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행5

제초제 맥주를 마신다고? 최근 시끄러운 글리포세이트 검출 맥주, 일단 그 정도 양으로는 건강에 크게 문제가 되진 않는다고 합니다. 단, 엄청난 양을 먹기 전에는요. 그래도 식약처에서 잔류농약 검사는 해본다네요. https://mnews.joins.com/article/23451410?fbclid=IwAR2cI-lQPvsxQBIZDJ25JGuk-ch9e79TxwwN7uGrKcN8_cSNeCWOFmdMdao#home 아무튼 우.. 2019. 4. 26.
유전자변형 작물의 재배를 반대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한국의 경우 5대 식량작물인 벼, 보리, 콩, 옥수수, 감자는 정부에서 육종을 주도하여 생산과 보급까지 책임진다. 세계의 2대 유전자변형 작물인 콩과 옥수수가 한국 시장에서 재배되지 못한 까닭 -곡물사료와 식용원료로 대량으로 수입되기는 하지만- 이 여기에도 있을 것이다.그런데 정.. 2016. 9. 19.
논두렁 태우기 요즘 농촌의 들녘은 논두렁, 밭두렁에 불을 놓는 매캐한 연기로 가득할 것이다. 이렇게 불을 놓는 건 풀도 잡고, 해충도 죽이고, 거름도 된다는 등 여러 목적 때문인데, 솔직히 최근에는 고령화된 농촌에서 논밭을 정리하려고 불을 놓는 일도 점점 많아지고 있다. 그런 곳을 보면 풀만이 .. 2015. 3. 9.
슈퍼잡초의 등장 흥미로운 그래프. 미국에서 유전자변형 작물이 도입된 후 이른바 슈퍼잡초가 증가하고 있다는 이야기. 물론 유전자변형 작물 자체의 잘못이라기보다는 제초제가 만연해진 농업 관행을 짚고 넘어가지 않을 수 없다. 유전자변형 작물을 재배하지 않는 한국의 논에서도 제초제에 내성이 생.. 2014. 6. 2.
유전자변형 작물의 재배를 그만두고 있는 미국 농부들의 이야기 유전자변형 작물의 본산인 미국에서 이러저러한 이유로 유전자변형 작물이 아닌 기존의 종자를 선택해서 심는 사람들이 조금씩 늘고 있다는 소식이다. 그 배경에는 역시 유전자변형 식품표시제가 놓여 있다. 그로 인해 소비자의 수요가 변화하고, 그 변화에 맞추어 농민들이 움직이고 .. 2013. 1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