricultural system with objectives other than profits through exports. Farm-workers and small farmers should be encouraged to form consumer, production and market co-operatives.

There is a very active public debate on the notion of a developmental state in our country. This raises important questions on the role of the state vis-à-vis the open market. The evidence is abundant that liberalization and vulnerability to the exigencies of global markets have left the poor and women in particular more food insecure. A goal of food security therefore requires active intervention by a state that positions itself more than as just a mere neutral regulator, but an active protector of the interest of the poor. Despite all the rhetoric to the contrary, we have not seen this from our state to date.

"Liberalization and vulnerability to the exigencies of global markets
have left the poor and women in particular 
more food insecure."

In arguing for reforms to the commercial agriculture sector, it is important to bear in mind that land and all natural resources ultimately form the basis of social and political power, and that radical sustainable change (such as a women-focused agrarian reform program) will not happen without challenging this power. The collective actions of women in movements will be key to changing the agricultural landscape of South Africa. It is essential for rural women to mobilize to promote their own interests.  While NGOs have an important supporting role to play, long-term success will depend on the collective mobilization and leadership of rural women themselves.  

"The collective actions of women in movements will be key
to changing the agricultural landscape of South Africa."

It is only when we have covered these fundamentals that we can begin to dream about food security for women farm-workers, and the tragedy of the Mmupele family will not be repeated. The realization of women’s right to food can be a strategic vehicle for the realization of women’s rights overall and an important step in challenging patriarchy.  

Download Women Farm Workers Dying for Food.


728x90
728x90

Food Chain Teaser from Sanjay Rawal on Vimeo.


하루 평균 3200만 미국인이 식료품점에 가서 약 41분 동안 시간을 보내며 물건을 산다. 그러나 대개의 미국인들은 자신들의 눈 밖에서 잠재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학대를 포함하여 그 먹을거리가 어떻게 생산되는지 거의 알지 못한다.


식품 체인점Food Chain이라 하는 새로운 다큐멘터리는 미국의 농업 분야에서 노동자의 권리를 탐사하고자 한다. 이 다큐멘터리는 노예 같은 상황, 착취, 가혹한 생활환경을 기록하며 미국 농업노동자의 삶을 보여준다. 이 다큐멘터리에 따르면, “현대의 슈퍼마켓은 모두 당신의 먹을거리가 어디서 왔는지 또는 누가 그걸 수확했는지 생각나지 않게 할 만큼 정도를 벗어났다.”

이 다큐멘터리는 노동운동 지도자 Dolores Huerta 씨, 조사 기자 Eric Schlosser 씨와 Robert F. Kennedy Jr. 씨 외의 사람들이 주인공으로 나온다. 식품 체인점Food Chain이 아직 제작되지는 않았지만, 이 다큐멘터리 제작자는 식료품점들이 그들이 지원하는 농장에 더 나은 임금과 노동조건을 요구함으로써 식품정의운동(food justice movement)에 지도자가 되기를 북돋고자 하는 바람이 있다.

다큐멘터리에 등장하고 현재 농업노동자의 권리를 개선하기 위한 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한 단체는 이모칼리 노동자연대Coalition of Immokalee Workers (CIW)이다. 플로리다에 기반을 둔 CIW는 플로리다의 토마토 수확자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 두 가지 운동 –공정한 먹을거리 운동과 反노예노동 운동– 에 참여하는 농업노동자 단체이다. 또한 CIW는 맥도날드Subway 같은 주요 기업과 협정을 맺음으로써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지원하고 농업노동자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공정한 먹을거리 동맹Alliance for Fair Food과 협력한다.

식품 체인점을 지원하고 그 예고편을 보려면 다큐멘터리의 웹사이트를 방문하거나 위의 비디오를 보시길 바란다.

미국 농업노동자의 권리에 관해 더 많은 것을 읽고자 한다면 “농지에서 기계처럼(Like Machines in the Fields): 미국 농업에서 권리가 없는 노동자(Workers without Rights in American Agriculture)”, 농업노동자연합(United Farm Workers), 공정한 먹을거리 규정위원회(Fair Food Standards Council)를 보라.


728x90
728x90

농촌 고령화로 외국 인력이 없으면 농사짓기 힘든 실정임에도 농촌에 배정된 외국인 근로자 쿼터(취업 할당량)가 턱없이 모자라 매년 인력수급 전쟁을 치르고 있다고 하는 뉴스가 나왔다. 이제 우리는 이주노동자가 없으면 밥도 못 먹는 현실이 닥쳐 왔다.


농장주들은 언제 떠날지 모를 이주노동자를 붙잡느라 월 200만원 급여를 비롯, 숙식에 냉난방비, 주·부식, 각종 보험, 퇴직금 등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수시로 회식시켜주고 휴대폰까지 주지만 1년도 안 돼 타 사업장으로 이탈한다고... 이주노동자도 사람인지라 우리랑 다르지 않아요. 힘든 일보단 편한 일로 돈을 많이 벌어 금의환향하는 게 꿈이지요.


이주 농업노동자 문제는 언제고 어디선가 자세하게 다루어줬으면 좋겠어요. 현재 한국에 얼마나 있으며, 그들이 담당하는 비중은 얼마나 되는지, 처우는 어떠한지, 생활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 등등이요.


영세한 자국의 농민 보호라는 명목으로 노예노동에 착취당한 이주농업노동자 문제도 있었군요. 얼마나 비일비재할지는 알 수 없어요. http://withgonggam.tistory.com/m/662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