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종5 전통 채소를 기르던 사람들, 종자상의 근대사 -맺음말 맺음말 종자상 연구를 시작한 지 8년의 세월이 지나서야 비로소 여기에 한 책을 정리할 수 있었다. 연구회나 강연회에서 발표하면 종종 질문을 받는 일이 있다. 그것은 왜 종자상을 연구하려고 했는지 하는 것이다. 지금, 그 원점을 되돌아보면, 내가 '종자상'에 주목하게 된 것은 대학 4년차에 졸업 연구의 주제로 '전통 채소'를 다루었을 때, 전통 채소는 어떻게 지켜져 왔고 왜 잃어 버리게 되었는지를 생각한 것이 그 계기였던 것 같다. 그 물음은 전통 채소의 재배에 빼놓을 수 없는 '종자'에 대한 착목, 나아가서는 일본의 채소 육종사에 대한 관심으로 향하게 했다. 바로 그 무렵, 토시마 구립 향토자료관에 종자상에 대한 방대한 사료가 기증되어 있다는 정보를 포착한 나는 곧바로 자료관으로 향했다. 미지의 사.. 2025. 2. 19. 전통 채소를 기르던 사람들, 종자상의 근대사 -5장 5장 마을을 거닐고, 시장에서 파는 시골의 '종자상' - 외상 신용 판매로 지역 밀착, 소매 행상 슈니種仁 상점 대도시 도쿄 근교로부터 완전히 바꿔, 지방 도시 니이가타의 채소 수요를 담당했던 니이가타현 키타칸바라군北蒲原郡으로 눈을 돌린 것이 이번 장. 논 우월지대에 산재한 약간의 밭을 이용해 다양한 채소를 농사짓는 키타칸바라군. 소량 다품목의 채소 생산을 뒷받침한 것은 지역에 밀착해 종자를 판매한 소매상이나 행상들이었다. 그중에는 종자 수요가 확대되어 가는 과정에서 경영을 발전시켜 소규모로 채종 시스템을 만들어 고정종 육성에 나선 사람도 있다.현재도 이어지는 종자 소매상 타카하시 니시치高橋仁七 종묘점을 예로 그 실태를 소개하겠다. 1. 니이가타현新潟県의 채소 생산 1) 무논 지대 안의 채소 .. 2025. 2. 18. 전통 채소를 기르던 사람들, 종자상의 근대사 -4장 4장 채종 관리를 맡은 '종자상' - 경작 장소 관리의 대행자, 노구치 히라조우野口平蔵(타치바나야橘屋 종묘점) 본장 채종 지대의 도시화에 따라 경작 장소를 원격지로 옮기게 된 종자 도매상. 그러나 경작 장소가 멀어지자 종자 도매상에 의한 정기적인 순회가 어려워졌다. 그래서 도매상을 대신하여 원격지의 경작 장소 관리를 대행하는 채종 관리인이 등장한다. 그들 중에는 머지않아 채종 관리인에서 종자 도매상으로 경영을 확대해 나아가는 사람도...이 장에서는 도쿄부 기타타마군 죠우후마치調布町의 노구치 집안을 예로, 채종 관리인의 실태와 종자 도매상으로 성장하는 과정까지를 소개하겠다. 1. 새로운 경작 장소가 된 도쿄부 기타타마군北多摩郡 앞장에서 밝혔듯이, 키타토시마군의 종자 도매상은 같은 군 안의 도시화.. 2025. 2. 10. 전통 채소를 기르던 사람들, 종자상의 근대사 -1장 1장 일찍이 '종자상'이라 불리는 사람들이 있었다 각지에서 재검토가 진행되는 '전통 채소'. 그 종자는 '고정종'이라 부르고, 이른바 재래종과도 현재 주류인 F1 품종과도 다르다.이 고정종이 탄생하게 된 배경에는 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태평양 전쟁 전기에 걸쳐 채소 종자의 육종, 생산, 유통에 관여한 '종자상'이라 불리는 사람들이 있었다. 1. 일본의 채소 생산을 지탱하던 '종자상' 1) 지금 ,주목받는 전통 채소 전통 채소는 고정종 채소요즘 '전통 채소'가 주목을 모으고 있다. '전통 채소'란 각지에서 옛날부터 재배되던 채소 가운데 지방의 자치체나 생산·유통에 관련된 사람들이 재배 지역이나 재배력 등에 독자 조건을 마련해 그들의 보존과 특산품화를 목표로 할 경우에 이와 같은 명칭으로 부른다. 아.. 2025. 1. 23. 무논 지대에서 채소 생산의 발전과 종자 소매상의 역할 水田地帯における野菜生産の発展と種子小売商の役割- 新潟県 北蒲原郡「種仁商店」を事例に 아베 노조미阿部 希望 2025. 1. 2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