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TX Harvesters from advanced.farm

 

 

it’s a misty morning near Salinas, California and the advanced.farm TX harvester—a lightweight, driverless tractor covered in canvas—is picking strawberries. Like a dot-matrix printer moving along a page, the harvester’s robotic hands move back and forth along the beds, scanning for signs of red. When it identifies a ripe berry, it dives down, gently plucks it from the plant, and places it in a crate.

At the same time, a crew of about two dozen farmworkers is also harvesting strawberries just a few hundred feet away, on an adjacent farm. As an energetic song blasts from a parked vehicle, the men and women stoop to pick berries straight into plastic clamshells that they tile, side-by-side, into cardboard trays. Once their trays are full, the workers take them back to one of several sorting tables spread out along the access road (to allow for social distancing). It’s clear by the speed at which they’re walking—and in some cases even running—to drop off each box that these men and women are getting paid by the piece.

I’ve trudged through the muddy, irrigated fields to watch both forms of harvest with Kyle Cobb, advanced.farm’s youthful, clean-cut CEO. The company was the first to mechanically harvest strawberries for commercial sales last year, and had raised just under $10 million by June 2020, including a $7.5 million Series A round in 2019. After building a robot that cleaned solar panels, Cobb and his team dove into agriculture, where they hope to put an end to the notoriously grueling, repetitive work of harvesting strawberries.

If things go as planned, and advanced.farm is able to scale up over the next several years, Cobb says, “You’d see the same crew, but instead of it being this big, you’d see about half the size . . . and they wouldn’t be doing the traditional picking like this. They’d be doing a combination of sorting and packing in a very comfortable ergonomic set up.”

Today, instead of the fleet of three or four harvesters that are typically picking berries, the TX is in the field prototyping, gathering data to be used by the company’s team of engineers at their office three hours north, in Davis. Prototyping is slow, exacting work, and the machine is accompanied by field operations manager Jorge Cava, who carries a tablet and watches patiently as the harvester moves along the rows, learning thousands of iterations of berry, stem, and leaf. “We should get several hundred more hours testing on it,” said Cobb, before it goes back into the field.

Compared to the hustle taking place on the next farm over, it’s a pretty low-key scene—boring even, to the untrained eye. And yet, Cobb, Cava, and others working to automate the harvest have been in the midst of their own hustle over the last few years. Now, the pandemic has ratcheted up the pressure.

For farmers considering investing in the automation, Cobb tells me in the field, he sees the pandemic as one of several factors that will breaks the camel’s back. “It’s the rising cost [of labor], it’s the already-dwindling supply, the aging of the workforce, the hard work. Add in a health pandemic that further limits the supply and complicates your daily logistics, and automated harvest starts to sound really nice,” he said. Hazardous conditions caused by this year’s wildfires may also be a factor, although they haven’t stopped many crews from harvesting this fall.

It’s not just growers who may soon embrace the technology. In California, most of the counties with the highest rates of infections are in the Central Valley, the state’s most productive agricultural region, and home to hundreds of thousands of farmworkers. And as farmworker communities around the country battle a growing number of coronavirus outbreaks, illnesses, and deaths, the discussion of automation across the food production spectrum has grown in the public arena as well. If the people doing the work on farms are getting sick, the logic goes, why not just replace them with machines?

The transition for the companies isn’t going to be fast or easy: Cobb estimates that it will likely take five to 10 years before it’s really complete.

“We’re working as hard as we can,” he said, as he details the many challenges companies like his face in the process to get the machines out in the field, working as fast as human pickers. For a good part of the summer, for instance, the strawberry plant’s leaves grow so large that they essentially block the harvester’s vision from above. And strawberry breeders have so many other priorities, that it could be a while before they start breeding plants that make it easier for the harvesters to do their job.

Of course if advanced.farm—or one of the other companies in its lane—succeeds, the shift won’t be easy for farmworkers either, nor for farm-centric communities such as Salinas, Watsonville, and Oxnard.

The strawberry industry employs about 55,000 people in on-farm jobs on an estimated 38,000 acres in California—making it one of the state’s more labor-intensive crops. And if automation successfully cuts that number in half it could mean the loss of over 27,000 jobs in that slice of the produce sector alone.

Illustration by Justin Limoges.

A Ripe Moment for Automation on Farms

For Sébastien Boyer, the shift toward increased automation in farming is an inevitable one. Boyer is the CEO of Farmwise, a company that launched its first autonomous weeding robots in early 2019, and has grown quickly in the year and a half since then.

FarmWise went from having a small handful of weeding machines in 2019 to 20 of them in 2020. It also scaled out from a startup in a garage in San Francisco to a 700,000-square-foot shop and headquarters in Salinas. And Boyer says he has seen an increase in interest from farms in California and Arizona.

“We see a kind of short-term positive shock in the attractiveness of what we do. But we are also seeing increased discussion around automation,” Boyer told me in his thick French accent. “By and large, what I think is going to happen during the crisis is a faster push for things that makes the overall supply chain less reliant on the uncertainty of manual work being done in the fields.”

Advanced.farm’s Cobb echoed this sentiment. “There are always early adopters, and they have been ahead of this trend for all kinds of reasons,” he said. “But now that second wave of people, the mass adoption . . . I think they’re moving faster. They’ve changed their mindset faster than you otherwise would have expected.”

Emily Reisman is an assistant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Sustainability at the University of Buffalo and a recent transplant f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Cruz. As part of a larger effort to document and study the agtech industry with a group of other researchers, including U.C. Santa Cruz’s Julie Guthman, she has been attending agtech events—which have moved on online but not slowed down—since before the pandemic began.

“I think it’s unlikely that COVID will dramatically accelerate the development timelines of these companies, especially for mechanical devices,” said Reisman. “But this moment might allow certain technologies to gain legitimacy and potentially additional financial backing, institutional support, or broader public acceptance.”

Reisman is also concerned that COVID is being used as a way to depoliticize technology that displaces workers. She has spent the last few years studying the almond industry, where automation already allows for near-instant harvest thanks to mechanical tree shakers that can remove an entire tree full of nuts in around a minute. On those farms, the number of people needed per acre is minuscule.

“I found that the crop’s high level of automation is part of what makes it so attractive to financiers looking at land as an investment. Low labor means low risk,” she said. “So, I think automation is attractive not only to farmers or technology companies, but also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land as a financial asset.”

Rather than selling their equipment, both Farmwise and advanced.farm contract with farmers to pay for the machines’ services—which allows the companies to send fleets of weeders and harvesters around the area.

“I found that [almonds’] high level of automation is part of what makes it so attractive to financiers looking at land as an investment. Low labor means low risk.”

And with new overtime laws for farmworkers going into effect in 2022, Cobb says the investment in automation is “more of a hedge for future cost inflation rather than a significant cost reduction.”

Indeed, automated harvesting will potentially do away with the limitations of the workday. It’s not typically safe to employ people to work on farms at night—but machines like the TX harvester don’t care about light or temperature, nor do they have circadian rhythms; they can conceivably run for 24 hours if needed.

“It’s filling the gap in two ways. One is just by supplying machines that can pick instead of humans, and two, improving quality of work for the humans who are left so that more people are attracted to the line of work than are today,” said Cobb, who envisions a transformed industry unburdened by the kinds of repetitive, body-ruining work that is so common in today’s fields.

Better Jobs—and Fewer Jobs? 

When I spoke with Farmwise’s Boyer in April, right after the coronavirus hit, he told me his company was in a rare position to be hiring several people as they ramped up their customer base. “We’re paying significantly more than the average wage that fieldworkers make today. And that’s because we’re going to make every one of those workers drastically more productive than if we were asking them to do this work manually,” he said.

Jaime Eltit, Farmwise’s commercial operations manager, says the new, better-paying jobs created by companies like his are an important response to the farm world’s “shrinking and deteriorating labor force.”

“Probably the youngest people that you see out there right now are around my age,” said Eltit, who is in his 30s. “But the generation below them, those kids aren’t going out into the fields. This kind of work is hard; it’s not really desirable. And so there are going to be less people, but [a small number of] more skilled people doing the job of others.” And companies like Farmwise are “replacing the jobs at the bottom,” such as thinning lettuce, weeding, and harvesting, he adds.

In fact, nearly everyone I spoke to in the agtech industry preferred to focus on the “better jobs” aspect of the coming shift. When I asked Cobb about the fact that the future he and others envision could involve fewer jobs, he cautioned me to be careful about that phrase.

“Right now, one of the ways [farms] bring people to bridge the gap is through H-2A visas and immigration,” he said. “My hunch is that that’s always going to be a necessary part of the equation. But I think that we’re going to see less need for that type of solution. But I don’t think [automation] is going to take a bunch of domestic jobs.”

At Andrew and Williamson Fresh Produce, a large, multi-farm grower-shipper operation that works with advanced.farm, district manager Matt Conroy shares this sentiment. He points to automation as a way to fill what he says is a “10­–20 percent gap in the workforce,” but adds that “our goal is never going to be to get rid of people.”

“At the end of the day, certain jobs may fall to automation. The goal is not to have that happen. But there’s always an uncomfortable reality in there.”

A few years back, Andrew and Williamson developed the brand Good Farmsin partnership with Costco and the Equitable Food Initiative, a public-private partnership aimed at improving the lives of farmworkers. At its eight Good Farms locations, the company says it includes all its workers in planning meetings, employs them year-round, and provides benefits, among other things. And in an industry known for anonymous disregard at best, and wage theft and sexual harassment at worst, these efforts stand out.

And yet Conroy admits that, “at the end of the day, certain jobs may fall to automation. The goal is not to have that happen. But there’s always an uncomfortable reality in there. It’s like the photo booth people—that job went away when everybody went digital.”

Advanced.farm is the fourth robotics company Conroy has tried working with, and he likes that Cobb and his team are interested in grower feedback, rather than approaching automation purely as a technical problem. And he hopes some of Good Farms’ workers will be able to train to run the automated harvesters, a previously unheard of opportunity in a field that generally offers no opportunity to advance. “It’s about providing more skills to this person now and helping them be marketable in the future, so they can go outside of the scope of just picking from aisle to aisle,” Conroy told me.

Of course, while learning to operate the machine on the farm is one thing, really getting trained in the intricacies of the machinery would require that a worker and their family could relocate to Davis for several months—and he said finding that person could be difficult.

There has also been an effort to provide a pathway for the children of farmworkers to work in the agtech sector. In 2018, produce giant Taylor Farms invested in two centers, including one in Salinas, where existing workers can learn programming, engineering, and machine operation. And the Western Growers Center for Innovation and Technology—a Salinas agtech incubator—has a partnership with nearby Hartnell community college, where the children of farmworkers have been recruited since 2014 to train for computer science degrees. The idea is to provide a path toward a career in tech without having to leave their families behind.

That promise was one of the things that appealed to Eduardo*, a young man who went through the Hartnell program a few years back. After moving with his four siblings at age 10 from Oaxaca to the U.S. to join his parents, Eduardo (whose name has been changed to protect his identity) spent several years working the fields alongside his family—“cleaning lettuce, cutting onions, stuff like that.” He was good at math and got into the fast-tracked computer science program at Hartnell, but finding a job near his family hasn’t proved possible yet.

His first year out of school, Eduardo took an internship for a large ride-share company, learning it was in San Francisco just a few days before it started. Then, the internship turned into a full-time job, and he chose to stay on to learn what he could. He hoped to find work in agtech, but he wasn’t optimistic.

“A lot of my friends are jobless,” said Eduardo. “They’re still looking for a job a year or two after graduating.

When we spoke last fall, he was eating nearly all his meals in the company cafeteria, living in a surprisingly affordable room with other young tech workers an hour outside of the city, and sending money home to his family—a lifestyle entirely different from most of the other tech workers in San Francisco.

“It’s something that I can connect back to my parents,” he added about the prospect of working in agtech. “My dad doesn’t trust getting into a random person’s car. But if I build something for ag, he would trust it.”

Community Impact

Armando Elenes, a farmworker organizer and secretary treasurer of the United Farmworkers (UFW) is skeptical. “They’ve been talking about bringing robots into the field for over a decade,” he said. “I’ll believe it when I see it.” This year, protecting workers from the impacts of the pandemic—and expanding the union’s base, in part so that they have better access to healthcare—are much more pressing issues, said Elenes.

But Maria Cardenas disagrees. The executive director of Santa Cruz Community Ventures, and the founder of Undocufund Monterey Bay, was also neck-deep in her work to support undocumented farmworkers impacted by the pandemic when we spoke. She sees the move toward automation as inevitable, and potentially destructive. “Oh, it’s coming,” she told me. “I mean if you look at the millions that are being invested in things like identifying the right strawberry, those millions are not going to go to waste. It’s coming!”

In Salinas, as in other agricultural regions of California, Cardenas points to the fact that a whole generation of people have been working seasonal, high-skilled, low-wage jobs in the fields for two to three decades without benefits or any increases in pay. Most domestic farmworkers haven’t had access to much education in the last decade, and in recent years the existing population has been joined by a large number of migrants from Indigenous communities who speak neither Spanish nor English.

“Where do they go when these jobs are taken away? There are some young people, but a lot of them are getting close to retirement age, and they have no savings,” said Cardenas. “The employers in ag haven’t really invested in the workforce, and instead treat them as a piece of machinery in the fields.”

In that sense, it’s not surprising that a system that seeks to constantly replace its machinery with a more efficient model would be doing so with human workers as well. But Cardenas adds that most of the farmworkers she and her staff engage with are too mired in the work it takes to survive right now to track the progress of automation—let alone mount a response.

“[In Salinas,] they’re in households earning less than $50,000 a year living in a community that takes $94,000 to be okay. So, in many ways, their ability to work is subsidized by community programs and rental assistance,” she said. “And also by informal networks. The family takes care of the kids. You rotate. Or somebody is working in lettuce so they bring lettuce home and somebody is working berries and they bring berries home.”

Cardenas sees the value of a response from a union or a community organization, but she hasn’t seen one yet. And while the industry points to the opportunity for better jobs, she’s skeptical about the math, especially because a more efficient harvest won’t likely mean more money for the growers who pay the workers.

“All that does is lower your price per pound, with berries in particular. I don’t think a worker who is now running a machine is going to earn so much more . . . to make up for the lost household wages when three people are let go,” she said.

And yet, like many in the industry, Cardenas believes it’s likely that the pandemic will speed up the adoption of automation technology in the fields.

COVID has already made life difficult for farmworkers in many ways. “You have a political environment that makes it unsafe for workers to feel like they can get tested or get support. You have overcrowded conditions that makes it hard to isolate,” she said. “And poverty wages, which means that they can’t afford to not work—or access health care. All of that combined is a tsunami, quite frankly. And all of that combined in households that are already living in fear.”

Add the demand for produce outside the U.S. and consumer concerns about the stability of the food supply, and the drive to produce will likely take priority over other changes, she says.

“Even if the workers are sick, growers will still tend to want to produce. So, I don’t see the time allotted to change the industry,” Cardenas said. “But it will impact the agriculture communities where these workers are living. And the real strain will be felt by cities, which are facing tremendous deficits, and social safety net programs and nonprofits, which are also facing tremendous deficits.”

Getting Out in Front

Samir Doshi, a Race and Technology Fellow at Stanford University, is also concerned about the potential impacts of automation on Latinx immigrant communities in California and he’s engineering a plan to get out ahead of what could be an enormous wave of change.

Doshi did his doctoral research on developing regenerative economies for coal mining communities in Appalachia, and sees potential parallels with agriculture. When faced with questions around safety of miners, the companies turned to automation rather than creating safer jobs, says Doshi.

When faced with questions around safety of miners, mining companies turned to automation rather than creating safer jobs. 

“It did make mining much more efficient; it saved a number of costs. And you had mining happening at all times of the day. It basically extracted the value of that industry completely for the owners and operators. You saw a huge drop in employment, and for a lot of mining communities, whether it’s in Appalachia, New Mexico, or other areas, there was no alternative economic pathway for a lot of those communities,” said Doshi. “They didn’t get other jobs within the industry, which is what is being promised in agtech. And they did not move up the career ladder.”

Instead, the mining companies, which tended to be based outside the communities where the mining takes place, have all moved their own higher-level employees in to run the machines.

Doshi is concerned about this pattern being replicated within agriculture, where immigrant communities play a larger role. “The consequences aren’t just people being put out of jobs. It’s people being pushed out of their homes, their country, their communities,” he said. “It is definitely possible to have dramatically cascading effects on communities and regions for what automation does.”

He has been tracking the rise of agtech outside the U.S., where it’s being funded by many of the same large foundations that have brought genetic engineering to the developed world. Doshi believes that, globally, investment in agtech is “going to be as pervasive as biotechnology,” using a similar narrative of food security and efficiency.

Doshi has spent time studying healthcare, education, and other industries that have been radically changed by technology, and hopes to bring a range of stakeholders—from industry representative to academic institutions, foundations, investors, and grassroots community organizers—into a single conversation about how to take workers and communities into account while adopting tech solutions in agriculture. The ultimate goal is a set of principles, or a code of conduct that can help guide the industry.

Doshi is looking toward other efforts like UNICEF’s innovation principles and the Digital Impact Alliance, which has created principles for digital developmentthat helped shape investment in the space.

“I’m not trying to be predictive. We’re trying to be considerate and strategic about how to take care of our communities, how to take care of our food systems, and how do we look at sustainability and value across both of those domains over time,” said Doshi, who has also worked as a Senior Scientist at USAID, and for the San Mateo Food System Alliance and California Alliance for Family Farms (CAFF) in recent years. The goal, he says, isn’t to stop technology in its tracks, but to widen the conversation to include workers and smaller farmers who don’t benefit from the same kinds of tech.

“There are many technologies that can genuinely benefit small-scale, medium-scale family farms,” he said. “And if we can even the playing field in terms of the utility and efficacy and equity within these technologies and distribute the value that’s provided so that it’s not just large-scale investment into large scale applications that then [only] benefits industrial farming and agriculture.”

While the pandemic has slowed down Doshi’s process, he hopes to convene digital conversations about what it would take to develop a code of ethics in agtech—and get buy-in from investors and governments, using mechanisms like the Digital Impact Alliance, the World Economic Forum and other convening agencies and coalitions.

 

Farmworkers pick strawberries in 2019. (USDA photo by Lance Cheung)

A Monocrop of Movement 

It’s hard to talk about replacing workers with automation without looking squarely at the very real physical cost of farm labor.

Flavio Carnejo, a family physician who works with strawberry and raspberry pickers in central California’s Pajaro Valley, described it well in a TEDxFruitvale presentation in 2011, in which he lists the types of pain, swelling, and spasms that occur in the worker’s wrists, shoulders, and backs, as well as longer-term effects, like compression in the sciatic nerve, degenerative joint disease, and arthritis, that farmworkers endure years before most other people do.

“Strawberries are picked stooped over, and our bodies are just not designed to do that for so long. You don’t have to be a physical therapist to realize there’s going to be a tremendous amount of damage that’s going to happen to the physical body,” he said. “You touch the back of some farmworkers and they feel like they have rods running up their backs—even years later.”

But it’s not clear that replacing people on the land is the best—or only—way to avoid these problems. And it’s hard not to compare the environmental challenges that come up in agricultural monocrops with the monocrop of movement we see in today’s produce fields. While science points to a diversity of crops as fundamentally better for the environment—it means fewer pests, healthier soil, and cleaner water, for instance—it’s also clear that a diversity of tasks and movement has benefits the human body and brain.

“There’s a lack of acknowledgment that the repetitiveness of the motion, which causes physical injuries and then allows for robotic interventions, is really symptomatic of the plantation structure of current agricultural practices,” said Emily Reisman. “Everyone acknowledges that this model is problematic ecologically and socially. And yet somehow we have no choice but to use the plantation to overcome it.”

If the industry weren’t trying to replicate what has been done in factories and other industrial settings on farms, she adds, they may find themselves asking, “what would it take to make economically viable agricultural work that fosters more diversity, or is more intellectually and creatively fulfilling? What would it take to make farm work a pursuit that enriches every life it touches?”

“We know that so many people are desperate for some kind of physical connection to the Earth—not only for their own health, but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 sense of place and purpose,” she adds.

Meanwhile, Eduardo, the son of farmworkers, is holding out hope that he’ll get to help make Salinas a place where he and his peers in tech can pursue their own sense of purpose. And if automation becomes the norm on Central Valley farms, it won’t be all that different than the changes that drove his parents to the U.S. in the first place.

“Immigrants—we don’t do one thing,” he said. “Farm labor is obviously a huge thing we do. But there are a lot of immigrants that work in restaurants and lot of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And we might just have to adapt.”

728x90

'농담 > 농업 전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가 세계의 농지를 경작하는가  (0) 2020.12.01
일본의 벼농사 상황  (0) 2020.12.01
통계의 함정, 식량자급률  (0) 2020.04.13
바질 수확기  (0) 2020.03.05
시대별 농업 생산성 향상  (0) 2020.03.04
728x90
아이오와 대학의 새로운 연구에 의하면, 미국의 농민과 농업노동자 들의 자살 건수는 1980년대 농장의 위기가 끝난 이후로도 계속 높은 편으로 다른 분야의 노동자들보다 훨씬 높은 수치라고 함.

이 연구에서 1992-2010년까지 전국의 농민과 농업노동자들에게 일어난 자살과 살인사건을 조사한 결과, 그 기간에 자살한 사람들이 230명이었다고 함. 연간 자살률은 10만명당 0.36명에서 10만명당 0.95명으로 나타나, 다른 부문의 노동자들이 10만명당 0.19명인 데 비해 높았다고 함.

1980년대는 농장을 압류 당하는 등의 일로 가장 많은 농민들이 자살한 것으로 유명한데, 당시엔 1000명 이상의 농민이 자살을 택했다고 함. 그에 비하면 높은 수치는 아니지만, 다른 분야와 비교하면 여전히 심각한 상황이라는 연구진의 이야기.

연구진은 현재도 1980년대처럼 특히 경제위기 이후 재정 문제로 극단적 선택을 하는 경우가 많고, 거기에 기후변화로 인한 요인이 추가되었다고 함. 농업이란 일이 육체적으로 고된 건 사실인데, 그외에도 정신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시설 등이 부족한 것이 문제를 악화시키고 있다고 함. 또한 살충제에 노출되면 우울증을 일으키기 쉽다는 연구도 있단다. 이들이 농장을 지키기 위해 소유한 총기를 이용해 쉽게 자살을 택하는 것도 문제라고.

연구진에서는 해결책으로 농촌 경제의 개선, 농촌 지역의 사회적 연결망 확대, 농촌 지역의 보건 및 정신건강 서비스 향상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함. 이와 함께 농촌 지역에서도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예술과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멀리서 보기엔 잘 살고 있는 것만 같은 미국 농민들도 가까이에서 들여다보면 한국의 농민들과 별반 사정이 다르지 않은 것 같다. 농민들의 자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처방으로 제시하고 있는 안들도 모두 한국에서도 유효할 것 같은 조치들이다. 1990년대 중반, 미국의 농촌에 유전자변형 작물이 대규모로 도입되었던 건 이러한 사회, 경제적 배경 때문이었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나름 어려운 상황을 타개할 돌파구가 필요했는데 그걸 농기업에서 아주 매력적인 상품을 들고 와 선전하고 전해주니 혹 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자세한 내막이야 알 수 없지만.


위의 내용은 여기를 참조. https://now.uiowa.edu/2017/06/long-after-80s-farm-crisis-farm-workers-still-take-own-lives-high-rate


728x90
728x90

file:///C:/Documents%20and%20Settings/%EA%B9%80%EC%84%9D%EA%B8%B0/My%20Documents/Downloads/IOM+MRTC+RR+2013-07.pdf




농가인구의 감소와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국내 농업분야는 점차 극심한 인력난을 경험할 것으로 보인다. 낮은 임금과 열악한 근로환경으로 인해 내국인이 농업분야 취업을 기피하면서 국내 농업은 점차 외국인력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농업분야는 타 분야에 비해 낮은 임금과 힘든 육체적 노동으로 인해 외국인 근로자 역시 기피하는 분야이고, 계절적 요인으로 인해 업무량이 불규칙하고 일부 작물재배 업종은 계절별 인력수요 차이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 이 연구는 외국인의 국내 농업분야 취업현황과 근로환경, 농업경영인의 외국인력 활용실태와 외국인 고용에 따른 애로사항을 살펴보고, 현행 제도정비 방안을 제시한다. 경기도 4개 지역(고양, 안성, 이천, 포천) 외국인 근로자, 농업경영인, 관련 공무원과의 면접조사를 통해 농업현장을 살펴보고, 경기도 농업경영인 대상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외국인력 활용의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한다.



728x90

'곳간 > 문서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프리카의 농업 2  (0) 2014.07.04
아프리카의 농업 1  (0) 2014.07.04
감자  (0) 2014.06.16
감자 품종-두백  (0) 2014.06.16
도시농업과 식량안보  (0) 2014.06.04
728x90



이주농업노동자 Odilia Chavez(40) 씨와 이야기를 나누었다.

Lauren Smiley 씨가 스페인어를 통번역했다. 

I’m Odilia Chavez, a 40-year-old migrant farm worker based in Madera, California, the heart of the fertile Central Valley. I’m also a single mother of three: my 20-year-old eldest son came and joined me in 2004, crossing with a coyote. My son is now at the university, studying political science. The younger two were born here — American citizens.

I grew up in Santiago Yosondua, Oaxaca, in southern Mexico. I went to school through third grade, my dad was killed when I was 11, and we didn’t even have enough food to eat. So I went off to work at 12 in Mexico City as a live-in maid for a Spanish family. I’d go back each year to Oaxaca to visit my mom, and the migrants who’d come back from the United States would buy fancy cars and nice houses, while my mom still slept on a mat on the floor in our hut. A coyote told me he could take me to the United States for $1,800. So I went north in 1999, leaving my four-year-old son behind with my mother. I was 26.


We crossed through the desert into Arizona, hiding from the border patrol. I finally arrived in Madera in March of 1999, and I moved into a boarding house for migrant farmworkers.

I’d never worked in a field. It was really hard at first — working outdoors with the heat, the daily routine. But I’ve certainly learned. In a typical year, I prune grapevines starting in April, and pick cherries around Madera in May. I travel to Oregon in June to pick strawberries, blueberries and blackberries on a farm owned by Russians. I take my 14-year-old daughter and 8-year-old son with me while they’re on their summer break. They play with the other kids, and bring me water and food in the field. We’ll live in a boarding house with 25 rooms for some 100 people, and everyone lines up to use the bathrooms. My kids and I share a room for $270 a month.

I head back to Madera in August for my children to start school. We own our house now — paid off in April! I reached the American dream — ha — thanks to the help of the father of my youngest son, who died in 2007 after he returned to Mexico after a problem with immigration authorities and was killed while working as a policeman. In Madera, I pick grapes that will be made into raisins in September, usually rest in October. In November, I travel each day to Stanislaus County to work planting trees in a nursery until February.

On all the harvests, men and women work side-by-side doing the same job, and women work just as fast as the men. I’ve been harassed one time: when a boss who drove us out to the field every day wanted to hug me, and said he wouldn’t charge me the $8 a day for the ride if I’d go out with him. (Most of us don’t have driver’s licenses, so the contractors organize rides to work.) I left the job. In California, especially in Fresno and Madera counties, there’s an abundance of farm jobs. So you don’t have to do one you don’t like.



Odilia Chavez



Chavez harvesting raisin grapes near Madera California in 2011.



Harvesting cherries in Fresno County in 2010.



Carrying irrigation pipe lines near Hickman Ca. 2011.




I’ve seen on the news that some Congress members or American citizens say undocumented workers are taking their jobs. We’re not taking their jobs. In the 14 years I’ve been here, I’ve never seen an American working in the fields. I’ve never seen anyone work like Mexicans. In restaurants and construction, you’ll find Salvadorans and Guatemalans, but in the fields, it’s almost all Mexicans.

The work is hard — but many jobs are hard. The thing that bothers me more is the low pay. With cherries, you earn $7 for each box, and I’ll fill 30 boxes in a day — about $210 a day. For blueberries, I’ll do 25 containers for up to $5 each one — $125 a day. With grapes, you make 30 cents for each carton, and I can do 400 cartons a day – $120 a day. Tomatoes are the worst paid: I’ll pick 100 for 62 cents a bucket, or about $62 a day. I don’t do tomatoes much anymore. It’s heavy work, you have to bend over, run to turn in your baskets, and your back hurts. I say I like tomatoes — in a salad. Ha. With a lot of the crops, the bosses keep track of your haul by giving you a card, and punching it every time you turn in a basket.

I wish they would be more considerate of what we’re doing with the pay rate. They’re a little cheap: 31 cents for a carton of grapes. I would like another two or three cents a carton, because it’s really hard and heavy work. I’ve never worked a union contract job — a lot of them are in tomatoes or oranges — but if anyone doesn’t want to pay you, the United Farm Workers of America where I’m a volunteer, will help you get paid.

I’m very fast. In jobs where you’re doing delicate things, like pruning plants, they don’t want you rushing, so they pay you by the hour. But harvest jobs are usually paid by the quantity you pick. I prefer it that way — you have to run, but you can get home faster. We get there at 6:00 in the morning and, if I rush, I take a break at 1:00, drink and eat something, then work for another hour and head home. You pick the amount of hours you want to work, and you try not to take a lot of breaks so you can earn more. Some people will go until 5:00 in the afternoon and want to work and work, but I have my kids.

You come home really tired. I’ll come home, take a shower, put lotion on my hot feet, and be ready for the next day. I’m usually in bed by 9:00 to get up at 3:00 or 4:00 in the morning to make and pack some tacos for the day. Also, undocumented workers don’t have any medical insurance — so the majority of us just buy over-the-counter pills for any problems. Luckily, I haven’t had many health issues yet.

Some contractors think they can abuse you because you’re undocumented. one time, a contractor who was an American citizen with Mexican parents called me a no-good illegal, and claimed he was going to call immigration on me. I said, “Send ‘em over, I’ll be waiting!” I left that job.

We all want immigration reform. First, I’d get a driver’s license, social security, and go see my mom in Mexico. (The last time I went was in 2008, and I had to cross the dessert again with a coyote to get back here — but it was the only option.) I would still work in the fields. I don’t know how to do anything else. A lot of workers haven’t gotten very far in school, and they can’t use a computer. What job are they going to do? We can’t get a better job. They were farmworkers in Mexico and we’re going to die as farmworkers. I do have a lot of pride in my work, though. It can be fun. We joke around.

I’m going to keep working as long as I can. My youngest son says he’s going to invent a robot to do the housework for me, and he’s going to earn a lot so we can buy our own ranch.

And yes, you can use my real name! Some undocumented people are scared, but I’ve never seen an immigration raid on a farm. (I hope they don’t start, either.) Agriculture is dependent on undocumented workers. We need the money from the farmers, and the farmers need our hands.

728x90
728x90

어느새 한국의 농업도 이주노동자가 없으면 운영되지 않을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아직은 한국인 농업인이 많지만 조만간 한국인은 관리자만, 이주노동자가 실질적인 생산 업무를 담당할 날이 올 것 같다. 다녀보면 도시 근교일수록 그러한 경향이 빠르게 진행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미국의 경우에는 멕시코인들이 주로 농업노동에 종사하고 있다. 나프타로 국내의 농업은 무너지고, 돈을 벌기 위해 목숨을 걸고 국경을 넘어 미국에서 이런 육체노동에 종사하는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이들은 사회적 약자의 위치에 놓일 수밖에 없다. 그건 한국도 마찬가지다(이 글도 참조). 특히나 인권이나 노동법 등에 대한 개념이 희박한 한국에서는 현재 그 상황이 더 열악하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인 농민들도 빈번하게 농약중독에 시달리는 판에 이주노동자까지 챙겨줄 여유가 있을까?


점점 더 늘어날 이주농업노동자들을 좋은 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하려면 농장주에게는 인권이라든지, 작업환경이나 노동조건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해야 하고, 노동자들에게는 자신의 권리가 무엇인지, 한국어 교실 같은 문화적인 부분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겠다.


더 나은 환경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이 우리가 먹을 때에도, 그리고 자연환경에도 더 좋을 것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   




Oxnard의 과일 따는 일꾼들. (사진: Alex Proimos/cc/flickr)

농업노동자와 그 지지자들이 이번주 워싱턴 DC에 와서 농산물을 수확하는 동안 농약에 노출되는 데에서 그들을 보호하라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공공청렴센터의 보고서에는 구체적인 목표가 나온다. 


미국 환경보호청 규칙의 노동자 보호기준은 약 250만 농업노동자를 대상으로 농약과 관련된 부상과 60만 농업 시설에서 농약을 다루는 사람의 위험을 줄이는 것을 의미했다. 

그러나 농약의 위험성이 더 잘 알려졌음에도, 환경보호청의 보호는 20년 동안 별로 새로워지지 않았다. 


“매년 2만 명의 농업노동자가 농약의 독성에 노출된다"고 농업노동자 정의 직업과 환경 국장 Virginia Ruiz 씨는 말한다. “이러한 부상, 질병, 죽음은 농업노동자와 그 가족을 보호하는 필요한 조치를 통해 예방할 수 있다”고 그녀는 이어서 말한다. 

농업노동자 정의는 새로운 보고서 <노출과 무시: 어떻게 농약이 전국의 농업노동자를 위험에 빠뜨리는가(Exposed and Ignored: How Pesticides are Endangering Our Nation’s Farmworkers)>에서 이러한 위험의 일부를 분석한다. 거기서에는 농약 노출로 문제가 된 건강 문제를 나열한다. 


단기적(급성) 영향은 눈 따가움, 발진, 물집, 실명, 메쓰거움, 현기증, 두통, 혼수상태, 심지어 사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장기적 건강 영향은 불임, 기형아, 내분비계 장애, 신경 장애, 암과 같이 늦게 지연되거나 곧바로 나타나지 않는다.


이번주 The Hill의 논평에서 농업노동자 정의의 대표 Bruce Goldstein 씨는 이렇게 적었다.


늘 작물과 함께 작업하는 특성상 일부 직업적 위험을 수반하게 된다. 그러나 농업노동자는 우리가 현재 제공하는 빈약한 보호조치보다 더 귀한 대접을 받을 가치가 있다. 노동자 보호기준을 간단히 수정하여 농장에서 더 자주 철저히 안전교육을 해서 노동자는 자신이 다루는 특정 농약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야 하고, 독성 농약을 취급하는 노동자의 의학적 관찰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농약의 표시를 스페인어로 번역할 필요가 있으며, 농약을 항공살포하는 곳에서 농업노동자들의 지역사회를 보호하기 위해 학교와 거주지 근처에는 완충구역을 둬야 한다. 이러한 기본적 보호가 우리의 밥상에 날마다 음식을 올리기 위해 일하는 남성과 여성을 위해 거의 보증되지 않고 있다.


“사람들이 자신의 운동화가 아시아에서 아동노동으로 생산되면 걱정하는 것과 같다”고 미시간 주 농업노동자 법률서비스의 변호사 Tom Thornburg 씨는 말한다“그들은 또한 자신이 먹는 블루베리가 농업노동자들을 중독시키는 환경에서 생산되는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https://www.commondreams.org/headline/2013/07/17-10

728x90
728x90

개인 농장은 이주농업노동자를 쥐어짜며 돈을 벌고, 

대기업 농장은 비정규직 농업노동자를 쥐어짜며 돈을 번다. 


누군가의 희생과 착취라는 점에서는 하나도 다를 바가 없어 보인다. 


대기업의 농업 진출 반대만이 아니라, 농업계 스스로도 정당한 노동환경을 만들자는 목소리가 나와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기사가 연달아 2개나 보여 함께 올린다. 

---------


두 캄보디아 여성은 왜 농장에서 도망쳤나



김사강 이주와인권연구소 연구위원  


'스탑 크랙다운'이라는 밴드가 있었다. 서울역 앞 가설 무대에서 '스탑, 스탑, 스탑, 크랙다운'(단속 추방 중단)을 경쾌한 펑크 사운드에 실어 외치던 이 밴드의 멤버들은 모두 이주노동자들이었다. 밴드의 보컬로 '단속 추방 중단'을 외치며 인기를 끌었던 미누(미노드목탄) 씨는 자신의 노랫말과 정반대로 지난 2009년, 네팔로 단속 추방 당했다.

88올림픽 이후 '코리안 드림'을 꿈꾸던 각국의 노동자들이 본격적으로 한국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이 때문에 한국의 이주노동자 역사는 얼추 25년이 됐다고들 한다. 그러나 착각이다. 한국인들의 형, 누나, 부모는 과거에 이주노동자였다. 중국으로, 독일로, 일본으로, 미국으로 일거리를 찾아다니던 한국인들의 역사까지 합하면 한국의 이주노동 역사는 100년을 훌쩍 넘긴다.

그러나 2013년, 한국 내 이주노동자 현실은 처참하다. 2007년 여수 출입국관리사무소 화재 참사로 이주노동자 10명이 사망하면서 사회적 관심을 끌었지만, 그뿐이었다. 노동 환경은 통제돼 있고, 이를 악용한 '인종·인권 차별'은 전국 곳곳에서 심심치 않게 발생하고 있다. 언론에 잘 등장하지 않을 뿐이다. 정부는 뒷짐만 지고 있다. 오히려 '강제 추방'을 실적화한다. 지금 이 순간에도 수많은 '미누'들이 말 못할 통제 속에서 인권 침해에 시달리다 해외로 추방되고 있다.

1993년 산업연수생 제도를 도입한 이후 편법 활용과 인권 침해 문제 등이 야기되면서 고용 허가제가 이를 대체했다. 고용 허가제가 시행된 지, 오는 8월 17일이면 9년이 된다. 연수생 신분으로 각종 불이익을 감내하던 이주노동자들의 신분은 다소 개선됐다는 평이 있긴 하지만, 이들은 여전히 파리 목숨이다. 회사를 마음대로 옮길 수도 없고, 회사에서 잘리면 불법 체류자로 전락한다. 심지어 아무리 일을 열심히 하더라도 회사 상황에 따라 불법 체류자로 전락할 가능성은 상존한다.

현행 고용 허가제의 문제는 무엇이고, 대안은 어떻게 마련해야 할까. '이주노동자 차별 철폐와 인권·노동권 실현을 위한 공동행동(공동행동)'과 <프레시안>은 고용 허가제 시행 9년을 되짚는 기획을 마련했다.

공동행동은 민주노총, 서울경인이주노조, 한국이주인권센터, 사회진보연대, 다함께, 전국학생행진, 공익변호사그룹 공감, 민변 노동위원회, 인권단체연석회의, 아시아의창, 아시아의친구들, 지구인의정류장 등 30여 개 이주, 노동, 사회 단체들이 함께하는 연대체다. <편집자>

고용 허가제 9년
 '일회용 인간'에게 강제 노동시키는 한국…언제까지?
② 이주노동자의 한탄 "노예시장에서 노예 고르듯…"
③ 사장은 "야!개X끼"라 부르고, 맞아도 직장 못 바꾸고

지난 6월 15일 저녁 7시 30분, 두 명의 캄보디아 여성 노동자가 전라남도 담양의 한 농장에서 고용주의 눈을 피해 몰래 숙소를 빠져나왔다. 버스 정류장까지는 걸어서 30분 거리, 버스는 한 시간에 한 대꼴로 다녔다. 자신들이 사라진 걸 알아챈 고용주가 언제 버스 정류장으로 잡으러 올지 모른다는 생각에 두 사람의 마음은 급해졌다. 무턱대고 도로에 나가 지나가는 차들을 향해 손짓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미 어스름이 내리기 시작한 시골길을 달리는 차들은 두 사람을 무심하게 지나쳐갔다.

시간이 얼마나 흘렀을까. 미친 듯이 손을 흔들어 대고 있던 두 사람 앞에서 시외버스 한 대가 속도를 늦췄다. 두 사람은 커다란 짐 가방을 끌고 저 앞에서 후미등을 깜박이고 있는 시외버스를 향해 걸음을 재촉했다. 버스에 올라 자리에 앉으니 후들거리던 다리에 힘이 풀리면서 눈물이 났다. 한국에 온 지 1년, 사시사철 하루도 빠짐없이 비닐하우스에 쭈그려 앉아 딸기와 토마토를 따고, 포장을 하고, 농약을 치던 고된 노동의 나날이 끝나는 순간이었다.

두 사람은 2012년 6월 4일, 같은 비행기를 타고 한국에 왔다. 2박 3일 동안 수원에 있는 농협 교육장에서 간단한 한국어와 기능 교육, 안전 교육 등을 받았다. 교육이 끝나고 바로 계약을 체결했던 전라남도 담양의 농장으로 보내졌다. 다음 날 새벽, 해도 뜨지 않은 5시에 일은 시작되었다. 다섯 시간 동안 꼬박 딸기를 따고 나서야 아침을 먹을 수 있었다. 밥을 먹고 나서 채 한숨 돌리기도 전에 이번에는 토마토가 이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초여름의 하우스는 더웠고 농약이 묻은 딸기와 토마토 잎사귀들은 사정없이 팔뚝과 종아리를 찔러댔다. 하루 만에 피부가 벌겋게 일어났다.

이튿날부터는 새벽 4시에 일을 시작했다. 중간에 두 번, 아침과 점심을 먹는 동안 30분씩 쉬는 것을 제외하고 하루 14시간 가까이 일을 하면서 한 달이 지났다. 계약서에는 월 103만5000원을 주겠다고 되어 있었지만, 고용주는 수습 기간이라는 이유로 90만 원을 임금으로 지급했다. 계약서에는 한 달에 휴일이 이틀이라고 되어 있었지만, 고용주는 지금은 바쁘니 휴일 없이 일하고 가을이 되면 매주 휴일을 주겠다며 참으라고 했다. 그렇게 두 달이 흘렀다. 부풀어 오른 피부는 쉽사리 가라앉지 않았다. 두 달 동안 기회만 있으면 고용주에게 병원에 가고 싶다고 했는데 8월이 되어서야 병원에 갈 수 있었다. 무언지도 모르는 주사를 맞았다. 의료보험이 없던 두 사람이 주사 한 대를 맞고 내야 했던 돈은 7만 원이었다. 함께 갔던 고용주가 병원비를 내주었다. 대신 8월 월급은 83만 원이었다.


 경기도 이천시 부추 비닐하우스에서 부추를 수확하고 있는 캄보디아 여성 노동자들. ⓒ김사강

여름이 지나니 일을 시작하는 시간이 조금 늦춰졌다. 오전 6시부터 저녁 7시까지, 점심시간 1시간을 빼고 12시간을 일하게 되었다. 하지만 약속했던 휴일은 오지 않았다. 달력에 동그라미까지 쳐놓고 약속했던 휴일에도 고용주는 아침이면 방문을 벌컥 열고 들어와 나와서 일을 하라고 했다. 아침도 점심도 거르고 꼬박 여덟 시간을 일하면 그때부터 쉬라고 했다. 그게 휴일이라고 했다. 그렇게 휴일 같지 않은 휴일을 한 달에 네 번씩 주면서 고용주는 계약보다 이틀이나 휴일을 더 준다고 생색을 냈다.

해가 바뀌고 2013년이 되니 고용주는 이제부터 110만 원을 주겠다고 했다. 3월에 또다시 새벽 3~4시부터 저녁 7시까지 하루 14시간이 넘는 노동이 시작되었다. 고용주는 일이 많아졌으니 월급을 10만 원씩 더 주겠다고 했다. 하지만 딱 2개월이었다. 딸기와 토마토가 가장 바쁜 5월, 새벽마다 코피를 쏟고 일하는 내내 속쓰림에 시달리며 한 달을 보낸 뒤 받은 월급은 다시 110만 원이었다. 더 이상 이렇게 일할 수는 없다고 생각했다. 6월 15일, 일을 마치고 고용주에게 어렵사리 말을 꺼냈다.

"이제 1년 지났어요. 우리 농장 바꾸고 싶어요. 3시, 4시 일 시작해요. 우리는 힘들어요."

고용주는 화를 버럭 냈다.

"어디 다른 데 가면 딸기밭에서 3시에 안 일어나는 데가 있는 줄 알아? 원래 시골에서는 다 그런 거야. 이거는 노동법에도 다 나와 있어. 여기서 일하기 싫어? 그럼 캄보디아로 가. 나는 다른 데 가는 거는 사인 못 해줘. 니들이 어디 다른 데서 일자리 구할 수 있을 줄 알아? 이제 딸기 다 땄으니까 마음대로 해. 캄보디아 가고 싶으면 가."

그때였다. 도망을 치더라도, 불법이 되더라도 이곳을 그만둬야겠다고 생각한 것은.

열악한 노동 조건, 유일한 탈출구는 이탈?

지난 5월 말, 이주노동자를 고용하고 있는 농가를 방문해 고용주들과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있었다. 고용주들은 이구동성으로 이주노동자들이 없으면 농사를 접어야 할 상황이라며 현재 농촌이 겪고 있는 인력난을 호소했다. 용역 회사를 통해 사람을 쓰면 일당이 8만 원에서 10만 원인데 그나마 요즘 사람들이 농업을 기피해서 구하기 쉽지 않고, 예전에는 쉽게 구할 수 있던 동네 할머니들도 이제는 나이가 들어서 일을 못한다고 했다. 그러다보니 엄청난 경쟁률을 뚫고 어렵사리 구한 이주노동자들을 상전 모시듯 떠받들며 농사를 짓고 있다고 했다.

하지만 고용주들이 '상전'이라고 표현한 이주노동자들의 노동 조건과 생활 환경은 열악하기 짝이 없다. 하루 평균 노동 시간은 10시간이 넘는데 임금은 노동 시간과는 무관하게 주 44시간 기준 최저임금인 월 110만 원(법정 최저임금 109만8360원에서 1000원 단위 올린 금액)이 기본이다. 일이 바쁠 때는 10만~20만 원을 더 지급한다고는 하지만 어디까지나 고용주 마음이다. 130만~140만 원을 준다고 한 고용주들은 알고 보니 20만~30만 원씩을 숙박비로 제하고 있다.

농축산업 이주노동자들 대부분은 검은 차양막을 친 비닐하우스 안에 패널로 지은 숙소나, 노지 한가운데 덩그러니 놓여 있는 컨테이너 숙소에서 생활한다. 분뇨를 퍼내지 않아서 아예 쓸 수도 없는 재래식 화장실에 물도 빠지지 않는 간이 샤워실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미나리 농장에서 만난 네팔 노동자는 밤이면 문틈으로 뱀이 들어온다고 했고, 양돈 농장에서 만난 베트남 노동자는 파리가 너무 많아서 자기 전에 휴지로 귀를 막아야 한다고 했다. 그런 숙소를 서너 명이 같이 쓰게 하면서 1인당 20만 원씩 받는다는 고용주들을 보면 상전은커녕 머슴도 그렇게는 대접하지 못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고용주들은 이탈하는 이주노동자들을 강하게 비난한다. 기껏 힘들게 고용 허가를 받아 데리고 왔는데 1년도 못 채우고 가겠다고 하고, 자식처럼 정을 줬는데 다른 농장에서 5만 원, 10만 원만 더 준다고 하면 옮겨 달라고 하니 못살겠다고 한다. 그러면서 비자 기간 3년 동안 세 번의 사업장 변경을 허용하는 현행 고용 허가 제도를 바꿔 아예 한 번이라도 옮기면 바로 출국시키는 법을 만들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하지만 고용주들도 인정하듯 "한국 젊은이들은 일주일도 못 버티는" 농촌에서 그나마 장시간 고강도 노동을 견디며 최저임금을 받고 일하는 사람들은 이주노동자들이다. 이들이 조금이라도 나은 조건의 농장을 찾아 떠나는 것을 누가 비난할 수 있을까.


충청남도 홍성군 양돈 농가의 벽에 베트남 이주노동자들이 써놓은 글. 돼지들에게 주사할 약의 이름과 용량 아래 "배트남 사람입니다", "베트남 사람 좋아요"라는 낙서가 보인다. ⓒ김사강

근로기준법도 보호하지 않는 농축산업 노동자

노동자의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하는 최소한의 기준이 되는 법은 근로기준법이다. 2004년 고용허가제가 도입되면서 이주노동자들도 근로기준법의 적용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농축산업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은 내·외국인 할 것 없이 몇 가지 조항이 적용되지 않는다. 근로기준법 제63조가 근로 시간, 휴게, 휴일에 대한 동법의 규정들이 농축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노동자들에게 적용되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노동의 대상이 자연물이고 업무가 기상이나 계절 등 자연적 조건에 강하게 좌우되는 원시적인 산업이라는 것이 그 이유이다.

하지만 근로기준법이 제정된 1953년으로부터 60년이 지난 2013년의 농업은 더 이상 원시적인 산업이 아니다. 비닐하우스에서는 겨울에도 채소를 키워내고, 양계나 양돈, 버섯 농가는 아예 공장 같은 시설을 갖추고 운영되고 있다. 기상과 계절에 좌우되는 곳은 일부 노지 채소 농장일 뿐이다. 고용주들은 농업이 제조업과 달리 하루 8시간, 주중에만 일해서는 유지될 수 없다고 한다. 한창 제철인 채소들은 반나절만 지나도 쑥쑥 자라기 때문에 해 뜰 때부터 해 질 때까지 김을 매고 거둬줘야 하고 닭과 돼지를 일요일이라고 굶길 수는 없으니 휴일 없는 장시간 노동은 불가피하다고 한다.

맞는 말이다. 하지만 일한 시간만큼 임금을 주고, 번갈아 가면서라도 휴일을 쓰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전처럼 긴 농한기는 없더라도 수확이 끝나고 다시 파종하기까지 며칠이 빌 수 있는데, 그 기간마저 노동자들을 이웃 농가에 꾸어줘 가며 기계처럼 돌릴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근로기준법의 적용 제외 규정은 때때로 농축산업 노동자에게는 아예 노동 관계법 전체가 적용되지 않는다는 오해를 낳기도 한다. 일부 고용주들은 시간외수당은 물론이고 건강보험도, 산재보험도, 심지어 최저임금도 농축산업과는 아무 상관이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면서 이주노동자들은 다들 젊기 때문에 아프지도 않고, 농장 일은 공장 일과 달라 사고 위험도 없으며, 심지어 물 맑고 공기 좋은 데서 일하니 더 건강해지지 않겠느냐고 한다. 이들에게는 만성적인 근육통, 위장병, 피부병, 호흡기 질환에 시달리거나 농기계와 농기구 사고로 산재를 당하는 이주노동자들이 보이지 않는 것일까.

이주노동자 발목 잡는 고용 허가제

수많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그나마 고용 허가제가 이전의 산업연수생 제도보다 나아진 점은 이주노동자를 연수생이 아닌 노동자로 인정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농축산업에 종사하는 이주노동자들은 여전히 반쪽짜리 권리밖에 누리지 못하고 있다. 그러면서 고용 허가제의 업종 변경 금지와 사업장 이동 제한, 고용주의 일방적인 이탈 신고 등으로 더 나은 노동 조건과 환경을 찾아갈 자유마저 제약당하고 있다.

일한 만큼 정당한 대가를 받고, 몸과 마음을 재충전할 수 있는 충분한 휴식을 갖는 것은 권리이기 이전에 생존과 생활의 문제이다. 노동자는 사람이다. 이주노동자도 사람이다. 수십 년 넘게 외쳐온 이 명제가 농축산업에서는 아직도 새롭다.




---------

아시아 최대 규모의 대기업 유리온실 농장, 직접 가보니 ‘농장 아닌 공장’


화옹 유리온실 단지. 뒤로 보이는 하얀 터널처럼 생긴 부분이 유리 온실로 가로 길이만 712m에 달한다.

동부팜화옹이 운영하고 있는 화옹 유리온실 단지의 전경이다.ⓒ민중의소리




대기업인 동부그룹의 자회사인 동부팜화옹이 운영하는 화옹유리온실단지는 농민들이 땀 흘리며 농작물을 수확하는 농장의 모습이 아닌 기계로 물건을 찍어내는 공장의 모습이었다.

아시아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화옹 유리온실단지는 2009년 발표한 이명박 전 대통령의 ‘농어업 선진화 정책’에 의한 사업 중 하나다. 농어업 선진화 정책의 일환인 기업농 육성의 시범기업으로 선정된 동부그룹은 총 매립면적 약 1,879만평(6,212ha)의 화옹 간척지에 약 232만여평(768ha)의 대규모 농산물 생산 및 체험 단지인 에코팜랜드를 조성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그 일부로 화옹 유리온실단지를 먼저 착공해 지난해 12월 완공했다.

대기업인 동부그룹이 대규모 유리온실 단지를 만들어 토마토를 생산하기 시작하자 농민들은 반발했다.

농민들은 막강한 자본력을 가진 대기업이 농산물 생산에 뛰어들면 가격경쟁력에서 불리한 일반 가족농가는 붕괴되고 나아가 식량안보까지 위협당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동부그룹의 농산물 생산을 반대하는 전국농민회총연맹(이하 전농), 전국토마토생산자연합회 등 농민단체들은 동부그룹 제품 불매운동을 벌이는 등 강력하게 저항했다.

이에 동부그룹은 지난 3월 26일 화옹 유리온실 사업을 중단한다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하지만 4개월 가까이 지난 뒤에도 화옹 유리온실은 전체의 절반인 1만5천평에서 토마토가 올해 첫 수확물을 내고 있었다.

논란이 된 화옹 유리온실단지는 서울에서 자동차로 1시간 반 정도 걸리는 화옹 간척지에 위치하고 있다. 화옹 간척지에서 유일하게 완성된 건조물인 화옹 유리온실은 보통 유리보다 투과율이 높다는 디아망(Diamant) 유리가 사용돼 하얗게 햇빛을 반사하고 있었다.

면적 4만5천평, 길이만 해도 712m에 달하는 축구장 두 개 크기의 화옹 유리온실단지는 카메라로 한 번에 담기도 어려울 정도로 엄청난 규모였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토마토 수확량은 계획대로라면 1년에 평당 165kg, 전체 면적으로 따지면 연간 약 5천톤에 달한다. 우리나라에서 일본으로 수출되는 토마토가 연간 2천톤 안팎인 것을 생각하면 엄청난 규모다. 

유리온실 내부는 자동화된 공장과 다름없었다. 무인 운반차량이 토마토를 온실과 연결된 선별장으로 가지고 오면, 거대한 로봇 팔이 토마토를 선별기의 컨베이어 벨트 위에 쏟아 넣고 있었다. 그 이외의 수확이나 포장 같은 일은 사람이 하고 있지만 단순한 토마토를 따서 바구니에 넣는 단순한 작업뿐이었다. 유리온실에서 일하고 있는 농민들은 농민이라기보다 자동화 기계의 일부처럼 보였다.

“대기업의 농산물 생산 진출은 식량안보 위협을 불러올 것




화옹 유리온실단지 내부에서 무인 운반차량이 수확한 토마토를 실어가고 있다.ⓒ민중의소리




단지를 둘러본 농민들은 끝없이 이어진 유리온실에 놀라고 온실 내 설치된 무인 자동화 설비를 신기해 하면서도 우려를 감추지 못했다. 이날 유리온싱을 찾은 가톨릭 농민회 이상식 회장은 “이런 최고급 시설을 갖춘 대기업의 유리온실이 들어서면 가족농업이 붕괴되고 농민들은 농업 노동자로 전락할 것”이라며 “그리고 나서 초국적 농업 기업이 시장에서 낮은 가격으로 경쟁하면 손해를 보지 않으려는 대기업을 농업에 손을 뗄지도 모르고 결국 식량안보가 위험해 진다”고 걱정했다.

전농 위두환 사무총장도 “규모는 자료로 봐서 짐작하고 있었지만, 자동화 시설에 신경이 쓰였다”며 “자동화가 될수록 사람이 하는 일을 기계가 하는 것인데 여기서 일할 농민조차 줄어들지 않겠느냐”며 비판했다.

이들은 이날 유리온실 답사를 허용한 것이 동부팜한농이 농업생산을 포기했다는 점을 눈으로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니냐고 예상하기도 했다.

실제로 유리온실은 계속 가동되고 있었지만, 운영 유지만 하고 있는 듯 보였다. 동부팜화옹 직원은 약 3만평의 유리온실에 1만5천평만 경작하고 있으며, 여기서 생산한 농산물의 1/3은 일본으로 수출되고, 1/3은 푸드뱅크 등을 통해 소외 이웃에게 무상으로 제공, 나머지는 파쇄‧폐기처분 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폐기되는 토마토를 본 충남지역 토마토생산자협의회 이은혁 사무국장은 “1/3이 폐기되는 양치고는 너무 적은 것이 아니냐”며 “여기서 생산된 토마토가 국내시장에 흘러들어가지 않는 것을 직접 확인하지 못했으니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화옹 유리온실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일용직으로 고용됐으며, 인근에서 농사를 짓고 있는 농민들이라고 동부팜화옹 직원은 전했다.ⓒ민중의소리


화옹 유리온실은 대기업 농산물 생산 진출의 시작일 뿐

현재 농식품부의 제안으로 화성시 농민단체가 영농조합법인을 설립해 화옹 유리온실단지를 동부팜화옹으로부터 인수하기 위한 실무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영농법인이 화옹 유리온실 지분 51%를 인수하여 경영권을 행사하고, 동부팜한농이 49%의 지분을 갖고 생산·유통을 맡아서 운영한다는 조건이다.

농식품부는 화옹 유리온실의 총 인수금액 500여억원의 51%인 275억원의 대부분을 농협에서 부담하고 각 농민단체가 5억씩을 출자하는 것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옹 유리온실단지 답사에 앞서 전농과 가톨릭농민회는 유리온실을 인수하려는 화성시 농민단체들과 짧은 간담회를 가졌다.

화성시 농민단체 중 하나인 HS영농조합법인 윤통일 대표는 “화성시 농민단체들이 온실단지를 인수해서 지역의 농민들과 상생할 수 있게 경영하려고 한다”며 “동부팜화옹은 지분을 하나도 안 들이기 원했지만, 기술과 운영 등의 어려움 때문에 우리가 기술을 익힐 때 까지 동부가 참여하도록 제안한 것”이라고 인수 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이에 위 총장은 “완전히 철수하겠다는 동부그룹을 화옹 유리온실의 운영의 계속할 수 있도록 농식품부가 바짓가랑이를 붙잡은 격”이라며 “또 기존 유리온실은 평당 70만원 정도의 비용이 드는데 화옹 단지는 평당 150만원 정도로 인수비용을 책정해 농민들의 돈을 동부그룹에 퍼주는 셈”이라며 우려했다.

이어 “화성시 농민단체가 화옹 유리온실을 인수하는 것을 막을 수는 없으나 동부그룹이 참여한다면 우리는 끝까지 반대할 것”이라며 “토마토 생산을 포기하겠다고 한 대기업을 이런 식으로 끌어들여 여지를 남겨둔다면 대기업의 농산물 생산을 막을 수 없다”고 경고했다.

간담회에 참가한 화성시 농민단체 중 일부는 전농이 “농어업 선진화 정책으로 이곳 화옹 간척지뿐 아니라 새만금‧고흥 간척지에도 각각 1천만평, 7백만평에 대기업의 농산물 생산 단지가 들어설 것”이라고 이야기하자 놀라는 눈치를 보이기도 했다. 

전농, 가톨릭농민회, 전국토마토생산자협의회 등은 향후 동부그룹이 농산물 생산에서 완전히 철수할 때까지 출하 저지 등의 활동을 할 계획이다.

동부팜화옹 직원과 이야기 중인 전농 위두환 사무총장

7월16일 화옹 유리온실 답사를 한 전농 위두환 사무총장이 동부팜화옹 직원에게 폐기예정 토마토 처리에 대해 묻고 있다.ⓒ민중의소리


728x90
728x90

미국의 농업노동자 문제. 75%가 건강보험이 없고, 그들 가운데 90%가 외국인이며 젊은 기혼자에 스페인어(멕시코인이 대부분)를 한다고. 번 돈의 대부분은 고국에 송금... 한국 농업의 미래를 보는 듯하다. 문제는 한국에 와 있는 이주농업노동자들의 노동환경은 더욱더 열악하다는 점. 우리도 서둘러 그들에게 제도적인 안전망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솔직히 이제 농업노동에 종사할 한국인이 누가 있는가? 이른바 더럽고, 힘들고, 저임금의 그 일을 말이다.

---------- 






New America Media, News Report, Viji SundaramPosted: Mar 21, 2013


미국에 고용된 농업노동자의 약 75%가 건강보험이 없고, 이는 다른 어떤 직업군보다 높은 비율이다. 

그들의 90% 이상이 이주노동자(대부분 멕시코)이고, 젊고, 기혼의 스페인어 사용자들이다. 그들이 농장에서 받는 돈은 고국의 가족들에게 송금한다. 

슬프게도 그들의 직업적 사망자는 "모든 산업군"의 노동자보다 5배나 높다고 Kresge 재단의 농업노동자의 건강 관련 불평등과 노동집약적 농업의 부활에 대한 새로운 보고서에서는 말한다. 

가장 취약한 고용인

캘리포니아의 농업노동자의 건강에 대해 주장하는 선임연구원 Don Villarejo 씨는 보고서를 만들었다. 캘리포니아는 가장 많은 수의 농업노동자를 고용하고 있다. 그들이 밀집된 지역은 Fresno와 Monterey, Tulare, Kern 카운티이다.

보고서에서는 "가장 취약한 고용인"들 가운데 180만 명의 농업노동자가 있다고 추산한다. 그들은 건강 관리와 건강보험에 접근하지 못하기에 건강 격차로 고통을 받고 있다.

보고서는 현재 그 어느 때보다 채소와 과일, 관상용 작물 같은 노동집약적 농업이 미국에서 증가하고 가족농이 줄어들면서 농업노동자 고용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고 강조한다.

고용주를 통해 보험혜택을 보는 농업노동자는 거의 없다. 또한 보고서에 따르면 일부는 이민자 신분 때문에 공공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사람도 적다. 

2007~2009년 실시한 전국 농업노동조사(NAWS)에서는 거의 모든 이민자가 취업증명서 없이 멕시코 남부와 중앙아메리카에서 온 사람들임을 보여주었다.  

Kresge의 보고서는 고용된 농업노동자의 대부분이 자신의 권리와 책임에 대해 잘 모른다고 지적한다. 예를 들어, 취업증명서가 없는 남성 농업노동자의 단 40%만 모든 피고용인에게 혜택이 있는 캘리포니아주의 산재보험에 대해 알고 있었다.  

“충분한 정보가 제공될 만큼 활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샌프란시스코에서 캘리포니아 농촌법률지원(CLRA) 프로그램의 토착농업노동자 프로젝트를 담당하는 Jeff Ponting 씨는 애석해 한다. 

권리를 거부당하다

“많은 고용인들이 농업노당자의 권리를 알지 못한다”고 캘리포니아 농촌법률지원의 Michael Marsh 씨는 말한다. 

많은 고용주들이 유급병가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농업노동자들은 자신의 일자리를 잃을까 두려워서 아픈 몸으로도 계속 일한다.

교통 문제와 언어와 문화적 차이만이 아니라 제한된 진료시간도 장벽을 만든다고 전국 농업노동조사에서 밝히고 있다. 

“우린 과일과 채소를 수확하는 노동자들 가운데 아픈 사람을 많이 보았습니다. 감기나 기침과 독감은 예사이죠”라고 Marsh 씨는 말한다. 그는 종종 그 농산물들이 씻지 않고 포장되어 시장으로 보내진다고 덧붙인다. 

일을 못할 정도로 아파야지만 응급실로 간다고 그는 이야기한다. 

농업노동자를 대변하는 사람들은 노동자들에게 건강보험을 제공하지 않는 한 캘리포니아가 튼튼한 농산업을 유지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보고서에서는 몇몇 대형 농장이 회사가 자금을 댄 진료소를 제공함으로써 고용된 농업노동자의 건강 격차에 대처한다고 말한다. Western Growers Assurance Trust는 2년 전 캘리포니아 살리너스에 Cedar Health와 Wellness Center를 열었다. 그곳은 하루 80명의 환자를 진료하고, 한 번 방문할 때마다 5달러의 진료비를 낸다. 

일부 다른 진료소는 상황에 따라 적당한 수수료를 부과한다. 그러나 “일부 농업노동자는 이조차 누리지 못한다”고 Marsh 씨는 진술한다. 

안전망, 전통치료사에 의존

캘리포니아의 건강정책 전문가 Joel Diringer 씨는  대부분의 경우 캘리포니아의 농업노동자들이 안전망만이 아니라 병원 응급실과 curanderos(전통치료사)가 있는 진료소에 의존한다고 이야기한다.

농업노동자의 건강에 대해 논문을 쓰기도 한 Diringer 씨는 캘리포니아가 360억 달러에 이르는 농산업을 보호하길 바란다면, 농업노동자들이 조기에 예방적 차원에서 관리할 수 있는 건강관리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경고한다.

오바마 케어에 예방치료가 포함되어 있지만, 취업증명서가 없는 사람들까지 적용되지 않는다. 

Diringer 씨는 오바마 대통령이 제안한 이민개혁정책이 농업노동자의 건강관리까지 해결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Kresge 재단의 건강프로그램 관리자인 David Fukuzawa 씨는 “건강한 식량체계 없이 건강한 음식을 먹을 수 없고, 그리고 거기에는 그것을 생산하는 사람들이 포함된다”고 덧붙였다.


728x90
728x90

영국도 농업 분야의 일자리는 이주노동자들로 채워지고 있다는 사실.

그런데 유럽연합에 가입된 국가에서 오는 이주노동자들은 피고용자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기에 더 편하고 나은 일자리로 이동을 하게 되고, 그 열악한 일자리에는 그렇게 보호를 받지 못하는 비유럽연합의 노동자들이 건너와서 채워야 한다고 한다. 그렇지 않으면... 농산물 가격이 상승하여 물가를 압박할 것이라고...


현재 한국에서도 비슷한 일이 일어나고 있다. 산업화된 국가에서는 어디나 공통적인 현상인가 보다.

이제 농업은 천역인가?

--------- 




농산업이 빠르면 내년이나 2015년부터 심각한 노동력 부족에 처할 수 있다.




이민자문위원회(MAC)는 우크라이나나 벨로루시, 몰도바 같은 나라에서 농업노동자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영국에서 재배하는 과일과 채소의 가격이 최소 15%는 상승할 것이라고 말했다.

영국의 6만7천 개에 이르는 계절농업 일자리 가운데 1/3이 현재 루마니아와 불가리아 사람들로 채워져 있다. 이들은 내년에 시작될 유럽연합의 피고용자 권리에서 승리할 경우 덜 힘든 일자리로 이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농산업은 빠르면 내년이나 2015년부터 심각한 노동력 부족에 처할 수 있고, 이는 신선채소 등의 가격이 오르도록 압박할 것이다. 

또한 슈퍼마켓에서는 더 많은 수입산 농산물을 들여올지도 모르고, 이로 인해 영국 농업에 더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MAC의 보고서는 Theresa May 내무부 장관이 상당한 수의 동유럽 노동자들이 들어오도록 허용 -주로 보수당이 지배하는 주로- 하거나 아니면 농업 분야에 노동력 위기를 일으키든지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고 한다. 

현재 계절농업노동자 제도(SAWS)에 따라 1년에 2만1250명의 루마니아인과 불가리아인들이 영국으로 최대 6개월까지 일하러 올 수 있다. 

MAC의 의장 David Metcalf 교수는 "만약 농업이 장기적으로 번성하고, 재배자들로부터 실제로 그렇다는 증거가 나온다면, 도움이 될 경우 그 제도를 바꾸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다"라고 한다.

그의 보고서에서는 "중장기적으로 농민들은 유럽연합의 노동시장에서 계절노동력의 수요가 증가하는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 계절 노동의 새로운 공급원이 요구되거나 원예 분야에서는 새로운 대안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Metcalf 교수는 새로운 제도를 만드는 데 실패할 경우 영국 농산물의 가격이 5~15% 정도 오르게 할 수 있다고 예측한다.

슈롭셔의 한 기업인 Haygrove 주식회사는 2008년 노동력 부족으로 양상추의 가격이 거의 15% 가까이 오르도록 했다고 이야기한다. 

Metcalf 교수는 현재 채소와 과일 농사에 투입된 루마니아와 불가리아인 노동자들이 노동강도 때문에 다른 일자리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다. 

그 일자리는 셀러리를 따려면 보통 하루 8시간씩 4000번 허리룰 구부려야 하기에 육체적으로 힘들다고 한다. 

"폴란드인들은 접대 분야의 일자리에서 돌봄서비스나 건설 쪽으로 돌아섰다. 루마니아인과 불가리아인들에게서도 비슷한 일이 일어날 수 있다"고 그는 말한다. 

그는 농민들이 미리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조속히 문제를 해결할 계획을 발표하라고 장관에게 촉구했다. 

A proposal by the National Farmers Union, discussed in detail in the MAC의 보고서에 상세히 논의된 영국 전국농민연합의 제안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와 몰도바, 벨로루시 같은 국가 -비유럽연합임-  의 계절노동자들이 "공급 준비태세"를 갖추고 있다. 

"정부는 그러한 제도가 가능한지 아닌지 결정해야 한다"고 보고서에서는 덧붙인다.

농업 분야는 약 60년 동안 계절이주노동자를 활용해 왔다. 

영국인들은 농업 분야의 일자리가 임시직이고 농장에서 숙식을 해야 하기에 취직하길 바라지 않는다고 Metcalf 교수는 말한다.

표준임금은 1시간 평균 11,800원 또는 주급 46만2700원이다.

그들은 4월 아스파라거스 농사를 시작으로 1년 내낸 농업노동을 하러 온다.

현행 제도에서 지난해 가장 많은 노동자를 고용한 켄트 주에 4천 명 이상이 왔고, 다음으로 헤리퍼드셔 주에 3천 명 정도 왔다. 



http://www.telegraph.co.uk/foodanddrink/foodanddrinknews/10056182/Food-prices-will-rise-unless-ministers-allow-non-EU-migrants-to-work-on-farms.html

728x90
728x90

페이스북에서 김이찬 님이 올리신 사진을 보았습니다.

보는 순간 손이 덜덜덜 떨렸습니다.

우려하던 일이 이미 농촌에서 벌어지고 있었습니다.




배추뿌리를 빨리 자르지 않는다는 이유로 두들겨 맞는 노동자. 
땅모양이 너무 평화롭고 아름다운 땅, 해남이다. 

월 300시간 노동에 1,100,000 원의 월급을 받고...
'근로계약을 하지 않는 자' 가 실제 고용주인 양 속이고 시켰고,
7개월간..., 100개가 넘는 지번의 밭에서 일했다. 

허리를 90도로 꺽어 배추밑둥을 칼로 잘라내며 수확하는데, 얼마 남지 않은 배추를 쪼그리고 앉아서 배추밑둥을 자른다고, 불법 고용한 자들이 발로 짓이기고 무릎으로 턱을 때렸다. 

그리고 두들겨 맞았는데, '때린 사람' 왈. - '그 자식이 여기서 일하기 싫어서 꾀병을 부리잖아요!' 한다. 

담당 고용센터 직원 왈, '우리는 수사권이 없어요. 사장이 싸인을 하지 않으면 다른 회사로 갈 수 없어요...' 

고용허가제는 노예제...





어떠한 종류의 폭력이라도 용납할 수 없습니다. 

이 한 장의 사진이 너무 많은 걸 담고 있습니다.


과도한 상업화에 의한 대규모 단작 방식의 농업,

그에 따른 고에너지, 고비용, 외부투입재 의존형 농법과 그로 야기되는 온실가스 및 환경오염 등의 문제, 

농촌공동화 등으로 인한 노동력 부족을 제3세계의 이주노동자로 충당하는 현실,

인권 유린은 물론 억압과 착취의 구조 등등...


이 모든 종류의 폭력에 화가 납니다.


"야, 이, 사람새끼야!"


728x90
728x90

During the month of November last year, the world watched farmworkers strikes, particularly those working in vinyards, in the Western Cape Province, in South Africa. They were protesting against exploitation and poor working and living conditions on farms, demanding an increase in minimum wages. In many cases, South African police responded to the demonstrations with violence and intolerance and showed no respect for laws. Many farmworkers and activists were arrested, including peasants of The Agrarian Reform for Food Sovereignty Campaign, a member of La Via Campesina.


After dubious negotiations that halted the strikes in December, the South African government has refused to make any change to the minimum wage and the situation has remained unchanged. Early this January farmworkers resumed the strikes and are being heavily repressed by police.

Since the strikes began, South African civil society organizations have denounced the fact that owners of the farms and the police were acting in close concertation to repress the striking workers; they benefited from a high level of impunity. It also appears obvious that the owners of the farms are continuing to pour racist and sexist insults on farmworkers.

The farmworkers strike in South Africa has to be seen as an African movement of the rural poor protesting against injustice and explotation. The agricultural sector in South Africa employs not only South African citizens. Many of the farmworkers working in bad conditions are migrant workers: men and women from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Mozambique, Zimbabwe and Malawi. These farmworkers are sometimes the most affected by the owners of the farms, who take advantage of the fact that they are in many cases working illegally and without social protection. South African commercial farming is the most powerful on the continent; it flourishes at the expense of the oppression and exploitation of agricultural workers.

These strikes are also the result of government’s failure to implement land reform in South Africa. The 30 per cent of land distribution that was promised by 2015 is very far from being implemented. In fact, in 2013 it is now 100 years since a Land Act that dispossessed millions of people from the land and turned them into the super-exploited farmworkers and the South African proletariat, was constituted in 1913. These strikes are a cry of "Enough is enough!" of 100 years of rural slavery.

The African region of the International Peasant´s Movement, La Via Campesina, declares their support and solidarity with the farmworkers in South Africa and condemns all forms of violence perpetuated by the South African Police and government against all farmworkers and activists. We join the voice of South African civil society organizations and demand that the South Africa government take active steps to listen to and act on the call of the agricultural workers who are demanding a living wage and a life of dignity.

Globalize the Struggle, globalize the Hope!

Contacts for more information and solidarity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