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성7 지난 42년 동안 한국의 논에는 어떤 풀들이 자랐나 농촌진흥청에서 상당히 재밌고 흥미로운 조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농촌진흥청에서는 1971년부터 2013년까지 10년을 주기로 계속해서 전국의 논에서 발생하는 잡초들을 조사해 왔다고 합니다. '풀과의 전쟁'이라는 속설처럼 적을 알아야 전쟁에서 이긴다는 맥락에서, 어떤 풀이 자라는지 .. 2017. 4. 11. 유전자변형 작물의 재배를 반대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한국의 경우 5대 식량작물인 벼, 보리, 콩, 옥수수, 감자는 정부에서 육종을 주도하여 생산과 보급까지 책임진다. 세계의 2대 유전자변형 작물인 콩과 옥수수가 한국 시장에서 재배되지 못한 까닭 -곡물사료와 식용원료로 대량으로 수입되기는 하지만- 이 여기에도 있을 것이다.그런데 정.. 2016. 9. 19. 슈퍼잡초는 농업 문제이다 뉴스서천에서 GMO에 대한 기획연재로 이번에는 슈퍼잡초 문제를 다루고 있다. http://m.newss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794 그런데 이 문제는 이미 예전부터 제기되어 온 것으로서, 굳이 유전자변형 작물 때문만이 아니라 지나친 제초제 사용에 의존하는 현재의 농업 관행 때문이라 해석할 .. 2016. 4. 27. 유전자변형 작물의 재배를 그만두고 있는 미국 농부들의 이야기 유전자변형 작물의 본산인 미국에서 이러저러한 이유로 유전자변형 작물이 아닌 기존의 종자를 선택해서 심는 사람들이 조금씩 늘고 있다는 소식이다. 그 배경에는 역시 유전자변형 식품표시제가 놓여 있다. 그로 인해 소비자의 수요가 변화하고, 그 변화에 맞추어 농민들이 움직이고 .. 2013. 12. 7. 슈퍼 잡초가 뭐예요? Superweeds.pdf 2013. 7. 2. 2, 4-D 저항성 옥수수의 위험성 2,4-D 저항성 옥수수는 2,4-D의 대사 산물은 동물에게 피부염과 간 손상, 때로는 사망을 일으킬 수 있기에 먹으면 위험할 수 있다. 제초제 저항성 작물이 처음 도입된 지 15년, 풀들은 이미 유전자변형 작물에 쓰이는 제초제에 내성을 갖게 되었다. 특히 몬산토의 라운드업 살포는 글리포세이.. 2013. 7. 2.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