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庫間1923 해동농서海東農書 18세기 후반 서호수徐浩修가 편찬한 농업기술서. 현전하는 것으로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8권 초고본으로 성균관대학교 소장본이고, 다른 하나는 4권 목판본으로 일본 오사카부립도서관大阪府立圖書館 소장본이다. 또한, 수록된 내용에 있어서도 후자는 전자의 3권까지를 수록하고, 거기에다가 전제.. 2008. 5. 15. 후생록厚生錄 조선시대 신중후辛仲厚가 편찬한 종합 농업기술서. 2권 1책. 본래 상하 2권(책)으로 구성된 것이나 현존하고 있는 것은 82면의 하권 1책뿐이다. 편찬연대와 편찬동기는 알 길이 없으나, 유척기兪拓基가 쓴 ≪지수재집知守齋集≫ 15권에 후생록 서문이 수록되어 있어, 후생록은 유척기의 생존연대인 1767.. 2008. 5. 15. 샘골과 시암실 ‘샘’은 땅에서 물이 솟아나는 곳을 말한다. 물이 솟듯이 힘이 솟는 것도 ‘샘솟다’라고 표현한다. 샘이 있는 곳이면 사람들이 모여 살기에 적합한 땅이다. 그래서 샘과 관련된 땅이름도 매우 많다. 다만 ‘샘’은 솟아오르는 물이 적으며, 모여 사는 사람들이 많지 않기에 행정 지역의 이름으로 쓰.. 2008. 5. 15. 일제강점기 여장부 왕재덕 왕재덕(1858-1932) 신천 농민학교 설립하여 민족교육을 실천 왕재덕(王在德)은 유복한 가정에서 태어나 청상과부가 된 후 혼자서 3남매를 키우면서 굉장한 치재(治財)를 하여, 황해도 신천에 농민학교를 설립한 일제하 민족교육의 실천가이다. 또한 그의 아들과 사위는 항일민족 독립운동에 생애를 바쳤.. 2008. 5. 14. 바닷가에서 일소 길들이는 모습 2008. 5. 14. 단양군 적성면 기동리 솔고개 마을 단양군 적성면 기동리 솔고개 마을의 장종환 어르신을 찾아뵙고, 소 쟁기질을 듣다. 아래는 직접 쟁기를 메우고 시범을 보여주시는 모습. 부리망까지 찾아서 채우셨다. 우수 지나 2008년 2월 22일 찾아가, 소도 한창 털갈이하고 있었다. 2008. 5. 14. 이전 1 ··· 317 318 319 320 321 다음 반응형