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977

남해 사투리 부엌 - 정지 아궁이 - 부석 부뚜막 - 부떡 솥뚜껑 - 소두방 주걱 - 주개 체 - 얼기미 젓가락 - 제분 빨대 - 뽈대 청솔가지 - 청솔케이 삭은나무 - 아장가리 창고 - 고방 벽 - 벼리박(별박) 농 - 단서(뻬다지) 문종이 - 문종우(문쪼) 거울 - 색광 빗자루 - 비짜리 램프(호롱불) - 남포 석유 - 애(왜)지.. 2008. 7. 23.
점성골 김서방과 함께 조선반도의 농법과 농민 읽기 - 광주편 1 김서방 광주에 가다 1939년 2월 26일, 증기를 내뿜는 기차에서 한 일본인 사내가 내린다. 그의 이름은 다카하시 노보루. 그는 전라도 실태 조사를 위하여 막 전라남도 광주군光州郡에 왔다. 그가 도착할 때의 날씨는 저마다 상상에 맡기겠다. 2007년 6월 5일, 그의 뒤를 따라 한 사내가 광주역.. 2008. 7. 23.
도돌이표 시간에 도돌이표를 찍어 지난 일을 되돌릴 수 있을까? 절대 그럴 수 없다. 과거는 이미 지나간 시간, 나는 다시 그 시간을 살 수 없다. 과거를 지금 여기 다시 경험할 수 있을까? 기억에 아로새긴 옛 감정을 내 피부에 새기지만, 아무런 느낌이 없다. 시간의 흐름과 함께 이미 저만치 흘러갔기에. 흐르는 .. 2008. 7. 23.
순천, 1960년대 순천역 반공이라는 글자가 뚜렷하게 보이는 순천역. 여순 사건 때문에 더 그랬을까? 2008. 7. 23.
보성, 장날 풍경 2일과 7일에 서는 보성의 장날 풍경 2008. 7. 23.
순천, 매곡동 마을 1913년 어느 날에 찍은 순천 매곡동의 한 마을 모습. 2008. 7.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